Project Research View RSS

Agile/SAFe/DevOps, PM/PMO 코칭 및 컨설팅 - 프로젝트리서치(주) since 2011
Hide details



PM/AGILE 훈련 및 코칭 프로그램 24 Feb 2023 1:06 AM (2 years ago)

프로젝트리서치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1. 주요 고객사/레퍼런스
  2. [교육] PM/AGILE 교육 프로그램
  3. [자격] AGILE 자격증 프로그램
  4. [코칭] Gartner Pipeline 코칭 프로그램
  5. [코칭] PM/PMO/SAFe 코칭 프로그램

1. 주요 고객사/레퍼런스

특징

  • 거래한 기업과는 장기간 PM/AGILE 훈련 전담 코치
  • 조직의 프로제트 관리 체계 코칭
  • 프로젝트 전문가에 의한 실사구시적 현업 접목

1. 주요 고객사/레퍼런스.png

2. PM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징

  • 삼성전자 PL, 파트장 Global PM/프로젝트 관리 훈련 프로그램
  • 기업 공식 R&D/PL/PM/파트장/팀장 훈련 프로그램 : 삼성전자, LG전자, 현대MOBIS, SK, KT
  • 글로벌 표준 90% 이상 커버 및 실습 70% 이상으로 Action Learning 기반 훈련 프로그램

3. AGILE 자격증 프로그램 

특징

  • 한글로 SAFe 자격증
  • SAFe 이론체계와 국내 적용 사례 기반 표준과 실무 매핑
  • 100% 합격 보장

4. Gartner Pipeline 코칭 프로그램

특징

  • Design Thinking > Lean Startup > Agile (Agile/Hybrid/Scaled) 방식으로 훈련
  • 국제 공인된 자격증 보유 및 실제 현업 컨설턴트에 의한 훈련 프로그램
  • 실제 기업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워크숍 기반 코칭 훈련

4. Gartner Pipeline 토털 훈련 프로그램

4. Gartner Pipeline 토털 훈련 프로그램2

5. PM/PMO/SAFe 코칭 프로그램

특징

  • 실무 프로젝트 전문가에 의한 코칭 프로그램
  • 제조, R&D, ICT/DX, 금융권(지주/본사/IT), 바이오/제약 등 코칭 경험 기반
  • PMO (Product vs Project < Program < Portfolio) 및 Scaled Agile ( Unit Solution < Large Solution < Portfolio) 조직에 맞게 Project Architect 수립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Agile, PM & BA 커리큘럼 23 Feb 2020 12:52 AM (5 years ago)

프로젝트리서치의 Agile , PM , BA  주제로의 실무 및 자격증 과정 표준 커리큐럼 소개합니다.  기업의 Agile, PM/PL, BA 훈련 과정의 핵심은 실무 업무 경험 및 코칭/컨설턴트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표준과 실제의 갭을 함께 동감하며 진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프로젝트리서치는 이러한 실무 지향형 실제 업무에 적용 목적으로 과정 설계가 이뤄졌으며, 삼성전자, LG전자를 포함한 많은 기업에서 검증되었습니다. PBL (Project Based Learning 혹은 Practice Based Learning)기법에 의해 70% 액션러닝(Action Learning 혹은 Active Learning)으로 진행하기에 실무자 분들의 피드백이 매우 좋은 편입니다.

올바른 기업 프로젝트 문화 ( 기획:BA → 프로젝트:Agile:Hybrid:Waterfall → 운영:ITIL:DevOps) 그리고 Business Agility (SAFe) 를 목적으로한 글로벌 표준 및 실사구시 실무중심의 Business Assuranace 여정의 커리큘럼으로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AgilePortfolio-v1_2-01AgilePortfolio-v1_2-02AgilePortfolio-v1_2-03AgilePortfolio-v1_2-04AgilePortfolio-v1_2-05AgilePortfolio-v1_2-06AgilePortfolio-v1_2-07AgilePortfolio-v1_2-08AgilePortfolio-v1_2-09AgilePortfolio-v1_2-10AgilePortfolio-v1_2-11AgilePortfolio-v1_2-12AgilePortfolio-v1_2-13AgilePortfolio-v1_2-14AgilePortfolio-v1_2-15AgilePortfolio-v1_2-16AgilePortfolio-v1_2-17AgilePortfolio-v1_2-18AgilePortfolio-v1_2-19AgilePortfolio-v1_2-20AgilePortfolio-v1_2-21AgilePortfolio-v1_2-22AgilePortfolio-v1_2-23AgilePortfolio-v1_2-24AgilePortfolio-v1_2-25AgilePortfolio-v1_2-26AgilePortfolio-v1_2-27AgilePortfolio-v1_2-28AgilePortfolio-v1_2-29AgilePortfolio-v1_2-30AgilePortfolio-v1_2-31AgilePortfolio-v1_2-32AgilePortfolio-v1_2-33AgilePortfolio-v1_2-34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고객 피드백 22 Feb 2020 7:37 PM (5 years ago)

이제 PM/PMO, Agile 코칭 및 컨설팅으로 업을 시작한지 약 10여년이 된 것 같습니다.  그동안 약 6000여분과 인연을 맺은것으로 추정되는데, 2800 여분께서 정성스레 교훈/회고를 남겨주셨습니다.  그때마다 이를 반영하여 현재 시뮬레이션 기반 워크숍 버전이 v8.0 이 되었네요.  초심 다지는 의미로 다시금 살펴보면서 앞으로의 10년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삼성전자
LG전자
롯데정보통신
BD
KTDS
삼성SDS
연세대학교
바텍
다우기술
NH농협은행
휴맥스

그외 PM/PL로 산업발전에 몸담고 계신 소중하신 분들..

삼성전자

LG전자

롯데정보통신

BD

KTDS

삼성SDS

연세대학교

바텍

다우기술

NH농협은행

휴맥스

SK Comms

삼성디스플레이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SK C&C

현대정보기술

월텍주식회사

토마토시스템

SK techx

에이앤디엔지니어링

SK에너지(주)인천CLX

제이브이엠

SK주식회사

성균관대학원

골프존

SK

노벨리스코리아

(주)잉크테크

뉴스킨 코리아

인프라웨어

(주)위세아이텍

케이엘넷

(주)제네릭스

LS산전

모우소프트

세리정보기술(주)

LDCC

싸이버로지텍

블루칩씨앤에스

암웨이 물류

(주)케이포스트

IBK시스템

비디스낵

오픈타이드코리아

삼성SDI

유빅스코리아

(주)셀리드

제니시스기술

현대자동차

제주대학교

평화이즈

클립소프트

필라넷

KBS미디어

한국고용정보원

한국hp 교육센타

LG유플러스

한솔인티큐브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현대카드

삼성디스플레이

(주)온아이티시스템

AMK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SAFe v5 한글로 쉽게 보는 방법 소개 17 Feb 2020 6:29 AM (5 years ago)

기업에서 적용할 Enterprise Agile 에서 가장 혼돈없이 적용하기 위한 Best Framework는 SAFe v5 입니다. SAFe v5 프레임워크는 이미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어들이 낯설어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SAFe v5 한글로 쉽게 보는 방법 및 용어해설 공유합니다.  단지 용어적 정의가 낯설다면 아래 용어집을 참고하시고 익히시면 좀 더 쉽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공유합니다.

UntitledImage

활용방법

1. 본 프레임워크 고해상도 다운로드 : 클릭

2. [한글] 구글번역기의 도움으로 scaledagileframework.com 을 실시간 한글 번역, 각 단어 클릭하면 한글 설명 페이지 안내

3. [영어]  https://www.scaledagileframework.com 에 접속하여 각 단어 클릭하면 설명 페이지로 안내 됨 ; 이때 아래 단어설명집 사용

Abbreviations / 약어집 

Glossary / 용어집 

Screenshot 2020 02 18 00 27 29

상기 2번의 방법으로 SAFe v5 탐색

Abbreviations / 약어집

Glossary / 용어집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농협은행 Agile Transformation 추진 현황 17 Feb 2020 1:05 AM (5 years ago)

프로젝트리서치가 농협은행 Agile Transformation 코칭 기업으로 선정되어 간략 안내 드립니다.  농협은행은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여정을 시작하였습니다.

Agile 조직 활성화 차원으로 Cell 개념으로 △경영기획(3개 – 개인종합자산관리CELL, 주택관련대출CELL, 옴니채널마케팅CELL) △디지털금융(1개-올원뱅크CELL) △IT(3개-IT올원뱅크CELL, IT디지털상품CELL, IT카드디지털CELL) △카드(1개-비대면회원추진CELL) 로 구분하여 조직을 신설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기사 링크 참고).

NH농협은행이 채택한 Framework은 SAFe v5 모델이며, 이는 웹사이트에서 누구라도 열람하고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Framework 입니다. (SAFe 소개는 본 글 참고)

Screen Shot 2020 02 17 at 6 50 58 PM

 

현재는 초기 기획 구간으로 2주단위 Iteration 으로 총 10주를 릴리즈(PI/Program Increment) 일정으로 묶어서 PI Planning을 수행 후 Iteration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UntitledImage

전체적인 PI Planning(프로그램 증분 기획) 기간에는 모든 Stakeholder들이 참석하여 비즈니스 가치 협의 > Product/Solution 가치 합의 > Feature 정의 > Story 및 Backlog 정의 > Acceptance / DoD 정의 > Final Review > Risk 정의 > Confidence 투표 > 회고 및 진행하는 순서로 2일간의 주제 및 실행 토론을 단일 룸에서 토론/협의를 마치게 되는 흐름입니다.

UntitledImage

UntitledImage

전체적으로 솔루션/시스템/모듈 간의 연계도를 구분하여 협조를 유발하는 구조로 구성 됩니다.

1681D328 AC6D 469F 80F2 D83649161B48 1 105 c

7A96BE77 E6F7 4DE0 BD72 3D6AFD5E1CAB 1 105 c

8개 셀을 대상으로 하나하나 점진적으로 함께 기획 수립하고 있는 중이며, 이제 Agile 여정의 시작으로 DT추진단 및 각 CELL 리더 및 파트너께서 엄청나게 노력하고 계십니다.

보안이 위배되지 않는 선에서 가끔씩 근황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GitLab 리셀러 계약 및 InfoGrab 브랜드 오픈 16 Feb 2020 2:40 AM (5 years ago)

프로젝트리서치가 DevOps의 신진 세력 GitLab 과 리셀러 계약을 맺었습니다.

동업자이자 CTO인 Dexter 리드하에 독립 브랜드 InfoGrab 에서 MSA Architect 및 DevOps 전환 코칭 서비스를 개시 합니다. – https://infograb.net/solutions/gitlab/

2020.02.16 현재 KT, 한화 및 VATECH이 저희의 Architect 서비스를 받고 계십니다. ^^

Screenshot 2020 02 16 20 38 42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Agile Framework 소개 – PMI, Scrum, SAFe 16 Feb 2020 2:11 AM (5 years ago)

최근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자격증을 미국 샌프란시스코까지 가서 취득을 하였습니다. 작년 Agile 관련 기업 컨설팅 수요가 엄청나게 증가하여 Project Research 사업도 Enterprise Agile 및 DevOps (MSA + Container) Architect 코칭/컨설팅 실적을 내고 있는 중입니다. 재작년 부터 네이버랩스 AKI, KTDS 서비스 MSA (Microsoft Service Architect) 컨설팅, Metanet Agile Transformation, SK이노베이션 Agile Transformation, KTDS Agile Coach 훈련 프로그램, NH농협은행 Enterprise Agile 컨설팅 계약 등 애자일 전환이 본격적으로 한국에서도 열린 것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올바른 애자일 프레임웍 선택 및 적용을 위해 가이드가 필요해보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1. PMI Agile Practice Guide (PMI-ACP)
  2. Scrum Alliance (CSM)
  3. Scrum.org (PSM)
  4. SAFe (SSM)

1. PMI Agile Practice Guide – https://www.pmi.org/pmbok-guide-standards/practice-guides/agile

Waterfall 의 Bible이라 할 수 있는 PMBOK 및 100만 PMP 자격증을 담당하는 PMI에서 출시한 PMI Agile Practice Guide 입니다. 현재 약 3만 PMI-ACP (Agile Certified Professional) 전문가가 전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본 가이드는 Agile Alliance와 공조하여 만들어 졌으며, 애자일의 기본 사항 및 원칙, 프로젝트 유형, Agile Practice 종류별 가이드가 집대성 되어있습니다.

AgileOverview 016

AgileOverview 017

요즘은 Agile Mindset /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하여 4대 가치 및 12원칙을 커버하는 Being-Agile 및 Practice 혹은 Framework 가이드에 해당하는 Doing-Agile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과거보다는 Being-Agile에 보다 집중하여 애자일을 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의 도구로 Agility 확보 차원으로 Agile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AgileOverview 021

여러 기법의 Agile Framework이 존재하여 어떤 방식을 접목해야하는 것도 넘어야할 과제입니다. 간략하게나마 Agile/Lean Practice 및 Framework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혼돈의 Agile 키워드를 그나마 잡아주는 것 같습니다.

AgileOverview 022

특히나 유용한게 기업의 프로젝트가 Waterfall 이 적합한지, Agile이 적합한지, Hybrid가 적합한지에 대한 진단지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저희도 컨설팅을 수행시 본 가이드를 기준으로 프로젝트 진단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Scrum Alliance – https://www.scrumalliance.org

초기 Scrum 창시자인 Ken Schwaber 가 초창기 합류했던 Scrum Alliance가 만든  Certified ScrumMaster® (CSM®)  자격증이 가장 유명합니다. 그 외에도 PO(Product Owner)를 위한 Certified Scrum Product Owner® (CSPO®) 및 개발자를 위한 Certified Scrum Developer (CSD®) 도 존재하나 가장 유명한 자격증은 CSM® 입니다.

이곳은 Scrum Guide (https://www.scrumguides.org) 의 내용을 기반으로 자격증 체계를 만들어 공급하고 있는데, 추산 약 100만명 정도를 보고 있습니다.

현재 CSM 자격증을 국내에 취급하는 회사가 Odd-e Korea (홍콩 기반) 와 ProejectResearch (실리콘밸리 기반) 두개 회사가 제공하고있습니다.

UntitledImage

 

 

3. Scrum.org – https://www.scrum.org

초기 Scrum 창시자인 Ken Schwaber 가 Scrum Alliance 에서 이해관계 상충으로 독자적으로 독립하여 본인의 https://www.scrumguides.org (소규모 애자일)와 Scale Scrum인 Nesus (기업용 애자일)를 출시 및 이의 자격증 제도까지 통합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Scrum 창시자가 직접 운영하는 거다 보니 급격하게 상승곡선을 타고 있는 기법입니다.

자격증 체계도 잘 되어 있고 기업시장의 20% 정도를 커버하고 있다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습니다. 특이한게 Agile Leadership 및 Agile Assessment로 애자일리더십 및 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AgileOverview 029

AgileOverview 030

4. SAFe – Scaled Agile Framework  – https://www.scaledagileframework.com

미국 기업의 80% 가 선택하고 있다는 Enterprise Agile의 선두주자 입니다.  Enterprise를 지원하는 framework이 PMI Agile Practice Guide(PMI-ACP 5%), Scale Scrum-Nexus(SPS 20%), SAFe(75%) 정도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Scrum Alliance 프로그램이 단위 조직 위주로 되어있어서 기업에 접목시키기가 쉽지 않은데, SAFe 모델의 경우 Project-Program-Portfolio 및 조직구조 Agile 역할 정의를 포함하여 깔끔하게 가이드 및 관련 자격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www.scaledagileframework.com 에 들어가면 오픈소스 형태로 누구나 방법론을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아쉽게도 PMI만 패쇄적 입니다.)  또한 SAFe 에 대한 전문가 자격증 역시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Agile Korea(국내 연3-4회 제공)프로젝트리서치(미국으로 교육 출장)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SAFe 기업 적용 프로그램도 프로젝트리서치가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NH농협은행 8개 CELL 및 LS산전 R&D센터에 대한 Digital Transformation 에 맞는 조직 및 프로덕트 구조를 SAFe 모델로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는 중입니다.

SAFe v5를 한글로 보기위해서는 다음 안내(클릭)를 참고하세요.

AgileOverview 032

UntitledImage

현재 기업이 필요로하는 Agility를 확보하기 위한 Agile 수요가 급증(저희 체감만 하더라도 재작년부터 매년 두배씩 수요를 체감)하는 추세입니다. 기업에서 올바른 애자일 기법을 선택하고 적용하기의 밑거름 안내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글을 마칩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초청장] 김슬옹 출판기념회 겸 해례본 28개국 번역 누리집 개통 선포식 26 Dec 2018 2:48 PM (6 years ago)

세종대왕 즉위 600돌을 맞아 프로젝트리서치(주)가 참여하고 있는 ‘훈민정음가치연구소’에서 의미있는 행사가 있어 안내드립니다.  여지까지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문본과 언해본만 일반인에게 알려져있는데, 이를 읽기가 수월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훈민정음의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김슬옹 박사님과 청농 문관효 선생께서 뜻을 함께하여 한글 붓글씨 본 “훈민정음 해례본” 및 해례본을 28개 국어로 번역하는 누리집 프로젝트를 선보이는 선포식입니다. 아무쪼록 안내를 참고하시어 뜻깊은 자리에 함께 동참해주셨으면 합니다.

Title-Hunminjeongeum

[순서] 

1.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판(세계 최초) 휴대용 작은책 배포 

2. 모시는 말씀

3. 식순

1.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판(세계 최초) 휴대용 작은책 배포

훈민정음 가치연구소에서 청농 문관효 선생께서 뜻을 함께하여 한글 붓글씨 본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판”을 배포하는 자리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판(세계 최초) 휴대용 작은책의 가치

  1. 훈민정음 해례본이 한문본이라서 접근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함
  2. 누구나 쉬운 문자로 지식과 정보를 나누라는 세종의 문자 가치를 품고 다닐 수 있음
  3. 중학생 이상 누구나 해례본 내용 가치를 나눌 수 있음
  4. 청농 문관효 선생님의 한글붓에 담긴 세종 정신을 나눔
  5. 학생들의 꿈을 키워주는 학생신문과 훈민정음 가치를 널리 알리려는 훈민정음가치연구소의 꿈이 함께 꽃핀 책

◒ 훈민정음 해례본 28개 문자 번역의 나눔 정신

  1. 훈민정음 해례본 담긴 사람 중심의 보편주의 가치를 세계인과 나눔.
  2. 누구나 쉬운 문자로 지식과 정보를 나누라는 세종의 문자이상 가치를 세계인과 나눔
  3. 1997년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인류 최고의 고전 훈민정음 해례본의 가치를 나눔
  4. 훈민정음에 담긴 과학 보편주의, 철학 보편주의, 음악 보편주의 어울림의 가치를 나눔
  5.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인류 최고의 사상과 학문 가치를 나눔

Title-Hunminjeongeum-00

Title-Hunminjeongeum-01

Title-Hunminjeongeum-02

 

 

 

2. 모시는 말씀

안녕하십니까?
훈민정음 창제날(1443년 음력 12월) 즈음인 12월 28일, 훈민정음 28자의 의미를 살려 뜻깊은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바쁘시더라도 자리를 빛내주시고 성원과 격려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훈민정음가치연구소 행사 준비위원회 올림
————————-
세종대왕 즉위 600돌 기념
김슬옹 출판기념회 겸 ≪훈민정음≫ 해례본 28개국 번역 누리집 개통 선포식

◒ 세종대왕 업적과 학문을 집대성한≪세종학과 융합 인문학≫ 출판
◒ 훈민정음 창제 575돌 기념, 《훈민정음》 해례본 28개국 누리집 개통 선포
◒ ≪훈민정음 해례본 입체강독본≫ 2018 베이징 국제도서전 한국의 맛 선정 기념

◑ 때: 2018년 12월 28일(금) 17:00 ~ 19:00
◑ 곳: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교육관 ( 약도 : http://naver.me/FH81CXBP )
* 6호선 고려대역 3번 출구 홍릉/경희대 방향 10분, 주차가능

◑ 참가비(후원비) : 오만 원( 《세종학과 융합 인문학》, 세계 최초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판/학생신문사 간행 증정, 저녁 식사 함께)
◑ 참가비/후원 계좌: SC제일은행(130-20-114111, 국운회)
*훈민정음 해례본 28개국 누리집에 소중한 이름을 새겨 드립니다

◑ 사회: 정재환(방송인, 한글학 박사)
◑ 특별 축하 공연: 강숙현 가객, 배일동 명창, 국악가요 해사한
◑ 특별 전시: 세계 최초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판(김슬옹 기획, 청농 문관효 글씨, 학생신문사ㆍ한국멋글씨연구원 협찬)
◑ 특강: 천 개의 강에 떠오른 세종의 정음 사상과 세종 즉위 600돌 축시

◇ 주최: 훈민정음가치연구소( http://www.hunminjeongeum.org/ )
◇ 주관: 국어단체연합 국어문화원 세종학교육원
◇ 협찬: 학생신문사, 7일경제연구소, 네오패드(주), 프로젝트리서치(주), 올빛에이치알
◇ 특별 후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학회, 간송미술문화재단, 외솔회, 한글문화연대, 한글사랑방, 한말글동아리연합회동문회, 한국멋글씨연구원
◇ 후원(가나다순): 강길부 국회의원, 고교한글나무동문회, 교육문화콘텐츠사회적기업(주) 오디에스, 꼬레아우라(영웅), 넷피아(주), 대한민국베스트브랜드협회, 문학뉴스, 문화감성단체 여민, 박이정, 보고사, 보물찾기 한글(장덕진), 삼정HRM, 세종마을 가꾸기회, 세종사랑방, 세종연수원, 시원문명탐구회, 알짬터독서토론한마당, 여주 늘푸른자연학교, 연세한글물결동문회, 우리한글박물관, (재)원암문화재단, 원정재, 인쇄향, 전국독서새물결모임(사), 정음문화연구원, 짚신문학회, 철도고 업무과 11기 동창회, 풍류단 시가인, 한국디베이트코치협회, 한글산업진흥원, 한글이름연구소, 한울림어린이, (사)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사)훈민정음세계화재단, 훈민정음연구소

3. 식순

◆ 사회: 정재환
◆ 여는 말: 최홍식(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 내빈 소개
◆ 축사
▶ 박원순(서울시장). 대독
▶ 권재일(한글학회 회장)
▶ 엄영자(학생신문 밠행인)
▶ 이종구(방송인)
▶ 범종(조계종 문화부장)
▶ 오동춘(김슬옹 고등학교 스승님)
▶ 최기호(김슬옹 대학교 스승님)
▶ 박정환(7일 경제연구소 소장)
◆ 공연
▶ 강숙현 가객: 용비어천가
▶ 배일동 명창(고수 조상민): 훈민정음 판소리
▶ 국악가요 해사
◆ 강연쇼: 김슬옹
◆ 저자에게 물어보기
◆ 훈민정음 해례본 28개 언어 누리집 개통식: 김태영
◆ 전시 안내: 문관효
◆ 떡자르기
◆ 마무리 인사
◆ 만찬
건배사1: 이대로(한글사랑방 대표)
건배사2: 이광도(학생신문 대표)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CCPM / EXEPRON 워크샵 후기 (정남기 교수/한국TOC협회장) 15 Dec 2018 1:14 PM (6 years ago)

실사구시PMO 모임에서 국내 TOC/CCPM 의 대가인 정남기 교수님 모시고 CCPM / EXEPRON 워크샵을 마쳤습니다. 4시간에 걸친 핵심 세미나 후 Q&A 로 구성이 이루어 졌습니다.

DSC04021

첫 시작이 용어에 대한 정의였는데, PMBOK 6판의 내용 중에 기존 폭포수/Waterfall 용어가 아닌 ‘예측적’ 프로젝트 생애주기의 정의에 대해 깊은 공감으로 시작해 주셨습니다. PMO 모임이어서의 배려 혹은 청중 시선에서의 맞춤식 접근이 좋았습니다.

DSC04023

정남기 교수님의 [프로젝트 관리의 성과 = (1.프로젝트 수익성) x (2.납기 준수) x (3.수행 건수) / (4.프로젝트 소요기간)]라는 4개의 변수로 이야기의 흐름을 프로젝트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과 결국 ‘일정관리’ /‘납기준수’ 키워드 하나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논리적으로 풀어주셨습니다. 평상시 언어로 구사하는 것이어서 당연한 것 처럼 느껴지지만, 이를 공식화 시켜서 나름의 컨설팅 알고리즘으로 접근해 나가시는 방법이 좋아보였습니다.

DSC04028

‘프로젝트를 성공시킨다’는 목표를 놓고, 노사의 갈등차이를 Cloud 형태로 한장으로 요약하시면서, 이의 해결책으로 ‘경영자와 자원이 공강하는 (변동성이 인정된) 과업소요기간으로 프로젝트가 추진된다’로 도출을 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해법으로 CCPM (체계) / EXEPRON (도구) 을 제시하셨습니다.

DSC04031

세가지 이야기가 기억에 남았는데, 첫번째는 마감일에 맞춰 일을 몰아서하는 학생증후군의 패턴이 프로젝트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는 것과, 두번째로 재계획이 허용할수록 프로젝트팀원들이 설계/수행적 측면에서 나태해진다는 점, 마지막으로 세번째로 Task가 예정일 보다 늦게 끝나도 과연 올바른 보고를 하느냐는 문제였습니다.  결국 프로젝트 이론/설계와 현실의 차이가 이 부분에서 드러나게 되는 것이죠.

DSC04037

이의 해결책으로 PALS (Project Advanced Learning System) 에 의해 CPM (Critical Path Method)와 CCPM (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의 차이를 14단계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이를 이야기 해 주셨습니다. 요약하면 “멀티 프로젝트 성공율을 90% 보증하기 위해서, 몬테까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1천번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기존 CPM 방식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WBS Task를 Forward 설계방식으로 안전을 고려한 일정수립 기반의 보다는 WBS Task를 Backward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핵심자원 중심으로 파이프라인(멀티 프로젝트 네트워크 상관관계도)를 조정하여 CCPM 방식으로 남을 일정 기준으로 관리하게 되면 프로젝트 수행 일정을 현실적으로 준수할 수 있다.” 입니다.

DSC04045

핵심은 핵심 자원 Drum을 기준으로 파이프라인 하여 Feed Buffer (Work-package 기준) 와 Project Beffer (Project 기준) 의 허용된 일정 buffer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면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DSC04053

중요한 점은 희망찬 계획 기반이 아니라 철저하게 계산/합의된 WBS와 프로젝트팀에 의한 남은 과업 일정의 재산정 주기를 빠르게 하면, 프로젝트 일정이 현실적으로 관리될 수 밖에 없고, 이는 프로젝트팀 스스로가 산정한 남을 일정과 계획 일정에 대한 끊임없이 리마인드 할 수 밖에 없다는  Mechanism, Monitoring, Mentality라는 시즈템 구조입니다.

DSC04059

DSC04060

EXEPRON 시스템을 이용해서 프로젝트팀에서 부터 임원까지 동일한 대쉬보드를 통해 포트폴리오/멀티프로젝트 차원으로서의 일정 준수 여부에 대한 차트와, 각각의 개별 프로젝트 단위로 일정, 리스크 및 자원레벨링 및 집중해야할 과업 리스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프로젝트 뷰어와 매일 점검해야할 TASK/과업 남은 시간 갱신 방법을 보여주셨습니다.

DSC04062

마지막으로 워크샵 통해서 느낀점과 각자의 회사/환경에서의 문제/해결안을 가지고 질의응대 포함하여 한시간여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선배 컨설턴트로서의 당신의 시행착오까지도 아낌없이 나눠주셨고, ODSC (Objectives Deliverables and Success Criteria)의 중요성을 언급하시면서 D:Due Date로 주장하시는 모습에서 기승전’납기’라는 CCPM 전도사로서의 직업정신까지 느껴졌습니다.  끝으로 시스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지 도구적만으로 접근하면 안되고 철저한 적용방안 논리/로드맵을 구상후 진행해야하며, 시스템은 Mechanism, Monitoring, Mentality 이 3가지를 포함해야한다는 측면을 통해서도 TOC 전도사로의 혜안적 모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 역시도 TOC/CCPM에 기반한 Exepron 2018 컨퍼런스 후기 의 몸소 체험한 핵심적인 내용에 대해,  TOC/CCPM 에 인생을 올인하신 전문가/컨설턴트 시각에서 지식+경험+지혜적 차원의 스토리텔링식으로 담아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오고 통찰적인 측면에서 감동과 영감을 받은 것 같습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TOC/CCPM에 기반한 Exepron 2018 컨퍼런스 후기 26 Sep 2018 2:24 AM (7 years ago)

CCPM(Critical Chain PM) 기반 프로젝트 관리 도구 Exepron 에서 주관하는 컨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 전통적 산업분야가 Gantt 기반으로 Critical Path기반으로 많이 설계하여 시간흐름대비한 진도율 기반으로 관리를 하여서 CC(Critical Chain)이 생소할 수 있는데,  “PMI Practice Standard for Scheduling” 에서 일정모델로 1)Critical Path, 2)Critical Chain, 3)Adaptive Life Cycle, 4)Rolling Wave Planning을 소개하고 있듯이 메인 일정 모델 수립 기법 중의 하나의 기법입니다.

EXEPRON 1

Exepron 은 Critical Chain 기반으로 프로젝트는 물론 포트폴리오까지 거버넌스하는 제품 이름이자 회사 이름이기도 합니다. 이 제품 하나에 목숨을 걸겠다는 회사의 의지도 보입니다. 컨퍼런스를 시작하기에 앞서 Core Member에 대한 소개로 시작합니다. CCPM 기반이어서 많이 생소할 수 있으나, 조선, 제조, 건설, MRO(항공/국방), 헬스케어, SCM 및 ICT에 산업에서 R&D에서 Enterprise Level까지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는 지식/경험/기술기반 회사입니다.

 

EXEPRON 8

EXEPRON 66

첫번째 세션은 프로젝트 일정 수립시 동일한 조건을 가지고 Critical Path과 Critical Chain 으로 설계을 했을때 어떠한 개별 업무 및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 차이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해주고 있습니다. 몬테까를로 시뮬레이션에 의거하여 프로젝트 성공율 90%를 준수하기 위해서는 Critical Path기반은 280일 정도, Critical Chain 150일 정도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어, 보다 현실적이다라는 것을 설명해 주었습니다. (물론 단순 계산에 의한 시뮬레이션 기반이니 극한 차이이고, Enterprise Level기업에서는 Critical Path 기반의 Historical Logs 기반으로 보다 더 정밀도를 높이고 있으니 이를 감안해주긴 해야합니다.)

 

 

EXEPRON 12

EXEPRON 44

Critical Chain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게 되면, 실제 남은 일정 기반으로 관리가 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일정 반영이 현실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를 신호등 혹은 매트릭스 차트를 이용하여 모든 프로젝트에 대해 단일적인 시각으로 소통 및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죠. CCPM 기반은 업무, 자원, 일정으로 현재, 가용성, 예측 기반으로 소통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상당히 간결해지면서 주제 지향적으로 소통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뒤의 사례에서도 모두 그 효과를 볼 수가 있었습니다.  프로세스를 템플릿화 하고, 이를 재활용 할 수 있게해주는 Template Block 기능도 재활용/Agility 측면에서 좋아보였습니다. 이러한 핵심 기능은 후의 많은 사례들이 이러한 직관적인 설계 기능과 한눈에 보이는 현재와 미래 예측을 확인하며 진행하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잘 모르는 직원도 쉽게 프로젝트 중심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는 공통적인 효과를 이야기 해 주었습니다.

 

 

EXEPRON 16

EXEPRON 15

EXEPRON 22

EXEPRON 24

브라질에 본사가 있는 남미 물류 기획 및 서비스 전문 NeoGrid의 Miguel 회장은 TOC/CCPM을 잘 활용하여 Time to Market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그 기반 도구가 되었던 Exepron에 대한 애착이 남달라 보였습니다.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을 아주 객관하하여 혁신과 관리, 이 양면성을 가진 두가지 사항을 모두 Insight를 가지고 집중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EXEPRON 39

EXEPRON 40

EXEPRON 88

Exepron CTO가 Ofer Kamrat 가 다음 릴리즈인 대쉬보드, API를 사용한 MS Project / Power BI / Excel과의 연계, 모바일,  SSO, 그리고 Store 구상도 이야기 해 주었습니다.

3일에 걸쳐 각 분야 전문가가 본인의 TOC/CCPM 기반의 프로젝트, 자사의 프로젝트 사례와 교훈을 이야기 해주었습니다. 제품 개발사와 제품 사용사가 한 자리에서 허심탄회하게 효과/방법/교훈 및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가지고 열띤 토론을 하는 것도 좋아보였습니다.

 

 

EXEPRON 56

호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Andrew Kai가 이동통신사와의 현재 진행형 프로젝트를 가지고 사업부서와 IT부서와의 갈등, 아울러 주의해야할 사항을 이야기해주었습니다.

 

 

EXEPRON 61

Avraham의 Baccara Geva

 

 

EXEPRON 62

대학 MBA 의 프로젝트 관리 과정으로 Exepron을 가지고 CCPM 과목을 진행하고 있는 사항과 효과 앞으로의 개선에 대해 웨비나 형태로 원격 발표를 해주었습니다.

 

 

EXEPRON 45

콜롬비아에서 TOC/CCPM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Alejandro 도 본인의 프로젝트 경험과 교훈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EXEPRON 67

최근 5년 동안 25%성장율을 보이고 있는 Niagara Bottling 회사의 연구소장이 TOC/CCPM 기반으로 2년간의 연구소에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 목록들과 패키지, 무게, 환경문제에 관련한 과제들과 효과에 대해 이야기 해주었습니다.

 

 

EXEPRON 68

Neogrid 에서 CCPM x Agile 이라는 주제로 기업의 거버넌스 관리는 CCPM / Exepron 으로 소통하고, 실제 개발/담당자는 Agile / Jira를 상호 연계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사례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비즈니스 부서의 35개 템플릿 기반 400여개의 프로젝트와, 개발부서의 10개 템플릿 기반 150여개의 프로젝트 진행은 기업 규모로 실용적 성숙도 측면에서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EXEPRON 71

EXEPRON 72

2017년 FDA 승인된 약의 80% 이상을 Charles River를 거쳤다는 제약분야에도 R&D와, M&A 프로젝트 관리에 대해 CCPM과 각 게이트 헬스체크, 체크리스트 기반 점검 목록을 깜끔하게 관리하는 사례를 보여주었습니다. 나름의 노하우 / 방법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공유하는 모습도 인상적이었습니다.

 

 

EXEPRON 76

Brandsen Floors 의 호텔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현장의 프로젝트 담당자들이 본 프로젝트를 바라보는 Vision, R&R을 기반으로 업무 및 진행 상황을 인지하도록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이야기 해주었는데, 은퇴했다고 더 부르지 말라고하는 웃으며 너스레 보이시는 모습에서 프로젝트에 달관한 듯한 어찌보면 컨설턴트로서의 저의 미래 모습을 그려보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EXEPRON 82

EXEPRON 84

6개국 8개 지역에서 1400여개 프로젝트 이상을 CCPM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교훈 역시도 지금 삼성전자와 LG전자의 Matrix 기반하에서의 프로젝트와 유사한 부분이 많아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WestPalmBeach 89

WestPalmBeach 33

WestPalmBeach 91

이러한 도구 기반으로 전문가 들이 모여 서로의 지식과 노하우, 기능적 질문은 물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토론하고 답변하는 모습속에 CCPM/ Exepron 의 발전적 모습의 근간이 여기에 있구나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문가 네트워크 기반으로 발전한 Exepron의 파워와 Project Research 접근 방식을 비교해보면서 반면교사를 해보는 시간을 갖게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CCPM에 대한 지식과, 본 컨퍼런스에 대한 참여 독려해주신 한국TOC 협회 정남기 회장/교수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데스틴파워 오성진 대표님의 CCPM 기법의 직접 적용해보려는 노력에 감탄하며 소회를 마무리합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허밍웨이의 집 – 플로리다 키웨스트 20 Sep 2018 11:59 PM (7 years ago)

30대의 주요 집필 활동의 핵심지인 Key West에 위치한 허밍웨이의 집에 다녀왔습니다.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 52세) 작품으로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을 받은 미국의 저널리스트겸 시인/소설가인데, 30대를 키웨스트에 살면서, 자신의 고향이라고 불렀을 만큼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곳입니다. 이후 40대부터 61세의 나이로 죽기직전까지는 쿠바/하바나에서 살았기 때문에, 아마도 미국에서 볼 수 있는 작가 시절의 유일한 집입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22046

거실에 들어가면 눈에 띄게 인지되는 키워드가 배와 낚시입니다. 허밍웨이가 34살에 구매한 배 Pilar의 모형과 키웨스트, 하바나, 비니비 낚시대회에 우승 사진도 볼 수 있습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4658

허밍웨이의 쿠바인 친구 Gregorio Fuentes는 허밍웨이이 보트 Pilar의 선장이자 낚시 친구기도 했고, 노인과 바다 주인공 산티아고 캐릭터의 영감이 되었던 실제 인물입니다. 노인과 바다는 출간한 1952년도에 퓰리처상 수상, 1954년도메 노벨 문학상을 받은 책이죠. 허밍웨이의 쿠바 사랑은 40대 부터 죽을때까지 여생을 쿠바/하바나에서 주로 거주하며 보내게 됩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5509

1961년 1월 미국과 쿠바의 관계가 단절되면서, 허밍웨이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는데, 이가 우울증을 크게 키웠다합니다. 안타깝게도 그해 7월 돌아가시게 되죠. 위의 사진은 죽음을 맞기 3주전에 아이다호에서 찍은 마지막 사진이라고 합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5219

허밍웨이의 인생은 18세에 신문사에서 취직하여 집필 능력을 키웠다 합니다. 세계1차 대전 기간에 적십자에서 구급차 운전사로 전쟁을 겪습니다. 이후 프랑스 파리에서 특파원 생활을 하게 되는데, 이때 프랑스의 예술과 문학에 재능있는 외국인 거주자 모임인 “The Lost Generation”에 일원이 되면서 파블로 피카소, F. 스콧 피츠제럴드, 거트루드 스타인, 실비아 비치, 살바도르 달리를 포함하여 많은 영향을 주고 받았습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2240

이곳이 집필작업을 하는 작업실인데, 30대 이곳에서 다음과 같은 작품들을 집필합니다.

  • 1932 Death in the Afternoon
  • 1935 The Green Hills of Africa
  • 1936 The Snows of Kilimenjaro
  • 1936 The Short and Happy Life of Francis Macomber
  • 1937 To Have and Have Not
  • 1938 The Fifth Column
  • 1939 Night Before Battle
  • 1940 For Whom the Bell Tolls

이후 세계 제2차대전에서는 종군기자 활동 등의 전쟁의 풍랑을 겪고 10년 후 나이 50대에 다음 작품을 내놓죠.

  • 1950 Across the River and into the Trees
  • 1952 Old Man and the Sea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2726

기념품 숍에서는 전시 시설물로 보지는 못하였지만  1930년데 자신의 배 Pilar 발주를 위한 모형도, 발주서와 편지를 기념품으로 구매할 수 있고, 집 / 집필, 낚시 사진등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2807

플로리다의 작은섬 (the Florida Keys/쿠바 Cayo로 작은섬) Key West는 쿠바에서 불과 90마일(145km) 정도 거리에 근접하였고, 관련 자료/ 지도도 구할 수 있습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3244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4330

특이했던 점이 고양이가 많다는 것인데, 애묘가 였던 어니스트 허밍웨이가 키웠던 고양이의 후손들이랍니다.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0734

LEICA Q 28 0 mm f 1 7 20180920 231303

허밍웨이의 집은 14$ 입장료만 내면, 한국어 안내서와 함께 영어로 스토리텔링을 포함한 가이드를 편히 들을 수 있습니다. 야외 풀장/뜰 결혼식 대관(1시간에 500$) 도 할 수 있다고하고, 리허설하는 예비 신랑/신부도 보였습니다.  한 작가의 집/유물들을 직접 해설사를 통해서 이야기 들으니, 수영장과 눈에 보이지 않았던 1penny에 얽힌 이야기 등 또 다른 것들이 보이게 되네요. 허밍웨이의 인생과 경험과 지역 기반의 작품의 연관성을 되새겨 보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여행 프로젝트를 통한 자녀 PM기법 훈련 – 부제: 홀로서기 프로젝트의 교훈 14 Sep 2018 3:05 AM (7 years ago)

Life Project Management

1 – 중학생 딸이 기획한 일본 여행을 프로젝트관리 관점으로 정리  (2015)

2 – 린다이어트 Lean Diet – 3개월 9 kg 감량 후기 (2016)

3 – 여행 프로젝트를 통한 자녀 PM기법 훈련 – 부제: 홀로서기 프로젝트의 교훈 (2018)

프로젝트관리 컨설팅을 업으로 하고 있는 필자가 중학생 자녀를 위한 PM훈련 프로그램이 뭐가 있을까 고민하다가, 인생의 미니어처이면서 프로젝트관리의 실생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여행”을 테마로 직접 기획을 하였다.

지금까지의 피동적으로 따라만 다니는 여행에서 벗어나, 스스로 PM으로서 원하는 것을 정리하는 요구분석 능력(1)과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여행계획 수립, 실행, 감시 및 통제, 종료의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경험(2), 마지막으로 시행착오를 통해 교훈을 축적하여 향후 PM역량을 훈련(3)시키기 위한 목적인 일명 “홀로서기 프로젝트”로 지난 4년간 여행을 코칭 하였고, 이에 대한 교훈을 남기고자 한다.

0 홀로서기 프로젝트

[목차] 

  1. 1년차(2015)/중학교2학년 – 헌장, 요구, 범위, 품질, 원가, 교훈 개념 (일본 오사카)
  2. 2년차(2016)/중학교3학년 – 여행 전문가를 통한 다른 시각의 훈련 (독일 프랑크푸르트)
  3. 3년차(2017)/고등학교1학년 – 홀로서기 첫 개시와 변경 관리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파리)
  4. 4년차(2018)/고등학교2학년 – 홀로서기 여행의 즐김과 리스크 (그리스 아테네)
  5. 마무리
  6. ‘별세계’로 떠나는 스스로 여행 (딸아이의 여행 프로젝트 기록 에세이)

1. 1년차(2015)/중학교2학년 – 헌장, 요구, 범위, 품질, 원가, 교훈 개념 (일본 오사카)

[착수] 일단 헌장(Charter)을 “스스로 계획하고 즐기는 배낭여행의 즐거움을 주기 위함이고, 이것저것 스스로 직접 계획하고 움직이며 느끼고 나누는 여행”이라 수립하고, 아이에게 기존의 여행 개념과는 다른 홀로서기 목적임을 인지시켰다.

[기획] 처음이다 보니 아무래도 모든 것이 생소할 수 있어서 PMBOK Guide의 전문 용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생활 언어를 사용하였다. 여행 지역을 미리 정해주고 하고 싶은 것을 먼저 정리해 보라고 안내하여 요구사항에 대한 개념을 주지시켰고, 지하철 지도를 주고 가고 싶은 곳과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 및 봐야 하는 것을 지도에 기록하게 함으로써 백로그/WBS 개념과 DoD (Definition of Done/검수 혹은 완료조건) 개념을 잡도록 하였다.

이렇게 범위 기준선(Scope Baseline)을 수립하고 난 후 하루 돌아다닐 수 있는 시간 범위와 이동 시간 가능을 계산하게 하여 5일 동안의 여정, 즉 일정 기준선(Schedule Baseline)을 계획하게 하였다. 중요한 예산은 숙박과 여행경비를 포함하여 하루 20만원으로 지침을 내려, 원가 기준선(Cost Baseline)을 수립하는 마무리로 여행 준비, 즉 프로젝트 계획(Project Plan)을 끝냈다. 아무래도 스스로 기획하는 첫 여행이어서 범위, 일정, 원가 부분만 훈련시키고 리스크를 포함한 나머지는 옆에서 묵시적으로 기획수립을 하였다.

NewImage

요구사항, 범위(WBS/Backlog), DoD 정리

 

[실행] 초기 기획한 범위 및 일정 기준선에 따라 철저하게 대중교통으로만 다녔다. 처음에는 필자가 지하철 타는 것을 안내하고 이후에는 아이 뒤에서 가드(Guard) 역할만 하려고 노력하였다. 스스로 리드하는 첫 여행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역을 찾아가는 것이나, 역에서 내려 찾아가는 과정 중에 옆에서 도움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었지만, 몇일 후에는 아이 스스로 잘 찾아 다녔던 것으로 기억한다. 지출했던 모든 비용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지출기록(Actual Cost)를 기록하게 하였다.

[감시 및 통제] 매일 저녁 아이와 숙소에서 교훈(Lessons Learned)과 리뷰를 포함한 회고(Retrospective)를 하였다(Daily Scrum). 오늘은 무엇이 좋았고, 무엇이 아쉬웠는지에 대한 대화를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이야기하였고, 원가측면에서도 번다운(Burndown) 개념을 적용하여 쓴 돈(Actual Cost) 과 남은 돈(Remain Budget)의 관계로 다음날의 계획 가치에 근접(Plan Value)하도록 스스로 판단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종료] 귀국 비행기를 기다리며 딸아이와 둘이서, 매일 나눴던 교훈(Sprint Retrospective)과 전반적인 여행 교훈(Project Lessons Learned)을 구분하여 정리를 하였다. 필자가 먼저 이야기하면, 유사한 패턴으로 이야기하도록 교훈 개념을 안내했다. 아울러 사용한 지출내역 역시 다음 여행의 참조를 위해 산출물 정리를 요청하였고, 아래와 같이 정리 및 공감을 나눴다.

Screenshot 2018 09 14 19 59 24

Actual cost 요약 Lessons Learned 요약

(1년차의 자세한 기록은 중학생 딸이 기획한 일본 여행을 프로젝트관리 관점으로 정리 참고)

2. 2년차(2016)/중학교3학년 – 여행 전문가를 통한 다른 시각의 훈련 (독일 프랑크푸르트)

이때는 업무 출장 중에 데려간 것이라 필자와 같이 다닌 날은 하루였다. 나머지 필자가 일하는 동안의 주안점은 현지에서의 Activity 프로그램(영어), 마이리얼트립이나 유로나라자전거(한국어)와 같은 여행 전문 서비스를 통해 직접 알아본 후 예약하고 미팅 장소에 스스로 찾아가도록 안내했다. 로컬 가이드와 한국인 가이드를 번갈아 경험해 보게 하여, 아빠가 아닌 다른 지역전문가(SME, Subject Matter Expert)의 도움으로 세상을 보는 시각을 넓히는 것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스마트폰 앱들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가이드를 한 것 같다. Google Trip과 Google Map을 통한 여행지 찾기와 이동 경로 수립과 식당 찾는 방법을 훈련하였다. 리스크 측면에서는 땅콩 알레르기에 대해서 ‘수용(acceptance)’으로, 독일어로 식사 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고 프랑크푸르트에서 동행 없이 아이 혼자 기차만 타고 1시간여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도 ‘수용(acceptance)’으로, 출발에서부터 도착까지 중간역들의 이름을 모두 주지시켜 무사히 이동하였다.

3. 3년차(2017)/고등학교1학년 – 홀로서기 첫 개시와 변경 관리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파리)

3년차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는 가이드 없이 혼자서만 다니기 시작했다. 대중교통도 스스로 잘 타고 다녔다. 이때 배낭 여행자들과 만나서 이야기하거나, 동행 여행을 간간이 했다고 한다. 딸아이와 이야기 중에 ‘파리’에 한번 가보고 싶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변경관리 차원에서 스스로 기존 스페인 여행 계획을 축소하고 파리로 여행하는 것으로 여정 계획을 변경하도록 했다. 바르셀로나-파리 구간의 왕복 항공권에 대한 예약 역시 딸아이에게 Skyscanner 앱을 통해 가장 효율적 시간 및 가지고 있는 짐과 및 최저가를 고려하여 항공편을 찾도록 했다. 기간제 교통패스, 목적지를 찾아가는 것도 아이 스스로 하도록 필자는 뒤에서 가드 역할만 했다. 프랑스 여정 중 3일은 함께 다녔다. 박물관 전문가(SME)를 통해 예술/문화를 보는 방법을 배웠고, 하루는 까페에 둘이 느긋하게 앉아 망중한을 즐긴 것 같다. 2일 동안은 본인 혼자 다녔는데, 필자는 가보지도 못한 몽생미쉘까지 검색하더니 다녀왔다.

4. 4년차(2018)/고등학교2학년 – 홀로서기 여행의 즐김과 리스크 (그리스 아테네)

4년차가 되니 이제는 필자가 확인하지 않아도 스스로 기획하고 돌아다닌다. 이곳에서 딸아이에 대한 성추행이 있었는데 아무래도 처음 당해보는 것이었고, 게다가 외국이어서 본인 스스로도 많이 놀랐던 모양이다. 울면서 전화하는 것에 대해 ‘마인드 컨트롤’ 사항이라는 조언 밖에 할 수 없었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이 리스크는 ‘회피(avoid)’ 혹은 ‘완화(mitigation)’의 문제로 대응 계획에 대해 진중하게 딸아이와 이야기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음을 반성하게 되었다. 다행이도 딸아이가 그럴 수 있다고 생각을 고치면서 본인 스스로 극복하는 속도도 빨랐던 것 같다. 고민은 해결하는 것이 아닌 관점을 바꾸는 것이라는 것을 다시금 새기게 되었다.

5. 마무리

15세 중학교2학년부터 시작한 홀로서기 프로젝트는 4년이 흘러 올해로 18세 고등학교 2학년 준성인이 되어버렸다. 다행히 무탈하게 초기 헌장(Charter)에서 수립했던 ‘스스로 여정을 계획하고 희로애락을 즐길 수 있는 홀로서기 역량’을 키웠고(1), PM기법과 경험을 이론이 아닌 여행을 통해 함께 나누며 추억(2)도 남겼다. 추가로 정해진 틀/기준선에서 움직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필요나 요구사항 혹은 그때그때 주어진 상황에 맞춰 적절히 조정 및 실행할 수 있는 자신감(3)으로 앞으로의 삶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는 교훈을 남겼다. 끝으로 딸아이의 시각으로 정리한 ‘홀로서기 프로젝트’의 기록 에세이로 교훈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6. ‘별세계’로 떠나는 스스로 여행 – 성심여자고등학교 2학년 김효빈

일본, 독일,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각각 다른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나라들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어 나에게는 그야말로 ‘별세계’인 곳이었다. (별세계: 1.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 – 표준국어대사전) 그런데 다녀온 후에도 이곳은 아직까지도 ‘별세계’로 남아있다. (별세계: 2.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표준국어대사전)

스스로 계획하고 준비하는 여행을 시작한 첫 여행지는 일본이었다. 처음엔 뭐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고 답답했다. 그전에는 따라다니는 여행만 해서 여행 계획 수립이 이렇게 어려운지 몰랐다. 아빠의 도움으로 간신히 5일 여정의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익숙하지 않은 나라에서 나의 힘으로 여행한다는 것은 낯선 경험이었다. 특히, 대중교통 이용은 정말 낯설었다. 영어도 서툴러 말이 통하지 않았고 이정표를 보며 길을 찾는 능력도 없었다. 일본에서의 여행은 아빠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스스로 계획하는 여행의 ‘낯섦’을 ‘새로움’으로 바꿔 생각하게 된 것은 1일 차, 기온거리의 밤거리를 걸으면서였다. 일본 특유의 고즈넉함과 여유를 느낄 수 있었고 아름다운 불빛과 함께 걸으며 내 손으로 직접 찾아낸 아름다움에 뿌듯함과 기쁨을 느꼈다. 정신 없고 융통성 없이 길을 찾는 여행보다 계획을 조금씩 바꿔가며 즐기는 여행의 맛을 느끼게 되었다. 이때부터 다른 나라의 문화를 알아가고 직접 체험하는 데 재미를 느끼게 된 것 같다.

일본여행에서 ‘스스로 여행’의 맛보기를 봤다면 독일에서는 일본 여행에서 배운 것을 실제로 사용해 볼 계기가 되었다. 독일 여행은 처음 시작부터 색달랐다. 계획도 스스로 생각해보며 세웠고 더 많은 정보를 활용해 대중교통, 간단한 독일어, 물가 등을 알아보며 독일 여행을 준비했다. 일본에서 헤맸던 부분도 미리 알아보며 더욱 철저하게 준비를 하고 떠났다. 일본과 다른 점은 일본에서는 간판에 한국어가 적혀있고 아빠의 동행으로 그나마 소통이 되었다면, 독일에서는 아빠의 동행 없이 한국어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 여행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더 자유롭게 여행할 기회이기도 했다. 독일의 대학, 유적지를 보며 독일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다. 독일은 길옆에 조그마한 수로가 많았다. 가이드께서 독일의 역사와 관련이 있다고 하며 지금은 아이들의 놀이터와 친환경 정책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하였다. 독일에서는 환경요소를 적절하게 고려해 활력 있는 녹색도시를 만든 것이 가장 인상 깊었다. 쾌적하고 상쾌한 독일의 매력에 빠져 ‘녹색 여행’을 즐겼다.

그 다음 여행지는 스페인이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나라였다. 스페인의 정열적이고 쾌활한 분위기에 흠뻑 젖어 행복하고 열정적인 여행을 했다. 이번 여행은 특별했다. 계획은 물론 다니는 것도 모두 스스로 했다. 그리고 좋은 사람들도 사귀었다. 여행을 다니면서 만난 분들이었는데 같이 여행을 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여행의 새로운 묘미를 알게 되었다. 스페인 특유의 정열적이고 자유로운 이미지는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 구엘 공원에서 느낀 알록달록한 색감의 재미,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의 웅장함, 시체스 해변의 시원함, 몬세라트 수도원의 신비함이 어우러져 스페인의 분위기를 만들었다. 여러 경험을 통해 외국에서 일하고 싶다는 꿈이 생기게 되었다.

스페인과 연결된 프랑스는 옛날부터 가고 싶었는데 고맙게도 아버지께서 프랑스 여행을 하게 해주셨다. 프랑스에 온 첫날, 교과서에서만 보던 파리의 에펠탑을 봤다!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커서 놀랐다. 낮에 보는 에펠탑과 밤에 보는 에펠탑은 정말 다른 분위기였다. 낮에는 밋밋한 느낌이 있었지만, 밤에는 화려한 조명과 함께해 압도적인 분위기였다. 아빠와 에펠탑을 보며 바게트를 사고 파리의 거리를 걸었다. 현지인이 된 듯한 기분에 프랑스의 문화를 더욱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었다. 프랑스에 가면 빼놓을 수 없는 미술관과 박물관 구경을 했다. 운 좋게 사람이 없을 때 가서 여유롭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전문 큐레이터가 해주시는 설명을 작품에 곁들이니 프랑스의 역사, 문화, 사상을 다채롭게 느낄 수 있었다. 교과서에서만 보고 시험을 위해 암기했던 작품을 실제로 보고 설명을 들으니 작품 하나하나의 느낌과 역사를 깊이 알 수 있어 좋았다. 여행을 오기 전, 내가 프랑스를 좋아했던 이유는 다양한 색감으로 둘러싸여 있는 도시와 맛있는 먹을거리 때문이었다. 프랑스를 직접 느끼고 경험해보니 고풍스러운 느낌, 작품에 깃들여져 있는 이야기와 역사를 좋아하게 되었다.

가장 최근에 떠난 여행은 그리스였다. 민주주의의 시초이자 다양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직접 보고 듣게 될 생각을 하니 기다려지는 여행이었다. 그리스 여러 곳에서 민주주의를 느낄 수 있었고 특히, 도시에서 하는 작은 공연들을 보며 즐거운 여행을 했다. 그리스에서는 여러 사고가 일어났다. 다행히 무사히 해결되었지만, 그런 경험을 통해 앞으로 다시는 똑같은 일을 당하지 않겠다고 생각하며 조심하게 여행하는 법을 배웠다.

많은 여행을 다니면서 ‘학교 공부는 어쩌고 이런 먼 곳까지 왔니?’라는 질문을 수도 없이 들었다. 물론 학교 공부는 중요하다. 미래의 삶이 걸려있고 학창 시절의 땀이 나중의 행복으로 돌아오는 것도 알고 있다. 하지만, 학교 공부가 다는 아니라는 것을 이번 여행을 통해 알게 되었다. ‘스스로 여행’에서 나는 많은 것을 직접 느끼고 몸으로 부딪히고 배웠다. 모두 학교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특별하고 소중한 경험이었다. 물론, 학교 공부에도 도움이 많이 되었다. 생활과 윤리 시간에는 그리스에서 보고 온 여러 사상가의 삶이 도움 되었고 여러 나라의 문화, 역사, 사상을 더욱 제대로 알기 위해 더 열심히 영어 공부를 했다. 무엇보다, 스스로 하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생겼다. 처음 ‘스스로 여행’을 할 때는 대중교통도 헷갈려 많은 실수를 했지만, 점점 익숙해졌고 이제는 대중교통은 물론이고 그 지역의 사람들과 어울리며 삶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런 소중한 경험을 하며 꿈이 생겼다.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리고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며 외국에서 일하는 것이 나의 꿈이다. 앞으로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나에게 ‘별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준 가족에게 감사 드린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Peter의 Apple Music과 Bose 장비들을 통한 음악 생활 / Music Lifestyle 음악 즐기는 방법 18 Apr 2018 8:08 AM (7 years ago)

필자의 음악/소리와 관련된 환경 공유합니다. 10년전/2008년 iTunes Library – 음악감상용 / 휴대용 구분하여 관리 및 6년전/2012년 Mac으로 즐기는 음악 Lifestyle – iTunes 매치, Pandora, Spotify 즐기는 방법에 비해서 환경이 많이 바뀌었네요. 기본적인 음악 청취에 대한 소스는 애플 뮤직(미국계정), 아마존 뮤직 두개의 클라우드 및 스트리밍 기반으로 단말 용량을 차지하지 않고 음악 앨범을 동기화하고 있고, 청취 기기 모두 무선 기반의 장치들이라는 점인 것 같습니다.

[목차]

1. 음악 서비스

1.1 Apple Music

1.2 Amazon Prime Music

2. 음악 장비

2.1 SoundTouch 20 II

2.2 QC35 / QC30

2.3 SoundWear

2.4 Soundlink / Onkyo T3

2.5 Soundlink micro

Peter music lifestyle 001

1. 음악 서비스

1.1 Apple Music 

Peter music lifestyle 004

애플뮤직(미국계정)은 제가 90% 정도로 연구실, 이동중, 강의 BGM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음악 서비스는 정해진 틀에 갇혀진 느낌과는 달리, 애플뮤직은 매주 제 취향에 맞는  refresh 선곡되는 새로운 조합으로 앨범을 만들어 주고, 이를 즐기기만 하면 된다는 점이 장점인 것 같습니다.  애플뮤직은 “For You”에서 Chill/ New Music/ Favorites Mix 셋 중에, 아니면 Radio 랜덤으로 Play하는 편입니다.

1.2 Amazon Prime Music 

아마존 프라임 뮤직은 제가 매년 갱신하고 있는 Amazon Prime의 부가 서비스입니다. 원래는 국가 제약으로 국내에서는 VPN을 통해서만 들을 수 있으나, Bose SoundTouch 를 통하면 국가 제약 없이 국내서 편히 들을 수 있습니다.

2. 음악 장비

Peter music lifestyle 005

제 경우 연구실이나, 이동시 아울러 강의시의 장비 대부분이  Bose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EQ 세팅 없이 초보자도 무난한 음색으로 편하게 들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Bose의 설립자 Amar Bose 의 Sound Engineer로서의 외길로만 걸어온 인생 철학도 존중합니다.  SoundTouch의 경우 AirPlay를 통해서, SoundWear/QC35/QC30은 iOS 블루투스 연결의 경우 의 Apple Music의 음원파일인 AAC 파일을 전송받아 직접 Play하기 때문에 음질의 손상없이 깨끗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2.1 SoundTouch 20 II (Airplay 지원되는 구모델)

Peter music lifestyle 002

Bose SoundTouch 브랜드의 경우 음악서비스의 HUB로 각각의 방별로 개별 및 함께 같이 들을 수 있게 해주는 Bose의 음악 서비스 입니다. Bose에서 중앙에서 전세계 Radio DB를 가지고 SoundTouch의 선호 채널로 등록하여 장치 버튼 혹은 리모컨 버튼으로 손쉽게 선곡할 수 있게 해줍니다. Bose Radio Server 서비스 외에도 Amazon Music, Deezer, SiriusXM, Spotify, NAS 음악, TuneIn, Music Library of iTunes을 통해서 서비시를 바등ㄹ 수 있습니다. 제 경우는 Apple Music 을 90% 정도로 AirPlay를 통해서 듣기 때문에 모든 iOS 및 macOS 에서 편히 연결하여 들을 수 있습니다. Amazon Music의 경우 SoundTouch의 프리셋(1-6)에 연계하여 제가 선호하는 Amazon Music의 카테고리 음악을 듣는 편입니다.

Peter music lifestyle 003

SoundTouch의 설정은 iOS 의 SoundTouch App을 통해 설정합니다. 기본 장비의 펌웨어 update, 아마존 Music을 탐색하다 장치 프리셋에 설정, Bose Radio 탐색하다 장치 프리셋에 설정, 다 음악 서비스 연동 등등과 같은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2.2 QC35 / QC30 

QC35의 경우 항공기 통한 이동시, QC30의 경우 생활상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 필수적입니다. 소음을 통한 피로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점과 소음 환경 속에서도 편안하게 음악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좋은 것 같습니다. 소음에 노출되면 상당히 피곤하거든요.

2.3 SoundWear 

Netflix, Youtube 등의 영상물을 볼 때 사용하는 편입니다. QC35 헤드폰 및 QC30 이어셋의 경우 귀를 막고 있어서 답답한 단점이 있고, 스피커로 듣기에는 가끔 움직이면서 들을 시 소리를 놓칠 수 있는데 Soundwear는 이러한 단점을 깔끔히 해결해 줍니다. 소리에 감싸진다는 느낌이랄까요?

2.4 Soundlink / Onkyo T3 

Soundlink의 경우 초기 모델인데 7년간 제 강의 생활을 함께해준 벗입니다. 강의장이 50명 정도의 규모도 짱짱하게 청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SoundLink의 경우 전용 아답터를 들고 다녀야해서 가벼운 특강/회의 경우 USB로 충전할 수 있는 Onkyo T3를  특강 용도로 사용 중입니다. Onkyo T3 는 크기가 아담해서 가방속에 넣고 부담없이 이동할 수 있는 사이즈 입니다. 소리 크기는 Soundlink micro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2.5 Soundlink micro 

유일하게 생활 방수 기능이 있는 휴대용 스피커입니다. 출장이나 여행시 음악 즐길 때 사용합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Mac에서 Synology Router VPN을 통해 네트워크 제약없이 사용하기 14 Apr 2018 10:49 PM (7 years ago)

필자의 경우 기업체에서 강의/컨설팅을 수행할 경우, 해당 기업체의 보안정책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제약사항이 많은 편입니다.  주 파일 서버로 사용하고 있는 Dropbox 및 Onedrive는 물론, 수시로 확인해야하는 메일의 경우 Microsoft 클라우드 서비스인 Office365와 주 업무 메신저로 사용하고 있는 Slack 마져도 막혀있어 주 업무가 막혀버려 긴급시 이에 대한 work-around 방안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Public VPN 서비스까지 다 막혀있는 부분이 대부분이라 Synology RT2600ac 를 이용하여 Private VPN을 구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거죠. 이에 대한 노하우 공유합니다.

1. 사용중인 클라우드 서비스

2. Synology VPN Plus 서비스

3. Mac에서 Synology VPN 접속

Peter network 001

1. 사용중인 클라우드 서비스

Dropbox 1T, Onedrive 1T, iCloud 1T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저의 모든 데이터가 2개의 클라우드, 타임캡슐, Synology NAS 및 외장하드까지 총 5중 백업 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Peter의 Mac 에서의 폴더 관리 방법 – Dropbox와 Synology 통합 (시즌2) 및 Mac에서 Dropbox 에서 Office365 협업 환경으로 옮기는 과정 공유 글을 참고하세요.

2. Synology VPN Plus 서비스

보안이 철저한 기업과 중국에서는 상용 VPN 서비스를 모두 금지 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 Synology에서 제작한 Router인 Synology RT2600ac 을 이용하여 집의 통신사 기본 제공 라우터를 대체하였습니다. Synology 라우터를 선택한 이유는 1) 기본적으로 패키지설치 및 환경 설정이 쉽게 되어있고, 2) 다양한 VPN을 지원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우회 방안의 선택 폭이 넓고, 3) IPTV 를 직접 지원하기 때문에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라우터에 종속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패키지 설치 환경 설정의 용이성

synology router packages

Synology NAS 보다는 숫자는 적지만, Router가 가지고 가야하는 핵심 기능으로의 VPN Plus, 침입탐지, Radius, 다운로드, 클라우드 스테이션, DNS, 미디어서버로만의  패키지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보통 Router 기능은 네트워크 관리자로서 전문가만 설치할 수 있다는 일반 개념을 Synology Router의 경우 일반인도 Router 충분히 쉽게 설정할 수 있어!라고 접근하는 것 같습니다.

2) 다양한 VPN 지원

NewImage

Synology VPN, Standard VPN 및 Site-to-Site VPN을 지원합니다. 제 경우 Mac 이나 Windows나 모두 Standard VPN 중 L2TP 만 설정해 주어도 충분했습니다.

3) IPTV 지원

Screen Shot 2018 04 15 at 2 39 01 PM

KT IPTV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네트워크 라우터가가 IGMP Snooping(RFC 4541) 기능을 지원해 주어야 하는데, Synology Router는 이를 기본적으로 지원합니다.  단지 전문 용어를 안쓰고 일반인들의 용어인 IPTV STB Port 로 쉽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3. Mac에서 Synology VPN 접속

Peter network 004

Mac macOS 에서는 설정이 쉽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때는 System Preferences > Network 에서 VPN을 선택하여 “Connect”하거나 메뉴바에서 선택하여 Connect 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Dropbox, Onedrive, iCloud 및 Office365 메일서비스까지 집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으로 네트워크 사용이 가능합니다.

Screen Shot 2018 04 15 at 3 36 43 PM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Mac@Work 맥을 기반으로 한 업무 10년 경험의 추천 앱 모음 22 Jan 2018 9:14 AM (7 years ago)

Mac을 가지고 업무에 활용한지 이제 10년 (맥 라이프 12년차) 차가 되었네요. 업무 관련 글만 올리다가 최근에 맥을 새롭게 설치하면서 정리 차원으로 제가 사용하는 맥 활용 방법 공유하고자 합니다. 맥 생활 12년 만에 드디어 한국에도 애플스토어 한국(가로수길), 지니어스 바가 생기네요. 보다 더 많은 유저가 맥을 통한 즐거움을 만끽 했으면 좋겠습니다.

Mac Work 2018

목차

  1. 사용 Apple 환경
  2. 생산성
  3. 리서치
  4. 저술
  5. PDF
  6. PIMS
  7. 멀티미디어
  8. 오피스
  9. 번역
  10. 파일관리
  11. 네트워크
  12. 메뉴앱

1. 사용 Apple 환경

제가 사용하는 Apple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cbook – 메인 / 캐주얼용으로 회의, 업무, 강의용으로 사용합니다. (Sierra)
  • MacBook Pro 13’ – 강의 및 프로젝트 업무용으로 사용 (Sierra)
  • MacBook Pro 15’ – 강의 및 프로젝트 업무용으로 사용 (High Sierra)
  • Mac mini – 부트캠프에 의한 Windows 10/공인인증서 관리  (High Sierra)
  • iMac – 전자앨범 (Photos 앨범) 용도로 사용 (High Sierra)
  • Apple TV – 영화/드라마/애플뮤직 용도로 사용
  • iPhone7 – 메인 스마트폰
  • iPhone SE – 로밍 스마트폰
  • iPad – 리디북스, 킨들, 넷플릭스, Papers 용도
  • Apple Watch – 메인 스마트폰이 묵음 처리 알람용, 건강 관리

2. 생산성

3. 리서치

4. 저술

5. PDF

6. PIMS

7. 멀티미디어

8. 오피스

9. 번역

10. 파일관리

11. 네트워크

12. 메뉴앱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2018 년 자동차 기술 동향에 대한 전망 13 Jan 2018 5:44 AM (7 years ago)

프로젝트리서치(주) 고객 중 LG전자 VC사업부 PM과 EV(전기자동차) 혹은 전장 제품과 관련하여 PM코칭/워크샵/컨설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솔루션은 프로젝트/프로그램 관리와 Resuable Feature/Product를 포함하여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를 원활히 관리할 수 있는 codeBeamer라는 ALM 제품을 사용하는데, 개발사인 Intland에서 자동차 기술 동향 관련한 2018년도 리포트가 나와서 번역 공유합니다.

출처/원글 : An Outlook on Automotive Tech Trends in 2018

자동차 전문가들은 여러 해 동안 산업의 파괴적인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해 왔습니다. 신기술은 자동차 산업을 거꾸로 뒤집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수년간 이어져 왔습니다. 자동차 혁명은 2018 년에 우리 삶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까?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시대를 향한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그리고 올해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전망은 어떻습니까?

Automotive tech development trends 2018

1. 자동차 산업의 점진적인 변화

2. 2018년 자동차 산업의 기술 동향

  •    1) 자율 주행
  •    2) 견인력을 얻는 전기 자동차
  •    3) 블록 체인 기술
  •    4) 빅 데이터

 

1. 자동차 산업의 점진적인 변화

우리는 2016 년 초에 오토모티브 기술 동향 예측을 발표를 통해 IoT 커넥티비티와 자동차 산업에서의 소프트웨어, 전기화 및 모듈화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고 했습니다. 

2017 년은 우리 스스로가 식견이 넓어짐을 경험하였습니다. Automotive Industry Development Trends 2017 이라는 제목에서 우리는 자동차 기술 (자율 주행, 연결성 및 전기 자동차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에 중점을 두었을뿐 아니라 이러한 기술이 자동차의 가치 흐름뿐만 아니라 소비자 행동에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자동차 개발자를위한 수익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018 년이 도래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선전했던 자동차 혁명은 도로에서 쉽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동안 뉴스에 나온 기술은 무엇이며, 어떻게 2018 년에 자동차 산업에서 흘러갈 것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2. 자동차 산업 2018의 기술 동향

1) 자율 주행

지난 10 년 동안 가장 중요한 자동차 혁신으로 자율 기술인 자율 주행은 여전히 ​​업계의 미래를 결정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몇년은 더 길에서 완전히 운전자가없는 차량을 보지 못할 것이지만, 그렇다고해서 변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사실 요즘 자동차 산업에서 자동 운송 시스템이 가장 혁신적인 R&D로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017 년 Nvidia는 레벨 5 자율운전을 지원하는 칩셋을 출시했으며, 새로운 운전자 지원 기술 (ADAS – 고급 운전 보조 시스템)은 이미 요즘의 차량에 점차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자기 주행 개발을 지원하기위한 동맹의 가능성은 이미 우리가 알고있는 자동차 산업 전망을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완전한 자율 주행도 그다지 멀지 않습니다. 첫 번째 레벨 5 자율 주행에 대한 경쟁으로  2020 년 초에 운전자 없는 완전한 기능이 차량이 도로에 서 주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완전한 자율 주행이 가능하게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통신 기술 (5G)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변화에 대한 자신감 있는 구축은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규제 기관과 소비자 모두 IoT를 통해 전달하는 자율주행 차량이 실제로 인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보다 훨씬 안전하다는 보장에 관계없이, 무인 차량의 아이디어에 모두 천천히 적응하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규정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테스트는 특정 지역과 테스트 트랙에만 국한되어 있습니다.

2018 년에 자동차 개발자는 완전한 자율성을 향한 경쟁을 계속할 것이므로 규제 당국이 적절한 안전 표준을 조만간 제공해야합니다.이 분야에서의 혁신은 우리에게 앞으로의 완전한 자율 주행에 더욱 가까이하게하고,자율 운전 기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교통 수단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점차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율 주행 혁신은 다른 자동차 기술 트렌드와 함께 진행됩니다.

 

2) 견인력을 얻는 전기 자동차

자연친화적 기술로서의 자동차 산업의 전기화 진화는 계속되고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7 년에는 완전한 전기 자동차 판매가 47 % 증가했으며 2017 년 11 월 블룸버그는 글로벌 판매가 63 %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주된 요인으로는 중국의 환경오염의 감소 정책에 기인하며, 유럽은 세계 두번째로 큰 시장입니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장려하려는 세계적 노력 외에도, 전기 자동차의 성공에 또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전기 자동차는 자율 주행과 커넥티드카와 병합될 것입니다.” 라고 CarTalk의 보고서에서 델파이의 엔지니어링 담당 부사장 인 Mary Gustanski는 말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전기 자동차는 컴퓨터가 운전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두 기술의 발전을 촉진합니다.

승차 공유가 여전히 성장 추세임라는 사실과 쌍을 이루어 볼 때, 미래가 완전히 자동화되며, 전기화 되고, 자동차 산업에 공유 차량 성격의 새로운 시대를 특징 지어 연합종횡 되는 모습으로 발전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고 있고, 전 세계 전기 차량에 정부 보조금이 계속해서 제공됨에 따라, 전기화는 나날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주요 자동차 회사들은 전기 파워 트레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향후 전통적인 연료 엔진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지만 EV (전기 자동차) 기술은 2018 년도는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블록체인 기술

블록체인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빠르게 성정하는 추세입니다. 2017 년에 엄청나게 성장한 암호화폐 인 비트코인의 사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Forbes의 반응 : “2017년도는 Bitcoin의 해로 기억 될 것입니다.”)

디지털 신뢰를 재편하겠다는 목적을 지닌 블록체인은 여러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변형 가능한 기술로 널리 인식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주된 의미는 자동차 부품 공급망에 대한 신뢰할 수있는 정확한 프로토콜을 만들어 시장에서 위조품을 제거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의 가격 책정 전략을 형성하고 자동차 수리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신뢰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은 커넥티드카 관련 기술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으며, 2018 년에 자동차 산업을 형성 할 것으로 예상되는 네 번째 추세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4) 빅 데이터

IoT를 통한 다중 센서 (레이더, 라이다/LIDAR, 카메라 등) 및 무선 V2V (차량 대 차량) 통신은 자율주행 차량 기술의 핵심 축입니다. 이들이 생성하고 전송하는 모든 데이터는 자동차 회사에게 새로운 수익원을 의미합니다. 빅 데이터는 업계에서 차세대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동차 데이터 수익화는 자동차 회사가 미래의 스마트 자동차의 다양한 센서에 의해 생성 된 정보를 활용하려고하는 방법 중 하나 일뿐입니다. 빅 데이터 (Big Data)는 예측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와 정비 산업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있는 또 다른 게임 체인저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미래의 자동차는 계속해서 모든 구성 요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리해야하거나 교체해야 할 경우를 당신에게(혹은 차량 유지보수 업체에게) 사전에 알 수있게 해줍니다.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결합은 자동차 및 운송 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V2V 통신, Big Data 및 AI의 결합은 보다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 맞춤형 보험 정책 등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 혁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를 위한 이점은 차량 고장의 횟수와 비용이 낮아지고, 안전 운전자에게 더 저렴한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개발자, 이동 학습, 데이터 기반 기능 및 궁극적으로 자동차 데이터 상업화는 2018 년에도 빅 데이터 관련 기술이 계속해서 열릴 것입니다. 당연히 이러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누가이 모든 데이터를 소유하고 (그리고 누가 재정적으로 이익을 가져갈지?)하는 것에 대해 도전/당면과제 입니다.

전반적으로 2018 년은 자동차 산업에서 흥미진진한 한 해가 될 것입니다 : 2017 년 이전에 뿌리를 내린 추세는 운송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며, 자동차 개발산업에서의 혁신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 해 줄 것입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13 Jan 2018 12:33 AM (7 years ago)

PMI Glossary 001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PMI에서 새롭게 출시된 PMBOK (프로젝트 관리 지식체계 지침서) 및  Agile Practice Guide/ 실무 지침서는 급변하는 시대 환경에 따라 통합되어 출시되었습니다. 각각의 Glossary/용어해설이 구분되어있는 것을, “Open Minds. Multiple Approaches. One Goal” / 하나의 목표(프로젝트 성공)를 위한 열린 마음가짐, 다양한 접근방식 슬로건에 맞추어 하나로 통합했습니다. 총 581개의 단어집은 프로젝트 관리에 focus 되어 있기 때문에, PMI의 Lexicon 보다 상세히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단어에 대한 표준 목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 a3 / A3 : A3 크기 용지 한 장에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체계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 및 사고방식.
  2. acceptance criteria / 인수기준 : 인도물이 인수되기까지 충족해야 할 일련의 조건.
  3. acceptance test- driven development (atdd) / 인수 테스트 주도 개발(ATDD) : 인도가 시작되기 전에 인수 테스트를 정립하는 데 사용할 인수테스트 기준을 공동으로 제정하는 방법.
  4. accepted deliverables / 수용된 인도물 :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되어 프로젝트 고객이나 스폰서가 지정한 인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제품, 결과 또는 서비스 역량.
  5. accuracy / 정확도 : 품질관리 시스템 내에서 정확도는 정확성의 척도이다
  6. acquire resources / 자원 확보 : 프로젝트 작업을 완료하는 필요한 팀원, 설비, 장비, 자재, 보급품 및 기타 자원을 확보하는 프로세스.
  7. acquisition / 획득 :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는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 획득에는 자원 비용이 내포되지만 반드시 금전적 의미는 아니다.
  8. activity / 활동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구성하는, 예정된 개별 작업 요소.
  9. activity attributes / 활동속성 : 활동목록에 포함될 수 있는 일정활동과 연관된 여러 속성. 활동 코드, 선행활동, 후행활동, 논리적 관계, 선도 및 지연, 자원 요구사항, 지정일자, 제약 및 가정 등이 활동속성에 포함된다.
  10. activity duration / 활동기간 : 일정활동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기간을 단위로 나타낸 값. 기간(Duration) 참조.
  11. activity duration estimates / 활동기간 산정치 : 활동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빈 단위 기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값.
  12. activity list / 활동목록 : 일정활동을 정리해서 기록한 표로, 프로젝트 팀원이 수행 작업을 파악할 수 있도록 활동기술, 활동식별코드, 작업범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13. activity-on-node / 노드표기활동 : 선후행도형법(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PDM) 참조.
  14. actual cost / 실제원가 : 지정된 기간 동안 활동에서 수행한 작업에서 실제로 발생한 원가.
  15. actual duration / 실제활동기간 : 일정활동의 실제시작일과 프로젝트 일정의 데이터 기준일(일정활동이 진행 경우) 또는 실제종료일(일정활동이 완료된 경우) 사이의 기간을 역일 단위로 나타낸 값.
  16. adaptive life cycle / 적응형 생애주기 : 프로젝트의 반복적 또는 점증적 생애주기.
  17. affinity diagrams / 친화도 : 효과적인 검토와 분석을 위하여 수많은 아이디어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기법
  18. agile / 애자일 : ‘애자일 선언’에 명시된 가치 및 원칙의 사고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
  19. agile coach / 애자일 코치 : 변혁을 통해 조직과 팀을 교육 및 지도하고 이끌 수 있는 애자일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재.
  20. agile life cycle / 애자일 생애주기 : 작업 항목을 구체화하고 자주 인도하기 위해 반복적, 증분적 특성을 모두 취하는 접근방식.
  21. agile manifesto / 애자일 선언 : 애자일 가치와 원칙을 밝힌 최초의 공식적 정의.
  22. agile mindset / 애자일 사고방식 : 애자일 선언의 4 가지 가치와 12 가지 원칙이 뒷받침하는 사고 및 행동 방식.
  23. agile practitioner / 애자일 실무자 : 교차기능팀에서 비슷한 사고의 동료들과 협업하는 애자일 사고방식을 포용하는 실무자. 애자일리스트라고도 한다.
  24. agile principles / 애자일 원칙 : ‘애자일 선언’에 구체적으로 제시된 12 가지 애자일 프로젝트 인도 원칙.
  25. agile unified process / 애자일 통합 프로세스(AUP) : 애자일 기법과 개념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 래셔널 통합 프로세스(RUP)를 단순화한 버전이다.
  26. agilist / 애자일리스트 : ‘애자일 실무자’ 참조.
  27. agreements / 협약 : 프로젝트의 초기 의도를 정의하는 모든 문서 또는 의사소통 자료. 계약서, 양해각서 (MOU), 합의서, 구두 합의사항, 이메일 등의 형식일 수 있다.
  28. alternative analysis / 대안분석 : 프로젝트 작업을 실행 및 수행하는 데 사용할 방법을 선별하기 위해, 식별된 여러 가지 옵션을 평가하는 기법.
  29. analogous estimating / 유사산정 : 과거 유사한 활동 또는 프로젝트의 선례데이터를 이용하여 활동이나 프로젝트의 기간 또는 산정하는 기법.
  30. analytical techniques / 분석기법 : 프로젝트 또는 환경변수의 가능한 변이와 다른 변수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가능한 산출물을 평가, 분석 또는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
  31. anti-pattern / 안티패턴 : 확인된 결함이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작업 패턴.
  32. assumption / 가정 : 기획 프로세스에서 증거 실증 없이 진실, 사실 또는 확실한 것으로 간주하는
  33. assumption log / 가정사항 기록부 : 프로젝트 생애주기에 걸쳐 모든 가정과 제약을 기록한 프로젝트 문서.
  34. attribute sampling / 속성 표본추출 : 품질측정 방법으로, 고려 중 각 단위에서 일부 특성(속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35. authority / 권한 : 프로젝트 자원을 사용하고, 자금을 지출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승인할 수 있는 권한
  36. automated code quality analysis / 자동화된 코드품질 분석 : 버그 및 취약점에 대한 코드 기반 스크립트 테스트.
  37. backlog / 백로그 : ‘제품 백로그’ 참조
  38. backlog refinement / 백로그 상세화 :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팀에서 협업으로 요구사항을 검토 및 업데이트하고 작성해나가면서 프로젝트 요구사항 및/또는 진행 활동을 점진적으로 구체화하는 방식.
  39. backward pass / 후진계산 : 프로젝트 종료일로부터 일정 모델을 역으로 진행하면서 늦은시작일(LS)과 늦은종료일(LF)을 계산하는 방식의 주공정법(CPM).
  40. bar chart / 막대차트 : 일정 관련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표. 일반적인 막대차트에서는 일정활동 또는 작업분류체계(WBS) 구성요소가 차트 왼쪽 나열되고, 맨 위에 수평으로 날짜가 나타나며, 활동 날짜가 표시된 수평 막대로 나타난다. 간트 차트 (Gantt chart) 참조.
  41. baseline / 기준선 : 승인된 버전의 작업 산출물로 공식적인 변경통제 절차를 통해서만 변경할 수 있고 실 결과에 대한 비교 기준으로 사용된다.
  42. basis of estimates / 산정 기준서 : 가정, 제약, 상세 수준, 범위 신뢰도 수준 등의 프로젝트 산정치 산출에 사용되는 세부정보를 간략히 기술한 참고 문서.
  43. behavior-driven development (bdd) / 행위 주도 개발(BDD) : 테스트 우선 원칙과 생활 언어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사용하는 시스템 설계 및 확인 기법.
  44. benchmarking / 벤치마킹 : 벤치마킹은 프로세스나 운영과 같은 실제 또는 계획 실무사례를 유사한 조직의 실무사례와 비교함으로써 모범사례를 식별하고, 개선책을 구상하고, 성과측정에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45. benefits management plan / 편익관리 계획서 :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편익을 창출 극대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 문서.
  46. bid documents / 입찰 문서 : 참여자격을 갖춘 판매자에게 정보, 견적서 또는 제안서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서.
  47. bidder conference / 입찰자 회의 : 입찰 또는 제안에 들어가기 전에 조달 사항을 충분히 이해시키기 위해 모든 판매자들과 갖는 회의. 회의, 판매자 회의 또는 선입찰 회의라고도 한다.
  48. blended agile / 혼합 애자일 : 두 가지 이상의 애자일 프레임워크, 방법, 요소 또는 실무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며, 예로는 XP 및 칸반(Kanban) 방법에 스크럼을 적용하는 사례가 있다.
  49. blocker / 블로커 : ‘장애’ 참조.
  50. bottom-up estimating / 상향식 산정법 : 작업분류체계(WBS)의 하위 수준 구성요소별 산정치를 집계하여 프로젝트 기간이나 원가를 산정하는 방법.
  51. broken comb / 다재다능형(broken comb) : 팀에 요구되는 여러 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고 정통한 전문성을 갖춘 인재. (각주 : 이 빠진 머리빗으로 잘 빗겨진다는 의미. 역할별 구성은 완벽하지 않더라도 팀 역량은 부족함이 없다는 뜻이지만 한글 정의로는 의미 전달이 어려워 다재다능형(broken comb)으로 대체 정의함). 다재다능형(paint drip)이라고도 한다. ‘T-형’ 및 ‘I-형’ 참조.
  52. budget / 예산 : 프로젝트, 작업분류체계( WBS) 구성요소 또는 모든 일정활동에 대해 승인된 산정치.
  53. budget at completion / 완료시점예산 : 수행할 작업에 대해 책정된 모든 예산의 합계.
  54. buffer / 완충 : 예비(Reserve) 참조
  55. burndown chart / 번다운 차트 : 타임박스에 남아 있는 시간 대비 잔여 작업을 그래프로 표시한 차트.
  56. burnup chart / 번업 차트 : 제품의 출시 시점까지 완료되는 작업량을 그래프로 표시한 차트.
  57. business case / 비즈니스 케이스 : 문서로 정리된 경제적 연구 자료로, 정의가 못한 구성요소가 제공할 혜택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프로젝트 활동을 승인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된다.
  58. business requirement documents (brd) / 비즈니스 요구사항 문서(BRD) :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요구사항의 목록.
  59. business value / 비즈니스 가치 : 비즈니스 업무에서 파생된 정량적 순 편익을 나타내는 수치. 편익은 유형 또는 무형이거나 두 가지 모두에 해당될 수 있다.
  60. cadence / 주기적인 일정 : 수행리듬. ‘타임박스’ 참조.
  61. cause and effect diagram / 인과관계도 :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역으로 추적하여 근본 밝히는 데 유용한 분해기법.
  62. change / 변경 : 공식적으로 통제되는 인도물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속한 문서 또는 프로젝트 문서를 수정하는 조치.
  63. change control / 변경통제 : 프로젝트와 연관된 문서, 인도물 또는 기준선에 대한 변경사항을 식별하여 문서화하고 승인 또는 거부하는 프로세스.
  64. change control board / 변경통제위원회 :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 검토, 평가, 승인, 보류 또는 거부할 책임과 결정사항에 대한 기록 및 의사소통을 담당하기 위해 구성된 공인 위원회.
  65. change control system / 변경통제 시스템 : 프로젝트 인도물과 문서에 대한 변경사항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기술한 체계.
  66. change control tools / 변경통제 도구 : 변경 및 형상관리를 지원하는 수동 또는 자동 처리 도구. 도구는 최소한 변경통제위원회(CCB)의 활동을 뒷받침해야 한다.
  67. change log / 변경사항 기록부 : 프로젝트 기간에 제출된 변경사항 목록과 변경사항별 현황 기록부.
  68. change management plan / 변경관리 계획서 : 변경통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의 권한 범위와 변경통제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
  69. change request / 변경요청 : 문서, 인도물 또는 기준선의 수정을 공식적으로 제안하는 조치.
  70. charter / 헌장 : 프로젝트헌장(Project Charter) 참조.
  71. checklist analysis / 점검목록 분석 : 정확성과 완성도 목록을 사용하여 자료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기법.
  72. checksheets / 점검기록지 : 데이터를 수집할 때 점검목록으로 사용할 수 집계 기록지.
  73. claim / 클레임 : 법적 구속력이 있는 계약조건에 의거한 보상 지불과 관련하여 구매자를 대상으로 판매자가 또는 판매자를 대상으로 구매자가 행사할 수 있는 권리요청, 요구 또는 주장(예:분쟁이 야기된 변경 관련 클레임)
  74. claims administration / 클레임 행정관리 : 계약 클레임을 처리 및 판정하고 상호 의사소통을 진행하는 프로세스.
  75. close project or phase / 프로젝트 또는 단계 종료 : 프로젝트, 단계 또는 계약에 속한 모든 활동을 종료하는 프로세스.
  76. closing process group / 종료 프로세스 그룹 : 프로젝트, 단계 또는 계약을 공식적으로 완료하거나 종료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
  77. code of accounts / WBS 코드 : 작업분류체계(WBS)의 각 구성요소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번호 지정 체계.
  78. collect requirements / 요구사항 수집 :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사항과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판별하여 문서화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
  79. collective code ownership / 코드 공동소유권 : 모든 팀원에게 프로젝트 작업 결과물 또는 인도물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여 팀 차원의 소유권과 책임을 강조하는 방식의 프로젝트 가속화 및 협업 기법.
  80. colocation / 동일장소배치 : 프로젝트 팀원들 간 긴밀한 의사소통과 업무협력, 향상을 위해 팀원들을 위치에 배치하는 방식의 배치 전략.
  81. communication methods / 의사소통 방법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체계적인 절차, 기법 또는 프로세스.
  82. communication models / 의사소통 모델 : 프로젝트에 관한 의사소통 프로세스의 수행방법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설명, 비유 또는 도식.
  83. communication requirements analysis / 의사소통 요구사항 분석 : 인터뷰, 워크숍, 과거 프로젝트에서 얻은 교훈 등을 통해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정보 요구사항을 결정하는 분석기법.
  84. communication styles assessment / 의사소통 형식 평가 : 계획된 의사소통 활동에 대하여 이해관계자들이 선호하는 의사소통 방법, 및 내용을 식별하는 기법.
  85. communication technology / 의사소통 기술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사이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특정 도구,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86. communications management plan / 의사소통관리 계획서 :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의 및 배포 방법, 시기 및 담당자를 명시한 문서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87. conduct procurements / 조달수행 : 대상 판매자를 모집하고, 판매자를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프로세스.
  88. configuration management plan / 형상관리 계획서 : 형상통제를 받는 프로젝트 품목을 식별하고 고려하는 방법과 변경사항을 프로젝트 품목에 기록 및 보고하는 방법을 명시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89.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 형상관리 시스템 : 프로젝트 품목을 추적하고 품목에 대한 변경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 규정.
  90. conformance / 적합성 : 품질관리 시스템 내에서 적합성은 품질 요구사항에 대해 허용되는 변이를 한도를 벗어나지 않는 인도물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개념이다.
  91. constraint / 제약 :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또는 프로세스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제한 요인.
  92. context diagrams / 배경도 : 비즈니스 시스템(프로세스, 장비, 컴퓨터 시스템 등)과 함께 인적자원 및 다른 시스템(행위자)과 비즈니스 시스템의 상호작용 방법을 도식으로 보여주는 제품 범위도.
  93. contingency / 우발사태 : 예비로 대응할 수도 있는, 프로젝트의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나 돌발 사태
  94. contingency reserve / 우발사태 예비 : 확인된 리스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전략으로, 일 또는 원가 기준선에 할당된 시간 또는 자금.
  95. contingent response strategies / 우발사태 대응 전략 : 특정 유발조건이 발생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된 대응책.
  96. continuous delivery / 지속적 인도(CD) : 대개 소단위 작업 및 여러 자동화 기술을 사용하여 고객에게 즉각적으로 증분된 기능을 인도하는 실무.
  97. 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CI) : 모든 팀원의 작업 결과물을 잦은 주기로 통합하고 확인하는 실무.
  98. contract / 계약 : 계약은 지정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을 제공할 판매자의 의무와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구매자의 의무를 명시하는 상호간에 구속력 있는 협정이다.
  99. contract change control system / 계약변경통제 시스템 : 계약에 대한 변경 사항을 수집, 추적 및 판정하고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100. control / 통제 : 계획성과와 실제성과를 비교하고, 차이를 분석하고, 프로세스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추세를 평가하고, 가능한 대안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시정조치를 제안하는 일련의 활동.
  101. control account / 통제단위 : 성과측정을 목적으로 범위, 예산, 실제 원가 및 일정을 통합하여 획득가치와 비교하는 관리 통제점.
  102. control chart / 관리도 :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프로세스 데이터를 설정된 통제한계에 대비하여 그래프로 표시한 도표. 표시된 값들의 추이가 통제한계로 접근하는지 판단하기 쉽도록 중앙선이 표시되어 있다.
  103. control costs / 원가통제 : 프로젝트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프로젝트 원가를 업데이트하고 원가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104. control limits / 통제한계 : 관리도에 표시된 데이터의 정상 분포에서 중앙선(또는 평균)의 한쪽 구간에 세 개의 표준편차로 구성되는 영역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변이를 나타낸다. 사양 한계(Specification Limits) 참조.
  105. control procurements / 조달통제 : 조달관계를 관리하고, 이행을 감시하고, 적절한 변 및 시정 조치를 수행하고, 계약을 종결하는 프로세스.
  106. control quality / 품질통제 : 품질관리 활동의 실행결과를 감시하고 기록하면서 성과를 평가하고 프로젝트 산출물이 완전하고 정확하며 고객의 기대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프로세스.
  107. control resources / 자원통제 : 프로젝트에 할당되고 배정된 실제 자원을 예정대로 수 있는지 확인하고, 계획 대비 실제 자원 활용률을 비교하며, 필요에 따라 시정조치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108. control schedule / 일정통제 : 프로젝트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프로젝트 일정을 업데이트하고 일정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109. control scope / 범위통제 : 프로젝트 및 제품 범위의 상태를 감시하고 범위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110. corrective action / 시정조치 : 프로젝트작업의 성과를 프로젝트관리 계획과 맞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111. cost aggregation / 원가합산 :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WBS)에 제시 수준 또는 주어진 원가통제 단위의 다양한 작업패키지와 연관된 하위 수준 원가 산정치들의 합산.
  112. cost baseline / 원가 기준선 : 승인된 버전의 시간 단계별 프로젝트 예산으로, 관리예비는 제외되며, 공식적인 변경통제 절차를 통해서만 변경될 수 있고 실 결과에 대한 비교 기준으로 사용된다.
  113. cost management plan / 원가관리 계획서 : 원가를 계획, 구성 및 통제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114. cost of quality / 품질비용 : 요구사항에 대한 부적합한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투자, 요구사항에 대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적합성 평가, 요구사항 준수 미달로 인해 제품 생애주기 전반에 모든 비용.
  115. cost performance index / 원가성과지수 : 예산자원의 원가효율을 측정하는 지수로, 획득가치(EV) 대비 실제원가(AC)의 비율로 표시한다.
  116. cost plus award fee contract / 보상금가산원가 계약 : 완료한 작업에 발생되는 합법적인 실제원가에 판매자 수익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가산한 금액을 판매자에게 지불하는 유형의 계약.
  117. cost plus fixed fee contract / 고정수수료가산원가 계약 : 판매자가 정당하게 청구할 있는 원가(계약에 따라 결정되는 정당한 원가)에 고정액의 수익(수수료)을 가산한 금액을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상환하는 유형의 원가정산 계약.
  118. cost plus incentive fee contract / 성과급가산원가 계약 : 판매자가 정당하게 청구할 있는 원가(계약에 따라 결정되는 정당한 원가)를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상환하고 정해진 성과 충족할 때 판매자 수익금이 지불되는 방식의 원가정산 계약.
  119. cost variance / 원가차이 : 주어진 시점의 예산 적자 또 흑자 금액으로, 획득가치(EV)와 실제 원가(AC) 간의 차이로 표시된다.
  120. cost-benefit analysis / 비용-편익 분석 : 원가 기준으로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편익을 결정하는 사용되는 재무분석 도구.
  121. cost-reimbursable contract / 원가정산 계약 : 판매자의 실제원가에 대한 지불금에 판매자의 수익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가산하는 방식의 계약.
  122. crashing / 공정압축법 : 자원을 보충하여 최소한의 추가 비용으로 일정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123. create wbs / 작업분류체계 작성 : 프로젝트 인도물과 프로젝트작업을 관리하기 편하도록 작은 구성요소로 세분하는 프로세스.
  124. criteria / 기준 : 판단이나 결정의 근거가 되거나 제품, 서비스, 결과 또는 프로세스의 평가 될 수 있는 표준, 규칙 또는 테스트.
  125. critical path / 주공정 : 프로젝트를 통해 가장 긴 경로를 나타내는 일련의 활동순서로, 가능한 최단기간을 결정하는 방법.
  126. critical path activity / 주공정 활동 : 프로젝트 일정에서 주공정 경로상의 모든 활동.
  127. critical path method / 주공정법 : 일정 모델의 논리 네트워크 경로에서 일정계획에 유연성이 허용되는 기간을 결정하고 프로젝트의 최소기간을 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128. cross-functional team / 교차기능팀 : 가치가 증분된 제품을 인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기술을 갖춘 실무자들을 참여시키는 팀.
  129. crystal family of methods / 크리스탈 패밀리 방법론 : 특정 환경에 적응 가능성에 중점을 둔 경량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모음.
  130. daily scrum / 일일 스크럼(daily Scrum) : 팀에서 전날 진척 상황을 검토하고 오늘 추진 의도를 공표하고, 발생했거나 예상되는 모든 장애를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해 매일 진행하는 간략한 협업 회의. 일일 스탠드업(daily standup)이라고도 한다.
  131. data / 데이터 : 체계적으로 구성 및 처리되지 않은 개별 측정치 또는 실제 관찰값.
  132. data analysis techniques / 데이터분석기법 : 데이터와 정보를 체계화하고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133. data date / 데이터 기준일 : 프로젝트의 상태가 기록되는 시점.
  134. data gathering techniques / 데이터수집기법 : 다양한 출처에서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135. data representation techniques / 데이터 표현 기법 : 데이터와 정보를 전달하는 사용되는 도식 또는 기타 방식.
  136. decision tree analysis / 의사결정나무 분석 : 불확실성이 존재할 때 옵션들에 함축된 의미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및 계산기법.
  137. decision-making techniques / 의사결정기법 : 여러 가지 대안에서 한 가지 행동방침을 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138. decomposition / 분할 : 프로젝트 범위와 프로젝트 인도물을 관리하기 편한 요소로 세분하는 기법.
  139. defect / 결함 : 프로젝트 구성요소에 요구사항이나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여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결점이나 결손이 있는 상태.
  140. defect repair / 결함수정 : 부적합한 제품 또는 제품 구성요소를 수정하기 위한 목적의 활동.
  141. define activities / 활동정의 : 프로젝트 인도물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할 관련 활동들을 식별하고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142. define scope / 범위정의 : 프로젝트와 제품에 대한 설명을 개발하는 프로세스.
  143. definition of done (dod) / 완료 정의(DoD) : 팀에서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완료된 인도물로 간주하기 위해 충족해야 할 모든 기준을 명시한 팀 점검목록.
  144. definition of ready (dor) / 준비 정의(DoR) : 팀이 작업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가 있는 사용자 중심 요구 사항에 대한 팀의 점검목록.
  145. deliverable / 인도물 : 프로세스, 단계 또는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 산출해야 하는 고유하면서 검증 가능한 제품, 결과 또는 서비스 수행 역량.
  146. dependency / 의존관계 : 논리적 관계(Logical Relationship) 참조.
  147. determine budget / 예산책정 : 개별 활동 또는 작업패키지별로 산정된 원가를 합산하여 승인된 기준선을 세우는 프로세스
  148. develop project charter / 프로젝트헌장 개발 : 프로젝트의 채택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조직의 자원을 프로젝트 활동에 투입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의 문서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149. develop project management plan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 개발 : 계획서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정의, 작성 및 조율하여 하나의 통합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취합하는 프로세스.
  150. develop schedule / 일정개발 : 활동 순서, 기간, 자원 요구사항, 일정 제약을 분석하여 프로젝트를 실행,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한 프로젝트 일정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151. develop team / 팀개발 : 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팀원들의 능력과 협력, 전반적인 팀 분위기를 개선하는 프로세스.
  152. development approach / 개발방식 : 프로젝트 생애주기 동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을 산출하고 진화해 나가는 데 사용되는 방식으로, 예측형, 반복적, 점증적, 민첩형 또는 복합형 방식이 있다.
  153. devops / 데브옵스(DevOps) : 개발자와 운영자간 협업을 향상시켜서 인도단계까지의 원활한 흐름을 구현하는 실용 기법의 모음.
  154. diagramming techniques / 도식화기법 : 이해를 돕기 위해 논리적 연결을 통해 정보를 표현하는 기법.
  155. direct and manage project work / 프로젝트작업 지시 및 관리 :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작업을 지도 및 수행하고, 승인된 변경 실행하는 프로세스.
  156. disciplined agile (da) / 체계적 애자일(DA) : 점증적이고 반복적인 솔루션 인도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157. discrete effort / 개별 업무 : 계획수립과 측정이 가능하며 특정한 결과물을 산출하는 활동. [참고: 개별 업무는 작업성과 측정에 사용되는 가지 유형의 획득가치관리(EVM) 활동 하나이다.]
  158. discretionary dependency / 임의적 의존관계 : 특정 응용분야에서 검증된 모범사례 또는 특정 순서가 요구되는 프로젝트 측면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관계.
  159. documentation reviews / 문서검토 : 정보들을 수집하여 정보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판별하기 위해 검토하는 프로세스.
  160. double-loop learning / 이중순환 학습 : 증상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근본 원인을 더 자세히 설명하고 개선된 대책을 찾기 위해 근본적인 가치와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프로세스.
  161. duration / 기간 : 일정활동 또는 작업분류체계 구성요소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총 작업 기간으로, 시간, 일 또는 주 수로 표시된다. 노력(effort)과 대조됨.
  162. dynamics systems development model (dsdm) / 동적시스템개발방법(DSDM) : 애자일 프로젝트 인도 프레임워크.
  163. early finish date / 빠른종료일 : 주공정법에서 일정활동의 미완결 부분을 일정 네트워크 논리, 데이터 기준일, 기타 일정상 제약에 기준하여 빠르게 종료할 수 있는 시점
  164. early start date / 빠른시작일 : 주공정법에서 일정활동의 미완결 부분을 일정 네트워크 논리, 데이터 기준일, 기타 일정상 제약에 기준하여 빠르게 시작할 수 있는 시점
  165. earned value / 획득가치 : 수행한 작업의 측정가치로, 작업에 승인된 예산으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166. earned value management / 획득가치관리 : 프로젝트의 범위, 일정, 자원 측정치를 모두 결합하여 프로젝트 성과 및 진척률을 평가하는 방법론.
  167. effort / 업무(량) : 일정활동 또는 작업분류체계 구성요소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단위 노동의 양으로, 보통 시간, 일, 주 수로 표시한다. 기간(duration)과 대조됨.
  168. emotional intelligence / 감성지능 : 본인 및 타인의 개인감성, 그리고 집단의 군중감성을 식별하고 평가 및 관리하는 능력.
  169. enterprise environmental factors / 기업환경요인 : 프로젝트팀의 즉각적인 통제 아래 있지 않으면서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치거나 제약을 주거나 방향을 지시하는 가지 조건.
  170. estimate / 산정치 : 프로젝트 원가, 자원, 업무( 또는 기간 등과 같이, 변수 형태의 값으로 양이나 결과 정량적으로 추정한 수치.
  171. estimate activity durations / 활동기간 산정 : 산정된 자원으로 개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총 작업기간을 추정하는 프로세스.
  172. estimate activity resources / 활동자원 산정 : 프로젝트 작업을 수행하는 필요한 팀원 및 자재, 장비 또는 보급품의 종류와 산정하는 프로세스
  173. estimate at completion / 완료시점산정치 : 모든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예상되는 총 원가로, 실제 원가와 잔여분산정치를 합산한 결과.
  174. estimate costs / 원가산정 : 프로젝트 작업을 완료하는 필요한 금전적 자원의 근사치를 추정하는 프로세스
  175. estimate to complete / 잔여분산정치 : 남아 있는 프로젝트작업을 모두 완료하기 위해 예상되는 원가.
  176. evolutionary value delivery (evo) / 진화적 가치 인도(Evo) : 다른 방법에는 없는 특정 요소를 포함하는 최초 애자일 방법으로 널리 공인되며, 측정 가능한 여러 가지 가치 요구사항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인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177. execute / 실행 : 프로젝트작업을 지시, 관리, 수행 및 완료하고, 인도물을 제공하고, 작업성과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178. executing process group / 실행 프로세스 그룹 :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게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
  179. expert judgment / 전문가 판단 : 수행 중인 활동에 해당하는 응용분야, 지식영역, 전문분야, 산업분야의 전문지식에 근거하여 제시되는 판단. 이러한 전문지식은 전문 교육, 지식 기술, 경험 또는 훈련이 축적된 개인이나 그룹에서 제공할 수 있다.
  180. explicit knowledge / 명시적 지식 : 단어, 숫자, 그림 등의 기호를 사용하여 문서화할 수 있는 지식.
  181. external dependency / 외부적 의존관계 : 프로젝트 관련 활동과 프로젝트와 무관한 활동 사이의 관계.
  182. extreme programming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 품질이 향상된 소프트웨어를,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단축된 주기로 더 빈번한 출시를 유도하는 애자일 소프트웨어개발 방법.
  183. fallback plan / 대체방안 : 대체방안은 이슈, 리스크 기타 원인으로 인해 기본 계획을 폐기해야 할 때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 또는 조치를 포함한다.
  184. fast tracking / 공정중첩 단축법 :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이나 단계를 일정기간의 특정 구간에서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의 단축기법.
  185. feature-driven development / 기능 주도 개발(FDD) : 고객이 가치를 두는 기능 관점으로 추진되는 경량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186. fee / 수수료 : 판매자에게 대가의 일부로 제공되는 수익.
  187. finish date / 종료일 : 일정활동의 완료와 연관된 시점. 일반적으로 실제, 계획된, 산정된, 예정된, 늦은, 기준선, 목표 또는 등의 수식어를 붙여 의미를 한정한다.
  188. finish-to-finish / 종료-종료관계 : 선행활동이 완료되기 전에는 후행활동을 완료할 수 없는 논리적 관계.
  189. finish-to-start / 종료-시작관계 : 선행활동이 완료되기 전에는 후행활동을 시작할 수 없는 논리적 관계.
  190. firm fixed price contract / 확정고정가 계약 : 구매자가 판매자의 원가에 관계 없이 계약에 명시된 고정금액을 판매자에게 지불하는 형태의 고정가격 계약.
  191. fishbone diagram / 피시본 다이어그램 : 인과관계도(Cause and Effect Diagram) 참조
  192. fit for purpose / 목적 부합형 : 의도한 용도에 적합한 제품을 설명.
  193. fit for use / 용도 부합형 :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결과물을 설명하는 용어.
  194. fixed price incentive fee contract / 성과급가산고정가 계약 : 구매자가 계약에 명시된 고정금액을 지불하고, 판매자가 정의된 성과기준을 충족할 때 추가금액을 가산하는 형태의 계약.
  195. fixed price with economic price adjustment contract / 가격조정-조건부고정가 계약 : 고정가 계약의 일종이면서 특정 상품의 원가 상승(또는 하락)이나 인플레이션 변동 등에 따라 계약가에 사전 정의된 최종 조정안을 허용하는 특별 조항이 추가되는 형태의 계약.
  196. fixed-price contract / 고정가 계약 : 원가 또는 제공할 노력에 관계없이 정해진 범위의 작업에 지불할 수수료를 지정하는 형태의 계약.
  197. float / 여유 : 여유(Slack)라고도 한다. 자유여유(Free Float) 및 총여유(Total Float) 참조.
  198. flowchart / 순서도 : 시스템에 속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대한 투입물, 프로세스 조치, 산출물을 보여주는 도표.
  199. flowmaster / 플로우 마스터 : 지속적인 흐름 또는 칸반(Kanban) 정황에서 작업하는 팀 및 서비스 요청 관리자를 지도하는 코치. ‘스크럼 마스터’와 동일하다.
  200. focus groups / 핵심전문가 그룹 : 제안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에 대한 기대사항과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 해당 주제 전문가들로 구성된 집단.
  201. forecast / 예측치 : 예측 시점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와 지식을 토대로 프로젝트의 향후 조건 및 사건을 산정 또는 예상한 결과.
  202. forward pass / 전진계산 : 프로젝트 시작일 또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모델을 전진시키면서 빠른시작일과 빠른종료일을 계산하는 방식의 주공정법.
  203. framework / 프레임워크 : 접근방식을 지원하는 아이디어 또는 사실들로 구성된 기본적인 체제 또는 체계.
  204. free float / 자유여유 : 후행활동의 빠른시작일을 늦추거나 일정제약을 위반하지 않고 일정활동을 지연할 수 있는 시간.
  205. functional organization / 기능조직 : 전문 영역별로 직원들이 분류되고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작업 배정 및 자 투입에 대한 제한적 권한이 부여되는 조직 구조.
  206. functional requirement / 기능적 요구사항 : 제품 또는 서비스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특정 동작.
  207. functional specification / 기능 사양 :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특정 기능. 일반적으로 기능사양서에 기술된다.
  208. funding limit reconciliation / 자금한도 조정 : 프로젝트 자금에서 계획된 지출액을 프로젝트에 약정된 자금 한도와 비교하여 프로젝트 자금 한도와 지출 간의 차액을 확인하는 프로세스.
  209. gantt chart / 간트차트 : 세로 축에는 활동이 나열되고 가로 축에는 날짜가 나열되며 활동 기간은 시작일과 종료일에 따라 생성된 가로 막대로 표시되는 방식으로 일정정보를 보여주는 막대차트.
  210. grade / 등급 : 기능적인 용도는 같지만 요구사항은 다른 품목들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범주 또는 순위.
  211. ground rules / 기본규칙 : 프로젝트 팀원들에게 허용되는 행동에 내포된 기대사항.
  212. histogram / 히스토그램 : 수치 데이터를 그래프로 보여주는 막대차트.
  213. historical information / 선례정보 : 과거 프로젝트들에 대한 문서와 데이터로, 프로젝트 파일, 기록, 프로젝트와 관련해 교환된 서신, 종료된 계약, 종료된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214. hoshin kanri / 호신 칸리(Hoshin Kanri) : 전략 또는 정책의 배포 방법.
  215. hybrid approach / 혼합형 접근방식 : 두 가지 이상의 애자일 및 비애자일 요소들이 혼합된 방식으로, 최종 결과는 비애자일 유형이 된다.
  216. ideal / IDEAL : 착수(Initiating), 진단(Diagnosing), 구축(Establishing), 실행(Acting), 학습(Learning)이라는 5 단계 명칭을 의미하는 조직개선모델.
  217. identify risks / 리스크 식별 : 전체 리스크의 발생 근원과 개별 리스크를 식별하고 각 리스크의 특성을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218. identify stakeholders / 이해관계자 식별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를 정기적으로 식별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 참여도, 상호 의존관계, 영향 및 프로젝트의 성공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여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219. impact mapping / 영향도 매핑 : 새로운 제품을 제작하는 동안 조직의 로드맵 역할을 하는 전략적 계획수립 기법.
  220. impediment / 장애 : 팀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게 막는 방해물. 블로커라고도 한다.
  221. implement risk responses / 리스크대응 실행 : 합의된 리스크대응 계획을 실행하는 프로세스.
  222. imposed date / 지정일자 : 일정활동 또는 일정 마일스톤에 지정되는 날짜로 보통 지정된 날짜 “이후 시작”, “이전 종료” 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223. incentive fee / 성과금 : 판매자의 원가, 일정 또는 기술적 성과와 관련된 성과급 일체.
  224. increment / 증분 : 전체 프로젝트 결과에 포함되는 부속물로, 기능 테스트를 마치고 승인된 인도물.
  225. incremental life cycle / 점증적 생애주기 : 사전에 정해진 기간 내에 기능을 계속 추가해 나가는 일련의 반복 과정을 통해 인도물이 산출되는 적응형 프로젝트 생애주기. 최종 단계 이후에만 완성된 간주되는 필요충분 역량이 인도물에 포함된다.
  226. incremental life cycle / 증분적 생애주기 : 고객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완성된 인도물을 제공하는 접근방식.
  227. independent estimates / 독립산정 : 제3자가 원가, 일정 또는 사항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정보를 확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사용하는 프로세스.
  228. influence diagram / 영향관계도 : 다양한 변수와 산출물 우발적 영향, 시간순 사건, 기타 관계를 도식으로 보여주는 도표.
  229. information / 정보 : 특정 상황에 맞는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유용한 자료로 만들기 위해, 구체적인 가지고 처리되어 체계적으로 구성된 데이터.
  230.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 정보관리 시스템 : 정보 산출자와 정보 사용자 간에 물리적 또는 전자 형태 정보를 수집, 저장 및 배포하는 데 사용되는 기능, 프로세스 및 절차 체계.
  231. information radiator / 정보 상황판 : 팀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최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조직의 나머지 부서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적, 물리적 정보 현황판.
  232. initiating process group / 착수 프로세스 그룹 : 프로젝트 또는 단계의 대한 승인을 받아서 기존 프로젝트의 새 단계 또는 새 프로젝트를 정의하기 위해 수행하는 프로세스.
  233. input / 투입물 : 프로젝트 내부 또는 외부 여부에 관계없이, 프로세스를 진행하기에 앞서 프로세스에 필요한 모든 항목. 선행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산출물일 수도 있다.
  234. inspection / 검사 : 작업 결과물이 문서화된 표준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
  235. interpersonal and team skills / 대인관계 및 팀 기술 : 팀원과 이해관계자들을 효과적으로 이끌고 그들과 협업하는 기술.
  236. interpersonal skills / 대인관계 기술 :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기술.
  237. interviews / 인터뷰 : 이해관계자와 직접 대화를 통해 정보를 구하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정보 수집 방법.
  238. invitation for bid / 입찰초청서 : 일반적으로 제안 요청서와 동의어. 단, 일부 응용분야에서는 더 구체적이거나 협의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239. i-shaped / I-형 : 한 가지 전문 분야에만 정통하고 팀에 요구되는 나머지 기술 분야에 대한 관심이나 기술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 ‘T-형’ 및 ‘다재다능형(Broken Comb)’ 참조
  240. issue / 이슈 : 프로젝트 목표에 영향을 수도 있는 현재 여건이나 상황.
  241. issue log / 이슈 기록부 : 이슈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감시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젝트 문서.
  242. iteration / 반복(iteration) : 제품이나 인도물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일정 시간동안의 주기.
  243. iterative life cycle / 반복적 생애주기 : 일련의 반복적인 주기를 인도물이 완성되는 적응형 프로젝트 생애주기. 각 끝에서 완성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필요충분 역량이 인도물에 포함된다. 매 반복주기를 거치면서 인도물의 역량이 점차 개선된다.
  244. iterative life cycle / 반복적 생애주기 :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생애주기 초기에 프로젝트 범위가 결정되지만 프로젝트팀의 제품에 대한 이해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정기적으로 시간 및 원가 산정치를 수정하는 방식의 프로젝트 생애주기. 일련의 반복적인 주기를 통해 기능에 보완사항이 계속 추가되면서 제품이 개발된다
  245. iterative life cycle / 반복적 생애주기 : 미완성 작업에 대한 피드백을 참작하여 작업 결과를 개선하고 수정하는 접근방식.
  246. kaizen events / 카이젠(Kaizen) 이벤트 : 시스템 개선을 목표로 하는 이벤트.
  247. kanban board / 칸반(Kanban) 보드 : 병목 현황과 작업 수량을 가시화하여 작업 흐름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248. kanban method / 칸반(Kanban) 방법 : 원래 칸반(Kanban) 재고관리시스템에서 착안되었으며, 특히 지식작업에 활용되는 애자일 방법.
  249. knowledge / 지식 : 새로운 경험과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사람들이 활용하는 경험과 가치, 신념 상황 정보, 직관력, 통찰력이 종합된 집합체.
  250. lag / 지연 : 선행활동을 기준으로 후행활동을 연기할 수 있는 시간의 양.
  251. large-scale scrum (less) / 대규모 스크럼(LeSS) : 대규모 스크럼은 스크럼의 원래 목적은 유지하면서 확장성 지침을 통해 스크럼을 확장하는 제품 개발 프레임워크.
  252. late finish date / 늦은종료일 : 주공정법에서 일정활동의 미완결 부분을 일정 네트워크 논리, 프로젝트 완료일, 기타 일정상 제약에 기준하여 늦게 종료할 수 있는 시점.
  253. late start date / 늦은시작일 : 주공정법에서 일정활동의 미완결 부분을 일정 네트워크 논리, 프로젝트 완료일, 기타 일정상 제약에 기준하여 늦게 시작할 수 있는 시점.
  254. lead / 선도 : 선행활동을 기준으로 후행활동을 앞당길 수 있는 시간의 양.
  255. lean software development (lsd) / 린(Lean) 소프트웨어개발(LSD) : 린(Lean) 소프트웨어 개발은 린(Lean) 제작 원칙과 실무를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에 적용한 것으로, 품질, 속도 및 고객 맞춤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원칙과 실무를 기반으로 한다.
  256. lessons learned / 교훈 :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으로, 과거에 프로젝트 사건을 처리한 방법 또는 향후 성과개선 목적으로 따라야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257. lessons learned register / 교훈 관리대장 : 현재 프로젝트에서 활용하고 교훈 저장소에도 추가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기록하는 문서.
  258. lessons learned repository / 교훈 저장소 : 프로젝트에서 습득한 교훈에 관한 선례정보의 저장소.
  259. level of effort / 노력수준 : 확정된 완제품을 생산하지 않으며 경과한 시간으로 측정되는 활동.
  260. life cycle / 생애주기 : 프로젝트 생애주기(Project Life Cycle) 참조.
  261. life cycle / 생애주기 : 제품이 구상되고 제작되어 실용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프로세스 과정.
  262. log / 기록부 : 프로세스나 활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선별된 항목을 설명 또는 명시하는 데 사용되는 문서. 일반적으로 이슈, 변경 또는 가정 등의 단어와 함께 사용된다.
  263. logical relationship / 논리적 관계 : 두 가지 활동 사이 또는 활동과 마일스톤 사이에 형성되는 의존관계.
  264. make-or-buy analysis / 제작-구매 분석 : 제품 요구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한 후 구매 또는 자체 제작을 포함하여 가능한 대안과 분석하는 프로세스.
  265. make-or-buy decisions / 제작-구매 결정 : 제품의 외부 구매 또는 내부 제작 여부에 대한 결정.
  266. manage communications / 의사소통관리 : 의사소통관리는 프로젝트 정보를 적시에 적절한 방식으로 수집, 생성, 배포, 저장, 검색, 관리 및 감시하고 최종 처리하는 프로세스이다
  267. manage project knowledge / 프로젝트지식 관리 :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하고 조직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존 지식을 활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가는 프로세스.
  268. manage quality / 품질관리 : 조직의 품질 정책을 프로젝트에 반영하여, 품질관리 계획을 실행 품질 관련 활동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
  269. manage stakeholder engagement / 이해관계자 참여관리 : 이해관계자의 요구 및 기대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이슈를 해결하고 관련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세스.
  270. manage team / 팀관리 : 프로젝트 성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팀원의 성과를 추적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슈를 해결하고, 팀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271. management reserve / 관리예비 : 통제 관리를 목적으로 성과측정기준선(PMB) 에 포함되지 않는 프로젝트 또는 프로젝트 일정으로, 프로젝트 범위 안에서의 예상치 못한 작업을 위해 예비된다.
  272. management skills / 관리기량 :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개인 또는 기획 및 구성하고, 지시를 내리고 통제하는 역량.
  273. mandatory dependency / 의무적 의존관계 : 계약상 요구되거나 작업의 본질에 따라 형성되는 관계.
  274. master schedule / 대일정 : 주요 인도물 및 작업분류체계 구성요소, 주요한 일정 마일스톤을 요약해서 정리한 프로젝트 일정. 마일스톤 일정(Milestone Schedule) 참조.
  275. matrix diagrams / 매트릭스도 : 매트릭스로 생성된 조직 내에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품질관리 및 통제 도구. 매트릭스도는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행과 열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인, 원인 및 목표들 간 관계의 강도를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276. matrix organization / 매트릭스 조직 : 프로젝트작업의 우선순위 지정, 프로젝트에 배정된 팀원의 업무 지시에 대한 책임을 프로젝트 관리자와 기능조직 관리자가 공동으로 지는 조직 구조.
  277. methodology / 방법론 : 전문분야의 작업자가 사용한 실무 사례, 기법, 절차 및 체계.
  278. milestone / 마일스톤 :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시점이나 사건.
  279. milestone schedule / 마일스톤 일정 : 마일스톤과 예정 날짜를 제시하는 방식의 일정. 대일정(Master Schedule) 참조.
  280. mind-mapping / 마인드매핑 : 개별 브레인스토밍 세션을 통해 창출된 아이디어들을 하나의 맵에 통합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이 반영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법.
  281. mobbing / 집단동일작업(mobbing) : 여러 팀원이 특정 작업 항목에 동시에 집중하면서 서로의 기여도를 조율하는 기법.
  282. monitor / 감시 : 프로젝트 성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성과 측정치를 산출하고, 성과정보를 보고 배포하는 조치.
  283. monitor and control project work / 프로젝트작업 감시 및 통제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정의된 성과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트 진척을 추적 및 검토하고 보고하는 프로세스.
  284. monitor communications / 의사소통 감시 : 프로젝트와 이해관계자의 정보 요구사항이 충족되는지 확인하는 프로세스.
  285. monitor risks / 리스크 감시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리스크 대응계획이 실행되는지 감시하고, 리스크를 추적하고, 새로운 리스크를 식별 및 분석하고, 리스크 프로세스 유효성을 평가하는 프로세스.
  286. monitor stakeholder engagement / 이해관계자참여 감시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관계를 감시하면서 이해관계자의 참여 전략 및 계획 수정을 통해 이해관계자 참여 조정하는 프로세스.
  287. monitoring and controlling process group / 감시 및 통제 프로세스 그룹 : 프로젝트의 진척과 성과를 추적, 검토 및 조절하고, 계획에 변경이 필요한 식별하여, 이에 상응하는 변경을 착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프로세스.
  288. monte carlo simulation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확률분포와 확률론적 가지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에 무작위로 선정된 입력 컴퓨터 모델을 여러 번 반복하여 분석하는 기법. 프로젝트 결과물의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산출물이 생성 됨.
  289.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 다기준 의사결정 분석 : 이 기법에서는 리스크 수준, 불확실성, 평가 가치 등의 기준을 정립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인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의사결정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수많은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순위를 매긴다.
  290. network / 네트워크 : 프로젝트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Project Schedule Network Diagram) 참조.
  291. network logic / 네트워크 논리 : 프로젝트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나타나는 모든 활동들의 의존관계.
  292. network path / 네트워크 경로 : 프로젝트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서 논리적 관계로 연결되는 활동들의 진행경로.
  293. networking / 네트워킹 : 동일 조직 또는 다른 조직의 인적 자원과 연계 및 관계 형성.
  294. node / 노드 :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서 의존관계선들이 연결되는 지점.
  295. nominal group technique / 명목집단기법 : 심층 브레인스토밍 또는 우선순위 결정에 가장 순서로 아이디어 순위를 매기는 투표 절차를 거쳐 브레인스토밍을 개선하는 기법.
  296. objective / 목표 : 작업이 추진될 방향, 도달할 전략적 위치 또는 성취할 목적, 획득할 결과, 생산할 제품 또는 수행할 서비스.
  297. opportunity / 기회 : 한 가지 이상의 프로젝트 목표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리스크.
  298. organizational bias / 조직 편견 : 탐험 대 실행, 속도 대 안정성, 수량 대 품질, 유연성 대 예측성과 같은 핵심 가치로 규정되는 일련의 척도에 대한 조직의 선호도.
  299. organizational breakdown structure / 조직분류체계 : 조직에서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는 팀과 프로젝트 활동들 사이 관계를 보여주는 프로젝트 조직의 계통도.
  300.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 조직 변경관리 : 개인, 그룹 및 조직을 현재 상태에서 의도한 비즈니스 편익이 적용된 미래 상태로 전환하는 종합적, 주기적, 체계적인 접근 방식.
  301. organizational learning / 조직의 학습 : 개인과 그룹, 조직이 지식을 개발하는 방법과 관련된 체계.
  302. organizational process assets / 조직 프로세스 자산 : 수행 조직과 관련되고 수행 조직에 의해 사용되는 계획, 프로세스, 정책, 절차 및 기반.
  303. output / 산출물 :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결과 또는 서비스. 산출물이 후행 프로세스의 투입물이 수 있다.
  304. overall project risk / 포괄적 프로젝트 리스크 : 개별적인 리스크를 포함한 모든 불확실성의 유발 근원으로부터 나오거나, 이해관계자가 프로젝트 결과물의 긍정적 또는 모든 변이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프로젝트 전반의 불확실성의 효과
  305. paint drip / 다재다능형(paint drip) : ‘다재다능형(Broken Comb)’ 참조.
  306. pair programming / 페어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에 주력하는 페어작업.
  307. pair work / 페어작업 : 두 명의 팀원이 한 조가 되어 동일한 작업 항목에 협업하는 페어링 기법.
  308. pairing / 페어링 : ‘페어작업’ 참조.
  309. parametric estimating / 모수산정 :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례 데이터와 프로젝트 모수를 기준으로 원가 또는 기간을 계산하는 산정기법.
  310. path convergence / 경로수렴 : 선행활동이 여러 개인 일정활동에서 나타나는 관계
  311. path divergence / 경로분기 : 후행활동이 여러 개인 일정활동에서 나타나는 관계
  312. percent complete / 달성율 : 활동 또는 작업분류체계(WBS) 구성요소에서 완료된 작업량을 산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값.
  313. perform integrated change control / 통합 변경통제 수행 : 모든 변경 요청을 검토한 후 변경 사항을 승인하고, 인도물과 조직 프로세스 프로젝트 문서 및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의 변경을 관리하며, 결정사항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프로세스
  314. perform qualitative risk analysis / 정성적 리스크분석 수행 : 리스크의 발생 확률과 영향, 그 밖의 특성을 평가하여 심 분석 또는 조치의 긴급성에 따라 개별 리스크들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프로세스.
  315. perform quantitative risk analysis / 정량적 리스크분석 수행 : 식별된 개별 프로젝트 리스크와 그 밖의 전체 프로젝트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성 유발 수치로 분석하는 프로세스.
  316. 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 / 성과측정 기준선 : 통합된 범위, 일정 및 원가 기준선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고, 측정 및 통제하는 과정에서 비교 기준으로 사용된다.
  317. performance reviews / 성과검토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기준선 대비 실제 작업 성과 측정하고 비교 및 분석하는 사용되는 기법.
  318. personas / 페르소나 : 목표와 동기, 대표적 인적 특성으로 설명되는 유사한 최종 사용자 집단을 대표하는 전형적 사용자.
  319. phase / 단계 : 프로젝트 단계 참조.
  320. phase gate / 단계 심사 : 한 단계의 종료 시점에서 다 단계로 진행할지, 수정 계속할지 또는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종료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검토.
  321. pivot / 피봇 : 제품 또는 전략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안되어 계획된 과정 시정조치.
  322. plan communications management / 의사소통관리 계획수립 : 이해관계자 개개인 또는 집단의 정보 요구사항과 가용한 조직 자산,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에 적합한 의사소통 방식과 계획을 수립하는 프로세스.
  323. plan cost management / 원가관리 계획수립 : 프로젝트 원가를 산정하고, 예산을 책정하고, 관리 및 감시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프로세스.
  324. plan procurement management / 조달관리 계획수립 : 프로젝트 조달 결정사항을 문서화하고, 조달 방식을 지정하며, 유력한 판매자를 식별하는 프로세스.
  325. plan quality management / 품질관리 계획수립 : 프로젝트 및 인도물에 대한 품질 요구사항과 표준을 식별하고, 프로젝트가 품질 요구사항 및 표준을 준수함을 입증할 방법을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326. plan resource management / 자원관리 계획수립 : 실물 자원과 팀의 인적자원을 산정, 확보 및 관리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프로세스.
  327. plan risk management / 리스크관리 계획수립 : 프로젝트에 대한 리스크 활동의 수행 방법을 정의하는 프로세스.
  328. plan risk responses / 리스크대응 계획수립 : 개별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전체 프로젝트 리스크 노출도를 낮추기 위해 옵션을 마련하고, 전략을 선정하고, 대응조치에 합의를 도출하는 프로세스.
  329. plan schedule management / 일정관리 계획수립 : 프로젝트 일정의 기획, 개발 관리, 실행 및 통제에 필요한 정책과 절차, 문서화 기준을 수립하는 프로세스.
  330. plan scope management / 범위관리 계획수립 : 프로젝트와 제품의 범위를 정의, 확인 및 통제하는 방법을 기술한 범위관리 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
  331. plan stakeholder engagement / 이해관계자참여 계획수립 : 이해관계자들의 요구, 기대사항, 이해관계 및 프로젝트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위한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프로세스.
  332. plan–do–check–act (pdca) / 계획-실행-검토-조치(PDCA) : 조직에서 프로세스 및 제품에 대한 통제와 지속적인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복적 관리법.
  333. plan-driven approach / 계획 주도 방식 : ‘예측 방식’ 참조.
  334. planned value / 계획가치 : 일정 작업에 배정하여 받은 예산.
  335. planning package / 기획패키지 : 작업분류체계(WBS)에서 통 단위 아래에 위치하며 일정활동은 없지만 작업 내용은 파악된 구성요소. 통제 단위(Control Account)
  336. planning process group / 기획 프로세스 그룹 : 프로젝트의 범위를 설정하고 목표를 구체화하고,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련의 활동을 정의하는 프로세스.
  337. plurality / 다수결 : 과반수가 아니더라도 집단의 최다 구성원이 지지하는 선택하는 의결 방식.
  338. policy / 정책 : 조직에서 채택한 체계적인 행동 양식. 조직의 정책은 조직의 행동을 규제하는 기본강령으로 설명될 수
  339. portfolio / 포트폴리오 :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그룹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 프로그램, 하위 포트폴리오 작업.
  340. portfolio management / 포트폴리오관리 :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하나 이상의 포트폴리오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기법.
  341. practice / 실무사례 : 프로세스 실행에 기여하는 특정 유형의 전문적 활동 또 관리 활동으로, 한 가지 이상의 기법과 도구를 활용하기도 한다.
  342.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 선후행도형법 : 일정 모델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으로, 활동을 노드로 표시하고 한 가지 이상의 논리적 관계로 연결하여 활동들의 수행 순서를 보여준다.
  343. precedence relationship / 선후행 관계 : 선후행도형법에서 사용되는 논리적 의존관계.
  344. predecessor activity / 선행활동 : 일정에서 논리적으로 종속된 활동 앞에 나오는 활동.
  345. predictive approach / 예측 방식 : 프로젝트 생애주기에 걸쳐 작업계획과 그 작업계획의 관리를 활용하는 작업관리 방식.
  346. predictive life cycle / 예측 생애주기 : 프로젝트의 범위와 시간, 원가가 생애주기의 초기 단계에서 결정되는 형태의 프로젝트 생애주기.
  347. predictive life cycle / :
  348. preventive action / 예방조치 : 프로젝트작업의 미래 성과를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맞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349. probability and impact matrix / 확률-영향 매트릭스 : 각 리스크의 발생 확률과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프로젝트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결하여 보여주는 계통도.
  350. procedure / 절차 : 일관된 성과나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립된 방법이며,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진행할 일련의 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351. process / 프로세스 : 한 가지 이상의 투입물로 한 가지 이상의 산출물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최종 결과를 유발하는 일련의 체계적 활동.
  352. procurement audits / 조달감사 : 계약 및 계약 프로세스의 완전성, 정확성,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심사.
  353. procurement documentation / 조달 문서 : 협약을 체결 및 이행하고 종료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문서. 조달 문서는 프로젝트 이전에 발생한 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354. procurement documents / 조달문서 : 입찰 및 제안서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문서로, 구매자의 입찰초청서, 협상초청서, 정보요청서, 견적요청서, 제안요청서 및 판매자 응답서를 포함한다.
  355. procurement management plan / 조달관리 계획서 : 프로젝트팀이 수행 조직 밖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확보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356. procurement statement of work / 조달 작업기술서 : 유력한 판매자가 제품, 또는 결과물을 제공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조달품목을 기술한 문서.
  357. procurement strategy / 조달 전략 : 원하는 결과를 인도하기 따라야 하는 법적 구속력 있 합의 유형과 프로젝트 인도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구매자의 접근 방식.
  358. product / 제품 : 생산되어 정량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자체가 완제품이거나 다른 제품의 구성요소인 자재와 상품도 제품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인도물(Deliverable) 참조.
  359. product analysis / 제품분석 : 인도물이 제품인 프로젝트에서, 범위를 정의하는 도구로, 일반적으로 제품에 관해 문의하고, 제작 제품의 용도, 특성 그리고 기타 관련 측면에 대해 질문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360. product backlog / 제품 백로그 : 팀이 제품에 대해 유지관리하는 사용자 중심 요구사항들을 순서대로 정리한 목록.
  361. product life cycle / 제품 생애주기 : 개념 수립부터 인도, 성장, 성숙 과정을 거쳐 폐기 단계 이르기까지 제품의 진화를 나타내는 일련의 단계.
  362. product owner / 제품 책임자(PO) :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책임과 제작되는 최종 제품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지는 사람. 서비스요청 관리자 참조.
  363. product scope / 제품범위 :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의 특성과 기능.
  364. product scope description / 제품 범위명세서 : 제품의 범위를 자세히 문서.
  365. program / 프로그램 : 개별적으로 관리해서는 실현되지 않는 편익을 달성하기 위해 통합적인 방식으로 관리하는 다양한 관련 프로젝트, 하위 프로그 및 프로그램 활동.
  366. program management / 프로그램관리 : 프로그램 구성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서는 실현되지 않는 혜택과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지식, 기량, 원칙을 적용하는 관리 방식.
  367. progressive elaboration / 점진적 구체화 : 점차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정확한 산정치가 제시됨에 따라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의 정확도를 높여 나가는 반복적인 프로세스.
  368. progressive elaboration / 점진적 구체화 : 점차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정확한 산정치가 제시됨에 따라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의 정확도를 높여 나가는 반복적인 프로세스.
  369. project / 프로젝트 : 고유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투입하는 노력.
  370. project calendar / 프로젝트 달력 : 일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근무일 또는 근무 교대 시간 보여주는 달력.
  371. project charter / 프로젝트헌장 : 프로젝트의 채택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프로젝트 활동에 조직의 자원을 투입할 수 있는 권한 부여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착수자나 스폰서가 발행하는 문서.
  372. project communications management /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 :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 영역에는 프로젝트 정보를 적기에 적절히 기획, 수집, 생성, 배포, 저장, 검색, 관리 통제, 감시, 그리고 최종 처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73. project cost management / 프로젝트 원가관리 : 프로젝트 원가관리에는 승인된 예산 범위에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원가를 계획 및 산정하고 예산을 책정하며, 필요한 자금을 조달 및 관리하고 원가를 통제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74. project funding requirements / 프로젝트 자금 요구사항 : 원가 기준선에서 파생되어 총액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요구되는 분할급으로 지불해야 할 예측 프로젝트 원가로, 프로젝트 지출금과 예상되는 부채가 포함된다.
  375. project governance / 프로젝트 거버넌스 : 조직의, 전략적, 운영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관리 활동을 안내하는 기본 구조와 기능, 프로세스.
  376. project initiation / 프로젝트 착수 : 새 프로젝트가 승인됨에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조치.
  377.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 / 프로젝트 통합관리 : 프로젝트 통합관리에는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그룹에 속하는 다양한 프로세스와 프로젝트관리 활동을 식별, 정의, 결합, 및 조정하는 프로세스 및 활동들이 포함된다.
  378. project life cycle / 프로젝트 생애주기 : 시작부터 종료되기까지 프로젝트가 거쳐가는 일련의 생애 단계.
  379. project management / 프로젝트관리 :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식, 기술 도구, 기법 등을 프로젝트 활동에 적용하는 조치.
  380.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 : 프로젝트관리 전문분야에 속하는 지식을 설명하는 전문 분야에서 이미 널리 적용되고 있는 입증된 실무사례와 새롭게 등장하는 혁신적인 실무사례가 모두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에 포함된다.
  381.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프로젝트관리정보시스템 :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수집, 통합, 배포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들로 구성된 정보
  382.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area / 프로젝트관리 지식영역 : 지식 요구사항에 따라 정의되고 하위 프로세스, 사례, 투입물, 산출물, 도구 기법 등으로 설명되는 프로젝트관리 영역.
  383. project management office / 프로젝트관리오피스 : 프로젝트 관련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자원 방법론, 도구, 기법 등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 구조.
  384. 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 프로젝트관리오피스(PMO) : 프로젝트 관련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자원, 방법론, 도구, 기법 등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 구조.
  385. project management plan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 : 프로젝트를 실행, 감시, 통제 및 종료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
  386. project management process group /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그룹 : 프로젝트 관리 투입물, 도구 및 기법, 산출물들을 논리적으로 분류한 그룹.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그룹에는 착수 프로세스, 기 프로세스, 실행 프로세스, 감시 및 통제 프로세스, 종료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프로세스관리 프로세스 그룹은 프로젝트 단계가 아니다.
  387. project management system / 프로젝트관리 시스템 :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도구, 기법, 방법론 자원 및 절차들의 체계적인 통합체.
  388. project management team / 프로젝트관리팀 : 프로젝트팀에서 프로젝트관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팀원. 프로젝트팀(Project Team 참조.
  389. project manager / 프로젝트 관리자 : 수행 조직에서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할 책임을 지고 팀을 이끌도록 선임된
  390. project organization chart / 프로젝트 조직도 : 특정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팀원 구성과 팀원간 관계를 도식으로 표시한 문서.
  391. project phase / 프로젝트 단계 : 논리적으로 연관된 프로젝트 활동들의 집합체로, 각 한 가지 이상의 인도물이 최 완성되면서 끝난다.
  392. project procurement management / 프로젝트 조달관리 : 프로젝트 조달관리에는 프로젝트팀 외부에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을 구매하거나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93. project quality management / 프로젝트 품질관리 : 프로젝트 품질관리에는 이해관계자의 기대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프로젝트 및 제품의 품질 요구사항에 품질 계획수립, 관리 및 통제에 관한 조직의 품질 정책을 반영하는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94. project resource management / 프로젝트 자원관리 : 프로젝트 자원관리에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식별 및 조달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95. project risk management /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 프로젝트 리스크관리에는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계획수립, 프로젝트 리스크 식별, 분석, 대응 계획수립, 대응 실행 및 감시 과정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96. project schedule / 프로젝트 일정 : 예정일, 기간, 마일스톤 및 자원과 해당 활동을 연결하여 보여주는 일정 모델.
  397. project schedule management / 프로젝트 일정관리 : 프로젝트 일정관리에는 적시에 프로젝트가 완료되도록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398. project schedule network diagram / 프로젝트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 프로젝트 일정활동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도식으로 보여주는 도표.
  399. project scope / 프로젝트 범위 : 지정된 특성과 기능을 갖춘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는
  400. project scope management / 프로젝트 범위관리 : 프로젝트 범위관리에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만이 빠짐없이 프로젝트에 포함되었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필요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401. project scope statement /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 프로젝트 범위, 주요 인도물 가정, 제약을 기술한 문서.
  402. project stakeholder management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관리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관리에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사람, 집단 또는 조직을 식별하고, 이해관계자의 기대사항과 그들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프로젝트 의사결정 및 실행에 이해관계자의 효과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적절한 관리전략 필요한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403. project team / 프로젝트팀 :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기 프로젝트관리자를 도와 프로젝트작업을 수행하는 집단. 프로젝트관리팀(Project Management Team) 참조.
  404. project team directory / 프로젝트팀 명부 : 프로젝트 팀원 구성, 각 팀원이 프로젝트에서 담당하는 역할, 의사소통 정보가 수록된 명부.
  405. proposal evaluation techniques / 제안서 평가기법 : 계약 수주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공급업체가 제출하는 제안서를 검토하는 프로세스.
  406. prototypes / 프로토타입 : 제품의 실제 제작에 앞서 예 제품의 작동모형을 제공하여 제품 요구사항에 대한 조기 피드백을 구하는 방법.
  407. quality / 품질 : 기본 특성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정도.
  408. quality audits / 품질감사 : 품질감사는 프로젝트 활동이 조직 및 프로젝트의 정책, 프로세스 및 절차를 따르는지 판별하기 위해 수행하는 체계적이며 독립적인 프로세스이다.
  409. quality checklists / 품질 점검목록 : 필요한 일련의 단계를 수행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체계적인 검사
  410. quality control measurements / 품질통제 측정치 : 품질통제 활동의 결과를 기록한 자료.
  411. quality management plan / 품질관리 계획서 : 품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정책과 절차, 구현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412. quality management system / 품질관리 시스템 : 품질관리 계획서를 이행하는 데 필요한 정책, 프로세스, 절차 및 자원을 제공하는 구조의 조직체계. 기본적인 프로젝트 품질관리 계획서는 조직의 품질관리 시스템과 호환되어야 한다.
  413. quality metrics / 품질 매트릭스 : 프로젝트 또는 제품의 특성과 각 특성의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414. quality policy / 품질정책 : 프로젝트 품질관리 지식영역과 관련된 정책으로 조직에서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때 조직의 조치를 통제할 기본 정책을 수립한다
  415. quality report / 품질 보고서 : 품질관리 이슈와 시정 조치 권고사항, 품질 통제 발견된 결과를 요약한 프로젝트 문서로, 프로세스 프로젝트, 제품 개선에 대한 권고사항을 포함하기도 한다
  416. quality requirement / 품질 요구사항 : 결과물의 품질특성이 인수 가능한 수준인지 확인하여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조건 또는 역량.
  417. questionnaires / 설문지 : 수많은 응답자로부터 신속하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문항들이 수록된 양식.
  418. raci chart / RACI 차트 : 프로젝트 활동에 이해관계자의 참여도를 정의하는 데 수행담당(R), 총괄책임(A), 자문담당(C), 정보통지(I) 역할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책임배정매트릭스.
  419. refactoring / 리팩토링 : 예상되는 결과는 변경하지 않고 유지관리성과 그 밖에 원하는 특성을 향상시켜서 제품의 설계를 개선하는 방식의 제품 품질관리 기법.
  420. regression analysis / 회귀분석 : 일련의 투입물 변수를 해당하는 산출결과와 비교하여 둘 사이 수학적 또 통계적 관계를 밝히는 분석기법.
  421. regulations / 규정 : 정부 기관에서 규정하는 요구사항. 정부 시행령에 따 준수해야 하는 관할 행정 규제를 비롯한 법적 요구사항에 따라 제품,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 결정될 수도 있다.
  422. request for information / 정보요청서 : 조달 문서의 일종으로 구매자가 잠재적 판매자에게 제품, 서비스 또는 판매자 역량과 관련된 다양한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데 사용하는 서식.
  423. request for proposal / 제안요청서 : 조달문서의 일종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력한 판매자에게 제안서를 요청하는 데 사용하는 서식. 일부 응용분야에서는 더 구체적인 의미를 갖기도
  424. request for quotation / 견적요청서 : 조달문서의 일종으로 일반 또는 표준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력한 판매자에게 가격 견적서를 요청하는 데 사용하는 서식. 때로 제안요청서 대신 사용되며, 일부 응용분야에서는 더 구체적인 의미를 갖기도
  425. requirement / 요구사항 :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에 구현해야 하는 조건이나 역량.
  426. requirements documentation / 요구사항 문서 : 개별 요구사항이 프로젝트의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
  427. requirements management plan / 요구사항관리 계획서 : 요구사항의 분석, 문서화, 관리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428. requirements traceability matrix /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 요구사항이 비롯된 근원에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인도물까지 제품 요구사항을 연결해 놓은 계통도.
  429. reserve / 예비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원가 리스크와 일정 리스크를 완화할 목적으로 마련된 완화할 리스크 유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대개 수식어와 함께 사용된다(예: 관리예비, 우발사태 예비).
  430. reserve analysis / 예비분석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의 구성요소별 필수기능과 구성요소 간 관계를 판별한 후, 프로젝트의 일정 기간, 예산, 산정 원가 또는 자금에 대한 예비량을 설정하는 분석기법.
  431. residual risk / 잔존 리스크 : 리스크 대응 조치를 실행한 후에도 남아 있는 리스크.
  432. resource / 자원 :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팀원 또는 실제 품목
  433. resource breakdown structure / 자원분류체계 : 범주와 유형별로 자원을 분류한 계통도.
  434. resource calendar / 자원달력 : 특정 자원별로 자원을 사용 가능한 근무일과 교대 근무 시간을 보여주는 달력.
  435. resource histogram / 자원 히스토그램 : 연속된 자원 사용 기간에 걸 자원의 사용 일정을 시간 값으로 보여주는 막대차트.
  436. resource leveling / 자원평준화 : 프로젝트 일정을 조정하여 자원 할당을 최적화하는 방식의 자원최적화 기법으로 주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원최적화기법(Resource Optimization Technique), 자원평활화(Resource Smoothing) 참조.
  437. resource management plan / 자원관리 계획서 : 프로젝트 자원을 확보하여 할당하고, 감시 및 통제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438. resource manager / 자원관리자 : 하나 이상의 자원에 대한 관 권한을 가지는 사람.
  439. resource optimization technique / 자원최적화기법 : 자원에 대한 수요와 가용한 공급의 균형을 위해 활동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조정하는 기법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 및 자원평활화(Resource Smoothing) 참조.
  440. resource requirements / 자원 요구사항 : 작업패키지의 각 활동에 필요한 자원의 종류와 수량.
  441. resource smoothing / 자원평활화 : 주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자유여유와 총여유를 이용하는 자원최적화 기법.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 및 자원최적화기법(Resource Optimization Technique) 참조.
  442. responsibility / 담당(업무) :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의거 위임될 수 있는 임무로, 배정된 자원은 그에 따른 요구사항을 수행할 의무가 발생한다.
  443. 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 책임배정매트릭스 : 각 작업패키지에 배정된 프로젝트 자원을 보여주는 계통도.
  444. result / 결과 :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와 활동을 수행하여 나온 산출물(예: 통합 시스템, 개정한 프로세스, 재구성한 조직, 테스트, 교육을 이수한 직원 등)과 문서(예: 정책서, 계획서, 연구서, 절차 규정집 사양서, 보고서 등)가 결과에 포함된다. 인도물(Deliverable) 참조.
  445. retrospective / 회고 : 프로세스와 제품을 모두 개선할 목적으로 참가자들이 자신의 작업과 결과물을 논의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갖는 워크샵.
  446. rework / 재작업 : 요구사항 또는 사양을 않거나 결함이 있는 구성요소를 해당 요건을 준수하는 상태로 개선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
  447. risk / 리스크 : 발생할 경우에 한 가지 이상 프로젝트 목표에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한 사건이나 조건.
  448. risk acceptance / 리스크 수용 : 프로젝트팀에서 리스크를 인정하지만 실제로 발생할 때까지 어떠한 조치도 않기로 결정하는 리스크 전략.
  449. risk appetite / 리스크 선호도 : 조직이나 개인이 보상을 기대하고 감수하려고 하는 불확실성 정도.
  450. risk audit / 리스크 감사 : 리스크관리 프로세스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감사 유형.
  451. risk avoidance / 리스크 회피 : 위협을 제거하거나 충격으로부터 프로젝트를 보호하기 위해 프로젝트팀에서 취하는 리스크 대응 전략.
  452. risk breakdown structure / 리스크분류체계 : 리스크의 잠재적 유발 보여주는 계통도.
  453. risk categorization / 리스크 분류 : 불확실성의 영향에 가장 취약한 프로젝트 영역을 판별하기 위해 리스크 유발 근원(예: RBS 사용), 영향을 받는 프로젝트 영역(예: WB 사용) 또는 기타 유용한 범주(예: 프로젝트 단계) 기준으로 리스크를 분류하는 조치.
  454. risk category / 리스크 범주 : 리스크를 잠재적 원인별로 분류한 그룹.
  455. risk data quality assessment / 리스크 데이터 품질평가 : 리스크 관련 데이터가 리스크관리에 유용한 정도를 평가하는 기법.
  456. risk enhancement / 리스크 개선 : 프로젝트팀에서 기회의 발생 확률이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취하는 리스크 대응 전략.
  457. risk escalation / 리스크 상부보고 : 팀에서 리스크가 팀의 범위를 벗어나 리스크의 소유권을 조직에서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상위 수준으로 이전해야 함을 인정하는 유형의 리스크 전략.
  458. risk exploiting / 리스크 활용 : 프로젝트팀에서 기회의 발생을 보장하기 위해 취하는 리스크 대응 전략.
  459. risk exposure / 리스크 노출도 :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에서 주어진 시점에 모든 리스크의 잠재적 영향력을 집계한 측정값.
  460. risk management plan / 리스크관리 계획서 : 리스크관리 활동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수행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461. risk mitigation / 리스크 완화 : 프로젝트팀에서 위협의 발생 확률이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취하는 리스크 대응 전략.
  462. risk owner / 리스크 소유자 : 리스크를 감시하고 적절한 리스크대응 전략을 선별하여 실행할 책임이 있는 사람.
  463. risk register / 리스크 관리대장 : 리스크관리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기록하는 저장소.
  464. risk report / 리스크 보고서 :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프로세스 전반에서 점진적으로 개발되는 프로세스 문서로, 개별 프로젝트 리스크에 대한 정보와 전체 프로젝트 리스크의 정도가 요약되어 있다.
  465. risk review / 리스크검토 : 전체 프로젝트 리스크와 식별된 개별 프로젝트 리스크를 처리함에서 리스크 대응의 효과를 검토하고 문서화하기 위해 진행하는 회의.
  466. risk sharing / 리스크 공유 : 프로젝트팀에서 기회의 편익을 가장 잘 포착할 수 있는 제3자에게 그 기회의 소유권을 할당하는 방식의 리스크 대응 전략.
  467. risk threshold / 리스크 한계선 : 리스크 노출도 수준으로, 한계선을 넘으면 해결해야 리스크이고 넘지 않으면 가능한 리스크이다.
  468. risk transference / 리스크 전가 : 프로젝트팀에서 위협으로 인한 영향을 리스크 대응 권한과 함께 제3 자에게 이전하는 방식의 리스크 대응전략
  469. role / 역할 : 프로젝트 팀원이 수행하도록 배정 받은 직무로, 시험, 작성, 검사 또는 코드 작성 등의 역할이 있다.
  470. rolling wave planning / 연동기획 : 곧 착수할 작업은 하위 수준까지 세밀하게 계획하고 먼 미래의 작업은 상위 수준 계획하는 방식의 반복적 기법.
  471. rolling wave planning / 연동기획 : 곧 착수할 작업은 하위 수준까지 세밀하게 계획하고 먼 미래의 작업은 상위 수준만 계획하는 방식의 반복적 기획 기법.
  472. root cause analysis / 원인분석 : 차이, 결함 또는 리스크를 유발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기법. 한 가지 근본 원인이 하나 이상의 차이, 결함,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
  473. scaled agile framework (safe®) / 확장형애자일프레임워크(SAFe®) : 전사 차원으로 확장된 린(lean)-애자일 개발을 위한 통합형 지식기반.
  474. schedule / 일정 : 프로젝트 일정(Project Schedule) 및 일정모델(Schedule Model 참조.
  475. schedule baseline / 일정 기준선 : 승인된 버전의 일정 모델로, 실제 결과와 비교 기준으로 사용되며 공식적인 변경통제 절차를 수행하여 변경할 수 있다.
  476. schedule compression / 일정단축 : 프로젝트 범위를 축소하지 않고 일정기간을 단축하는 사용되는 기법.
  477. schedule data / 일정데이터 : 일정을 설명하고 통제하는 사용되는 정보의 집합.
  478. schedule forecasts / 일정예측 : 일정을 계산하는 시점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와 지식을 토대로 프로젝트의 향후 및 사건을 산정 또는 예상한 결과.
  479. schedule management plan / 일정관리 계획서 : 일정을 개발,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한 기준과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480. schedule model / 일정모델 : 프로젝트 활동의 실행 정리한 모델로, 다른 일정과 맞추면서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는 데 사용되며 기간, 의존관계, 기타 기획 정보가 포함된다.
  481. schedule network analysis / 일정 네트워크 분석 : 프로젝트 활동 중 미완결 부분에 대한 빠른시작일과 늦은시작일, 빠른종료일과 늦은종료일을 식별하는 기법
  482. schedule performance index / 일정성과지수 : 획득가치(EV) 대비 계획가치(PV)의 비율로 표시되는 일정 효율의 척도.
  483. schedule variance / 일정차이 : 획득가치(EV)와 계획가치(PV) 간 차이로 표시되는 일정 성과의 척도.
  484. scheduling tool / 일정계획 도구 : 일정계획 작업에 유용한 구성요소 이름, 정의, 구조적 관계를 제공하는 도구.
  485. scope / 범위 : 프로젝트 형태로 제공될 서비스 및 결과를 모두 포괄하는 집합. 프로젝트 범 (Project Scope) 및 제품 범위 (Product Scope) 참조
  486. scope baseline / 범위 기준선 : 승인된 버전의 범위기술서, 작업분류체계(WBS) 및 관련 WBS 사전으로, 공식적인 변경통제 절차를 통해서만 변경할 수 있고 실제 결과와 비교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487. scope creep / 범위추가 : 시간, 원가 및 자원 조정 진행되는 통제되지 않는 수준의 제품 또는 프로젝트 범위 확장.
  488. scope management plan / 범위관리 계획서 : 범위를 정의, 개발, 감시, 및 확인하는 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프로젝트관리 또는 프로그램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489. scrum / 스크럼(Scrum) : 특정 역할, 이벤트 및 작업물이 할당된 복잡한 제품을 개발 및 지속하기 위한 애자일 프레임워크.
  490. scrum board / 스크럼 보드 : 제품과 스프린트 백로그를 관리하고 작업흐름과 병목현상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는 정보 전광판.
  491. scrum master / 스크럼 마스터 : 스크럼(Scrum) 프레임워크에서 개발팀과 프로세스 책임자를 지도하는 코치. 장애물을 제거하고 생산적인 이벤트를 촉진하며,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팀을 주도한다. ‘플로우 마스터’ 참조.
  492. scrum of scrums / 스크럼의 스크럼(SoS) : 동일한 제품에 협업하는 여러 팀을 위해 규모대로 스크럼을 운영하면서 상호 의존관계에 대한 진척 논의를 조율하고, 특히 중첩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인도를 통합할 방법에 주력하는 기법.
  493. scrum team / 스크럼팀 : 스크럼에 투입된 개발팀과 스크럼 마스터, 제품 책임자로 이루어진 팀.
  494. scrumban / 스크럼반(Scrumban) : 팀이 선택한 작업 방식으로 스크럼을 채택하고, 작업 방식을 확인 및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창구로 칸반(Kanban) 방법을 사용할 때 등장하는 관리 프레임워크.
  495. secondary risk / 2차 리스크 : 리스크 대응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되는 리스크.
  496. self-organizing team / 자율구성팀 : 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리더십이 이전되는 교차기능팀. (자기조직화된 팀이라고도 함)
  497. self-organizing teams / 자율구성팀 : 중앙의 통제를 받지 않고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의 팀 결성.
  498. seller / 판매자 :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를 조직에 공급하는 제공자 또는 공급자.
  499. seller proposals / 판매자 제안서 : 판매자가 요청한 조직을 위해서 수행해야 할 가격, 판매조건, 기술사양서 또는 기술역량을 규정한 제안요청서나 기타 조달문서에 대한 판매자의 공식 회신. 이것이 승인되면 판매자는 합의결과를 이행해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된다.
  500. sensitivity analysis / 민감도 분석 : 정량적 리스크 분석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변이와 프로젝트 결과물을 연관시키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결과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이 가장 큰 개 프로젝트 리스크나 그 밖의 불확실성의 유발 근원을 판별하는 분석 기법.
  501. sequence activities / 활동순서 배열 : 프로젝트 활동 사이의 식별하여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502. servant leadership / 섬김형 리더십 : 팀성과를 최대치로 달성하기 위해 팀원의 요구와 개발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어 섬김으로 리딩하는 실무.
  503. service level agreement / 서비스수준 협약 : 서비스 제공자(대내 또는 대외)로부터 기대하는 수준을 정의하는 최종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계약.
  504. service request manager / 서비스요청 관리자 : 지속적인 흐름 또는 칸반 환경에서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요청을 담당하는 사람. 제품 책임자(PO)와 동일하다.
  505. siloed organization / 사일로형 조직 : 고객에게 가치를 인도하는 데 필요한 측면 중 일부에만 기여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조직. (각주:부서이기주의라고 표현되기도 함) 대비되는 ‘가치흐름’ 참조.
  506. simulation / 시뮬레이션 : 여러 가지 불확실성이 프로젝트 목표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불확실성들의 종합적 결과를 모델링하는 분석 기법.
  507. single-loop learning / 단일순환 학습 : 경험에 비추어 다양한 방법에 도전하지 않고 미리 정의된 특정한 방법만으로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실무.
  508. smoke testing / 스모크 테스트 : 개발 중인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경량 테스트를 실시하는 실무.
  509. source selection criteria / 공급자 선정기준 : 판매자가 계약자로 선정되기 위해 충족하거나 초과해야 속성으로 구매자가 요구하는 기준.
  510. specification / 사양서 : 충족해야 하는 요구사항과 필수적인 특성을 정확히 명시한 기술서.
  511. specification by example (sbe) / 예제별 명세(SBE) : 추상문이 아닌 실질적인 예제를 이용하여 포착하고 제시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요구사항 및 비즈니스 지향 기능 테스트를 정의하는 협업 방식.
  512. specification limits / 사양한계 : 관리도에 표시된 데이터의 중앙선(또는 평균)으로 나뉜 한쪽 구간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영역. 영역은 통제한계로 정의되는 영역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통제한계(Control Limits) 참조.
  513. spike / 스파이크 : 프로젝트 내에서의 짧은 시간간격(통상 고정된 기간)동안 팀이 실현 가능성에 대한 해결책 차원으로 연구나 시제품을 수행하는 것.
  514. sponsor / 스폰서 :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에 필요한 자원과 지원을 제공하고 성공으로 이끌 책임이 있는 개인 또는 집단.
  515. sponsoring organization / 후원조직 : 프로젝트 스폰서와 프로젝트 자금 또는 기타 프로젝트 자 전달자를 동원할 책임이 조직.
  516. sprint / 스프린트 : 스크럼에서 타임박스가 있는 반복(iteration)을 설명한다.
  517. sprint backlog / 스프린트 백로그 : 스크럼팀이 식별한 스프린트 동안 완료해야 할 작업항목리스트.
  518. sprint planning / 스프린트 계획 : 스크럼팀이 현재 스프린트를 위한 업무계획을 수립하는 스크럼의 협업이벤트.
  519. stakeholder / 이해관계자 : 프로젝트, 프로그램 또는 포트폴리오의 의사결정, 또는 결과로 인해 영향을 받거나 받을 수 있거나 스스 영향을 받는다고 여기는 집단 또는 조직.
  520. stakeholder analysis /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고려해야 할 이해관계자의 이해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정량적 및 정성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법
  521. stakeholder engagement assessment matrix / 이해관계자 참여 평가 매트릭스 : 이해관계자 참여도의 현재 수준과 원하는 수준을 비교하는 매트릭스.
  522. stakeholder engagement plan / 이해관계자 참여관리 계획서 :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 의사결정 및 실행 과정에 이해관계자의 생산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전략과 조치를 기술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523. stakeholder register / 이해관계자 관리대장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식별 명부, 평가 및 분류 정보가 수록된 프로젝트 문서.
  524. standard / 표준 : 당국이나 관습, 또는 일반적 합의에 따라 표본 또는 예로 정해진 문서.
  525. start date / 시작일 : 일정작업의 시작과 연관된 시점. 대개 실제, 계획, 산정 예정, 빠른, 늦은, 목표, 기준선 또는 현재 등의 수식어가 붙으면서 의미가 한정된다.
  526. start-to-finish / 시작-종료관계 : 선행활동이 시작되기 전에는 후행활동을 종료할 수 없는 논리적 관계.
  527. start-to-start / 시작-시작관계 : 선행활동이 시작되기 전에는 후행활동을 시작할 수 없는 논리적 관계.
  528. statement of work / 작업기술서 :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될 서비스 또는 결과를 자세히 기술한 문서.
  529. statistical sampling / 통계적 표본추출 : 모집단에서 검사 대상 선택하는 작업.
  530. story point / 스토리포인트 : 상대적 사용자 스토리 추정기법에 사용되는 단위없는 척도.
  531. successor activity / 후행활동 : 일정에서 논리적으로 다른 활동 이후에 나오는 종속적 활동.
  532. summary activity / 요약활동 : 관련된 일정활동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활동으로 표시되는 그룹.
  533. swarming / 스워밍(swarming) : 여러 명의 팀원이 한 가지 특정 장애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는 기법.
  534. swot analysis / SWOT 분석 : 조직, 프로젝트 또는 옵션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분석하는 기법.
  535. tacit knowledge / 암묵적 지식 : 신념, 경험, 통찰력과 같이 명확히 표현하거나 공유하기 힘든 개인적 지식.
  536. tailoring / 조정 :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스, 투입물, 도구, 기법, 산출물, 생애주기 단계들의 적절한 조합을 결정하는 조치.
  537. team charter / 팀헌장 : 팀 가치, 합의사항 및 운영 지침을 명시하고, 프로젝트 팀원에게 허용되는 행동과 관련하여 명확한 기대사항을 기술한 문서.
  538. team management plan / 팀관리 계획서 : 팀원을 확보할 시기와 방법, 팀원이 필요한 기간을 문서로, 자원관리 계획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539. technical debt / 기술 부채 : 제품 생애주기의 초기 단계에서 수행되지 않은 작업에 대한 지연 비용.
  540. technique / 기법 : 인적자원이 제품 또는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체계적으로 정의된 절차. 하나 이상의 도구가 활용되기도 한다.
  541. templates / 템플릿 :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 구성 표시하는 데 필요한 서식이 갖춰진 문서로, 부분적으로 완성된 상태로 제공된다.
  542. test and evaluation documents / 테스트 및 평가 문서 : 제품이 품질관리 계획서에 명시된 품질 목표를 충족하는지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활동을 기술하는 프로젝트 문서.
  543. test-driven development / 테스트 주도 개발(TDD) :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테스트가 정의되는 기법으로, 진행 중인 작업을 지속적으로 검증하므로 무결함 사고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다.
  544. threat / 위협 : 한 가지 이상의 프로젝트 목표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리스크.
  545. three-point estimating / 3점 산정 : 개별 활동 산정치에 불확실성이 존재할 때 산정치, 비관적 산정치, 최빈 산정치의 평균 또는 가중 평균을 적용하여 원가나 기간을 산정하는 기법.
  546. threshold / 한계선 : 측정 가능한 프로젝트 설정값으로, 도달할 경우 조치를 취해야 하는 한도를 나타낸다.
  547. time and material contract / 시간자재(T&M) 계약 : 원가정산 계약과 고정가 계약의 양면이 결합된 협정 방식의 계약.
  548. timebox / 타임박스 : 1 주, 2 주, 3 주 또는 1 개월 등의 한정된 기간. ‘반복(iteration)’ 참조.
  549. to-complete performance index / 완료성과지수 : 지정된 관리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 잔여자원으로 달성해야 하는 원가성과의 척도로, 미결작업의 완료원가 대비 잔여예산의 비율로 표시한다
  550. tolerance / 허용한도 : 품질 요구사항에 허용되는 변이를 설명하는 수치.
  551. tool / 도구 : 템플릿,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같은 유형의 수단으로, 활동을 수행하여 제품 또는 결과를 산출하는 사용된다.
  552. tornado diagram / 토네이도도 : 막대차트의 하나로,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하기 위한 민감도분석에 사용된다
  553. total float / 총여유 : 프로젝트 종료일을 연기하거나 일정 제약을 위반하는 일없이 빠른시작일로부터 일정활동 지연 또는 연장할 수 있는 기간.
  554. trend analysis / 추세분석 : 수리적 모델을 사용하여 선례결과를 토대로 미래의 성과를 예측하는 분석기법.
  555. trigger condition / 유발조건 : 리스크가 발생할 것임을 알리는 사건 또는 상황.
  556. t-shaped / T-형 : 한 가지 전문 분야에 정통하며 팀에 요구되는 나머지 기술 분야에도 폭넓은 역량을 갖춘 인재를 가리키는 용어. ‘I-형’ 및 ‘다재다능형(Broken Comb)’ 참조.
  557. unanimity / 만장일치 : 하나의 행동방침에 대한 내 모든 구성원의 합의.
  558. update / 업데이트 : 공식적인 변경 통제를 받지 않고 수행하는 인도물,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속한 문서 또는 프로젝트 문서 수 조치.
  559. user story / 사용자 스토리 : 특정 사용자에 대한 인도물 가치를 간략히 소개하는 설명. 세부사항을 명확화 하는 대화에서 약속으로 사용된다.
  560. user story mapping / 사용자 스토리 매핑 : 시간이 경과하면서 창출되는 일련의 고부가 가치 기능을 파악하고, 백로그에서 누락사항을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릴리즈를 효과적으로 계획하는 데 유용한 모델로 작업을 구성하는 시각적 실무.
  561. ux design / UX 디자인 : 사용자와 제품 간 상호작용에서 발견될 수 있는 유용성 및 접근성 개선에 초점을 맞춘 사용자 경험 만족도를 높이는 프로세스.
  562. validate scope / 범위확인 : 완료된 프로젝트 인도물의 인수를 공식화하는 프로세스
  563. validation / 인도물 확인 :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이 고객과 그 밖에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함에 대한 보증. 검증(Verification) 과 대조됨.
  564. value stream / 가치흐름 :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인도함으로써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에 주력하는 유기적 구조.
  565. value stream mapping / 가치흐름 매핑 : 고객을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산출하는 데 필요한 정보 또는 재화의 흐름을 문서화하고, 분석 및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린(Lean) 엔터프라이즈 기법.
  566. variance / 차이 : 알려진 기준선이나 기대값에서 벗어난 편차, 이 또는 변이 정도
  567. variance analysis / 차이분석 : 기준선과 실제성과 간의 차이의 원인과 정도를 판단하는 기법.
  568. variance at completion / 완료시점차이 : 예산 적자 또는 흑자 금액 추정치로, 완료 시점 예산과 완료 시점 산정치 간 차이로 표시한다.
  569. variation / 변이 : 기준선 계획서에 포함된 조건과 다른 실제 조건.
  570. verification / 검증 :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이 규정, 요구사항, 사양 또는 지정된 조건을 따르는지 평가. 인도물 확인(Validation) 과 대조됨.
  571. verified deliverables / 검증된 인도물 : 품질통제 프로세스를 통해 정확도가 검사되고 확인되어진 완료된 프로젝트 인도물.
  572. virtual teams / 가상팀 : 직접 대면하는 일은 극히 적거나 전혀 없이 공통의 목 아래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작업팀.
  573. voice of the customer / 고객의 소리 : 고객의 요구사항을 프로젝트 제품 개발의 각 단계에 대한 기술 요구사항으로 변환하여 고객의 요구가 정확히 제품, 서비스 및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획기법.
  574. wbs dictionary / 작업분류체계 사전 : 작업분류체계(WBS)에 포함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인도물, 활동 및 일정 정보를 기술한 문서.
  575. what-if scenario analysis / 가정형 시나리오 분석 : 프로젝트 목표에 미칠 예측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
  576. work breakdown structure / 작업분류체계 : 프로젝트팀에서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할 전체 작업 범위를 계 구조로 세분한 계통도.
  577. work breakdown structure component / 작업분류체계 구성요소 : 수준에 관계 없이 작업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모든 항목.
  578. work package / 작업패키지 : 작업분류체계(WBS)의 최하위 수준에서 정의된 작업단위로 원가와 기간을 산정하고 관리한다.
  579. work performance data / 작업성과 데이터 : 프로젝트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식별된 실제 관찰 및 측정 자료.
  580.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 작업성과 정보 : 통제 프로세스에서 수집되어 프로젝트관리 계획서에 속한 문서, 프로젝트 문서 및 기타 작업성과 정보와 비교 성과 데이터.
  581. work performance reports / 작업성과 보고서 : 의사결정, 조치사항, 목적으로 프로젝트 문서에 삽입된 실물 또는 전자형식의 작업성과 정보.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11 Jan 2018 7:56 AM (7 years ago)

전세계 80만명의 PM/Project Management 회원을 거느리고 있는 PMI의 2017년도는 글로벌표준의 시즌2라고 할 수 있을 것 만큼 모든 핵심 표준(비즈니스 분석,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및 Agile/애자일)체계가 재수립되는 큰 변혁의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이에 프로젝트리서치에서는 각각의 표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glossary 단어들이 얼마나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태그클라우드로 표현을 해 보았습니다.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PMI WrodCloud 1 overview

프로젝트 관리의 라이프사이클에 해당하는 비즈니스 분석 (Vision, Strategy, Requirements, Solution) 이후의 포트폴리오 관리 > 프로그램 관리 > 프로젝트 관리의 연계 체계 및 Agile & Agility에 대한 상호 보완에 대한 모든 표준이 2017년도에 갱신되었으며, 이는 향후 2022년도 까지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대비할 수 있는 표준 체계라고 감히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아래 5개의 핵심 표준에 대한 중요한 키워드를 분석하여 공유합니다.

  1. The PMI Guide to Business Analysis – First Edition
  2. PMBOK® Guide – Sixth Edition
  3. Agile Practice Guide
  4.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Fourth Edition
  5. 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Fourth Edition

1. The PMI Guide to Business Analysis – First Edition

PMI WrodCloud 2 Business Analysis

PMI의 비즈니스 분석 표준은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의 도출/Elicitation 을 기반으로 해결책/Solution을 Project, Product, Process 관점으로 구분하여 이해관계자/Stakeholder에게 가치/Value를 제공하기 위한 변화/Change를 제시합니다.

2. PMBOK® Guide – Sixth Edition

PMI WrodCloud 3 PMBOK

PMI의 프로젝트 관리 표준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기대치/Expectation을 충족시키기 위해 10개의 관점(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자원, 리스크, 조달, 이해관계자)에 대해 베이스라인/Baseline 및 성과/Performance에 대한 차이가 최소화 하기 노력합니다. 이를 위해서 꾸준히 마일스톤/단계Milestone&Phase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 네트워크/Lead/Lag 연관도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Crashing / Fast Tracking 기법으로 일정단축 및  관리가 가능한 예측/Estimation이 되도록 노력하며, 혹시라도 발생하는 변경/Change에 대해서 철저하게 통제/Control 하기 위한 기법이라는 것이 바로 태그클라우드에서 표현되고 있습니다.

3. Agile Practice Guide

PMI WrodCloud 4 AGILE Practice Guide

PMI의 Agile 표준에서는 프로젝트/Project와 제품/Product를 구분하여 변화 무쌍한 환경을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가치/Value 기반하에 목표/Goal에 출시/Release를 반복/Iteration적으로 하기 위해 Scrum, Kanban, Retrospective을  집단지성/Collective 및 자기주도적으로 전력질주/Sprint의 노력이며, 이 긴장도/tension이 유지되도록 속도/Velocity의 지속적인 관리 기법이라는 것을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4.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Fourth Edition

PMI WrodCloud 5 Program Management

PMI의 프로그램 관리 표준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편익/Benefit을 지속적/Sustainment으로 인도/Delivery하기 위한 로드맵/일정/리스크/품질의 성과를 프로젝트/프로그램 거버넌스를 목적으로하는 총체적인 관리 기법이라고 요약될 수 있습니다.

5. 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Fourth Edition

PMI WrodCloud 6 Portfolio Management

PMI의 포트폴리오 관리 표준은 조직이 추구해야할 비전/Vision, 가치/Value, 전략/Strategy, 목적/Ojbectives 및 목표/Goal를 달성하기 위한 콤포넌트(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연계/Alignment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는 도메인/Domain 별로 Capacity와 Capability를 고려한 균형/Balnce있는 성과/Performance 를 관리하여 이해관계자/Stakeholder와 지속적인 소통을 바탕으로 하여 리스크/Risk를 최소화하면서 조직의 자산/Asset까지도 남길 수 있는 관리 체계라고 요약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MI 표준 체계가 자격증이 목표가 아닌, 자격증을 토대로한 올바른 비즈니스 분석 >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및 애자일 관리 체계가 실사구시 실무/Best Practice화 되어서 많은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의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을 바라며 분석/리서치를 마무리 합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7 Jan 2018 4:27 PM (7 years ago)

컨설팅 업무를 하다보면 많이 접하는 질문이 4차 혁명, Digital Transformation , Agile , Agility 수행 전략인 것 같습니다. 대화 중 많이 회자되고 있는 Agile도 환경적인 민첩성 필요이야기와 지침서, 방법론, 실무, Agility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준을 잡기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PMI agile agility

PMI에서는 많은 표준이 있습니다. 흔히 PMP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이라는 미국 국제 PM전문가 자격증에 대비되는 PMBOK 만 알려져 있는데, 이 외에도 근간 표준, 실무 표준 및 프레임워크, 실무 지침서를 구분으로 하여 많은 표준/실무 가이드가 존재하며, 상세 내용은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부제: PMI 표준 목록) 에 기술하였습니다. 이 표준 목록 중에 Digital Transformation에 필수적인 환경, 방법론, 프레임웍 체계라 할 수 있는 Agile 및 Agility Transformation에 대한 가이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MI agile agility

기업에서의 제품, 시스템, 서비스, 작업물, R&D를 포함한 모든 프로젝트는 “기획 > 프로젝트 > 운영 > 꾸준한 개선 (혹은 폐기)”라는  생애주기/라이프사이클을 따라야 합니다. 아키텍트적으로 구성되야할 것이 크게 Business Strategy, Project, Operation 및 Governance 기법을 아주 탄탄하게 접목하여 기업에 맞추어 테일러링된 환경으로 꾸준히 개선해야 합니다. 

Business 전략에 해당하는 표준이 IIBA의 BABOK  및 The PM Guide to Business Analysis 부분입니다. 이에는 비즈니스 분석 기획 및 감시, 도출 및 협업, 요구사항 생애주기 관리, 전략 분석, 요구분석 및 디자인 정의, 솔루션 측정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있이며, 이에는 Design Thinking/디자인씽킹에 관련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로 필요/문제/Needs 분석을 기반으로 목표/해결책/Solution을 제시하고, 이의 실현을 위한 변화/Change 수립하여 이해관계자/Stakeholder에서 가치/Value를 제공한다는 내용입니다. 

Project 관리는 PMI PMBOK 혹은 Agile Practice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로젝트는 크게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자원, 의사소통, 리스크, 조달,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10가지 관점으로 착수, 기획, 실행, 감시 및 통제, 종료라는 5가지 시점에 따라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완수하기 위한 지식체계가 정리된 항목입니다. 제품/서비스를 보다 더 상세하게 구분관리하기 위한 SEBOK/CMMI 도 결국 프러덕트 개발이 목적이지만 프로젝트 관리 범주안에 들어옵니다. 삼성전자나 LG전자의 방법론도 이러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SEBOK이 개발 모체가 되어 있어 PLM이 구성되었습니다. 

Operation 관리는 Axelos ITIL이 많이 회자되는 지침서입니다. 전략, 설계, 전환, 운영 및 개선이라는 5가지 주제로 지식체계 및 도구/기법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예전에는 전략 > 개발(혹은 SI) > 운영(혹은 SM)이 구분되었는데, 요즘에는 단일 통합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것이 거버넌스 차원으로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PMI agile agility

Agile의 경우 민첩/기민하게 움직인다는 그 자체의 의미고, Agility의 경우 이러한 변화 환경에 대한 적응이 몸에 배어있어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중요한 것은 과거의 전통적인 예측 기반 (혹인 계획 기반, Waterfall, 폭포수) 방법론외에도 반복적, 점진적, 애자일 방법이라는 방법론적인 선택의 폭이 늘어났다는 것이고, 이것을 하나만  Hybrid 혹은 combined 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야 변화무쌍한 환경에 대처할 수가 있습니다. 결국 Watefall을 버리고 Agile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Waterfall 기반하의 Agile 적용 등이라는 유연한 방법론적 사고 방식으로 대처를 해야한다는 것이죠. 

 

중요한 것은 관리의 핵심이 되는 관리 항목, 즉 전략 > 이니셔티브 > 포트폴리오 > 프로그램 > 프로젝트 > Control Account > 작업 패키지 > 태스크 > 자원 > 실제자원의 구조는 그대로 가져가고 이를 예측적, 반복적, 점진적, 애자일 방식을 단일 혹은 조합 선택하여 관리한다가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의 핵심입니다. 

 

PMI agile agility

기업에서는 단일 프로젝트만 관리하는 것이 아닌, 기업에서 수행하는 모든 프로젝트/프로그램을 거버넌스 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리 체계보다는 거버넌스 체계에 중점을 둬야하고, 이 체계를 구축하고 종료가 아닌 꾸준한 개선으로 변화에 보다 민첩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Agility KSF(Key success factor)를 중점으로 변화 관리를 대처해야 합니다.  이는 조직의 비전 및 전략과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이고, 각각의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프로젝트/프로그램 관리 체계가 갖추어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포트폴리오, 프로그램, 프로젝트맵 및 헬스체크 상태맵의 가시성도 필요합니다. 

 

 

Defining Processes

  • Develop Portfolio Strategic Plan
  • Develop Portfolio Charter

  • Define Portfolio Roadmap

  • Develop Portfolio Management Plan
  • Define Portfolio 
  • Develop Portfolio Communication Management Plan 
  • Develop Portfolio Performance Management Plan 
  • Develop Portfolio Risk Management Plan

Aligning Processes

  • Manage Strategic Change
  • Optimize Portfolio

  • Manage Supply and Demand
  • Manage Portfolio Value
  • Manage Portfolio Information
  • Manage Portfolio Risks

Authorizing and Controlling Processes

  • Authorize Portfolio
  • Provide Portfolio Oversight

 

 

 

 

PMI agile agility

과거에는 6시그마, PI, TQM 과 같은 도구가 전사적으로 이용되었다면, 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에는 Agile 및 Agility Transformation 이 환경구성 및 꾸준한 개선/ 변화 대응이 기업의 변화 관리에 필요한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며, PMI의 표준들이 그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서/가이드에 대한 구조 및 표준들이 준비된 상태입니다. 많은 기업에서도 개인의 역량 = PMP 의 단계를 뛰어 넘어 조직의 역량 = OPM / Governance / Agility의 환경 구성으로 Digital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전환 체계로 돌입했으면 하는 바램으로 글을 마칩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16 Sep 2017 11:06 PM (8 years ago)

The PMI has announced the release of the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1st on September 6th, 2017. I have analyzed the frequency of words of Glossary & Terminology by using data analysis technique.You cloud probably capture of the context in PMI PMBOK & APG (Agile Practice Guide). Enjoy your lifestyle both with PMBOK 6th and APG 1st. 

PMI가 PMBOK 6판과 Agile 실무집 초판을 2017년9월6일 출시하였습니다. 전체적인 맥락 확인을 위해 용어집에 있는 단어들의 사용 빈도를 분석한 후, 태그클라우드 형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유용하게 활용해 주세요. 

 

PMI PMBOK AgilePracticeGuide 001

 

PMI PMBOK 6th edition 

PMI WordCloud PMBOK6th

 

 

 

 

PMI Agile Practice Guide 1st 

PMI WordCloud AGILE1st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16 Sep 2017 9:07 AM (8 years ago)

 

 

PMI 에서 Agile Practice Guide 가 2017년 9월 6일에 출시 되었습니다.  PMI 회원이라면 누구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PMBOK과 합본으로 되어있어, 이제는 Waterfall 의 대명사 PMBOK 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PMI Agile Practice Guide 에서 사용하고 있는 Glossary/단어집 및 키워드에 대한 사용 빈도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애자일에서 무엇을 강조하는지 감을 쉽게 잡을 수 있는 가이드 기초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Screenshot 2017 09 17 02 06 52

glossary / keywords frequency
agile 708
project 447
product 211
benefit 194
value 150
Change 142
life 133
use 124
Scrum 121
predictive 95
Kanban 90
Customer 78
flow 73
servant 72
business 68
Need 63
principles 59
backlog 56
story 56
iteration 54
functional 53
plan 53
Lean 50
risk 50
feature 48
manifesto 48
iterative 47
test 47
Collaboration 46
cross 46
done 46
owner 45
framework 43
planning 42
single 42
hybrid 41
mindset 41
board 40
Design 37
large 36
Model 35
self 30
daily 29
service 29
mapping 27
user 27
Context 24
continuous 24
Crystal 23
technical 23
burnup 21
refinement 21
retrospective 21
sprint 20
acceptance 17
burndown 16
Dynamic 16
Goal 16
impact 16
purpose 16
release 16
Stakeholder 16
eXtreme 15
Domain 14
Examples 14
transparency 13
Unified 13
automated 12
disruptive 11
events 11
ready 11
behavior 10
Disciplined 10
Scaled 10
Scrumban 10
specification 10
vision 10
pair 9
pairing 9
requirement 9
timebox 9
velocity 9
broken 8
cadence 8
evolutionary 8
impediment 8
siloed 8
executive 7
experiment 7
increment 7
bias 6
coach 6
paint 6
refactoring 6
Solution 6
collective 5
IDEAL 5
Methodology 5
prototype 5
radiator 5
spike 5
stream 5
Experiments 4
Outcome 4
practitioner 4
rolling 4
workshop 4
agilist 3
blocker 3
constraint 3
demo 3
elaboration 3
mobbing 3
Output 3
pivot 3
smoke 3
swarming 3
anti 2
blended 2
DevOps 2
double 2
Hoshin 2
Initiative 2
issue 2
Kaizen 2
personas 2
baseline 1
contingency 1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16 Sep 2017 6:10 AM (8 years ago)

2017년 9월 6일 새롭게 출시된 PMBOK 6판을 기준으로 단어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

용어집/Glossary 기준으로 5판에서 사용된 빈도대비 6판에서 사용된 빈도 중 증가 회수가 가장 높은 TOP 25개를 나열해 봅니다.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본 문서의 목차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목록
  • 증가된 단어의 의미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Screenshot 2017 09 17 02 16 33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목록

 
Num Glossary Frequency of PMBOK 5th Frequency of PMBOK 6th Frequency Increments
1 Risk 994 1509 515
2 Process 1715 2134 419
3 Project 7106 7370 264
4 Data 413 668 255
5 Log 66 293 227
6 Change 500 724 224
7 Stakeholder 451 658 207
8 Information 631 814 183
9 Result 140 311 171
10 Baseline 259 416 157
11 Assumption 6 143 137
12 Monitor 71 195 124
13 Resource 457 580 123
14 Schedule 889 995 106
15 Quality 648 749 101
16 Issue 66 159 93
17 Tailoring 8 88 80
18 Product 296 368 72
19 Charter 147 210 63
20 Program 129 177 48
21 Portfolio 84 127 43
22 Practice 36 79 43
23 Opportunity 13 52 39
24 Agreements 67 103 36
25 Milestone 45 77 32
 
 
 
 

▲ 증가된 단어의 의미

 
1. Risk 관련 
5판과 대두되는 부분이 Risk 가 (1) Overall Risk 과 Individual Risk 로 구분되었으며, (2) 리스크 대응 방안 역시 위협리스크와 및 기회리스크 모두 기존 4개에서 에스컬레이션 방법이 추가되어 각각 5개씩 되었다는 점, 아울러 리스크 통제가 리스크대응 실행 및 리스크 감시로 분리됨에 따른 지침서의 내용이 보강되면서 가장 높은 빈도율로 Risk 단어 사용이 높아졌습니다.
 
2. 프로젝트 실행 Data/Log / Information  
프로젝트 관리 기법에 생애주기 종류에 예측정, 반복(Iteration)형, 점진형, 애자일형(적응형) 이 추가됨으로 과거 프로젝트에 비해 Data 및 Log의 중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언급이 많아졌습니다. Information/정보 역시도 Agile 형과 같은 변화를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위한 척도로서 이러한 로그/정보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아졌습니다.
 
3. Baseline 
6판에서는 범위계획, 일정계획, 원가계획 각각의 산출물을 “Baseline/기준선”을 이라는 단어로 사용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verification & validation이 확인된 Baseline 이라는 단어를 원래의 의도대로 올바르게 많이 사용했으면 좋겠습니다. PMBOK에서는 Scope baseline, Schedule baseline, Cost baseline 및 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 의 핵심 산출물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4. Portfolio – Program – Project – Product : Tailoring & Practice 
6판에서는 프로젝트/프로그램/포트폴리오 생애주기의 연계성과, 각각의 조직 환경에 맞추어 재단/Tailoring 기법을 적용하여 맞춤형으로 활용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올해 출시된 Program Mgmt 및 Portfolio Mgmt 아울러 출시된 Agile / Adaptive Lifecycle 과의 정합성을 맞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집니다. Product는 PMI Business Analysis Standard와의 정합성을 맞추기 위한 요소로, 아울러 Practice는 PMI의 여러 표준 실무/실무사례들과의 보완성을 맞추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 됩니다.

  • Agile Practice Guide
  • Business Analysis
  • Governance of Portfolio_Program_Project
  • Implementing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 Managing change in Organizations
  • Navigating Complexity
  • Requirements Management

5. Resource

기존의 Human Resource가 물리적 자원이 포함되면서 지식영역 이름 자체가 Resource 관리로 바뀌었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면서 단어 빈도 사용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비즈니스분석 역량 모델 – Business Analysis Competency Model Wheel 14 Jun 2017 4:47 PM (8 years ago)

전세계 BA 표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IIBA(International Institute of Business Analysis)에서 2015년 출시된 A Guide to the Business Analysis Body of Knowledge® (BABOK® Guide) v3  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분석 역량 모델 표준이 지난달(2017.05) 출시 되었습니다. 비즈니스 분석 역량 모델은 BABOK® (Business Analysis Body Of Knowledge) 지식 영역이 기초 역량과 기법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와 이를  5가지 수준으로 나눠 기술되어 있으며, 본 글에서는 개요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 합니다.

 

1수준 – General Awareness  (인식)

2수준 – Practical Knowledge (지식)

3수준 – Skilled (숙련됨)

4수준 – Expert (전문가)

5수준 – Strategist (분석가)

 

Business Analysis Competency Model.png

IP publication Wheel wTradeMark

기법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비즈니스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는 자신의 경험과 판단으로 공통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술이 주어진 솔루션에 적절하게 적용되는지 판단합니다.

비즈니스 분석 계획 및 모니터링

이 지식 영역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의 노력을 조직하고 조정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을 설명합니다.

도출 및 협업

이 지식 영역은 다음을 설명합니다.
·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도출 활동을 준비하고 수행하고 도출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 비즈니스 분석 정보가 수집되면 이해 관계자와의 의사소통
· 비즈니스 분석 활동 전반에 걸친 이해 관계자와의 지속적인 협력

요구사항 라이프사이클 관리

이 지식 영역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요구 사항을 관리 및 유지하고, 착수부터 종료까지 정보를 디자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을 설명합니다.

전략 분석

이 지식 영역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기 위해 수행하는 비즈니스 분석 작업을 설명합니다.
· 전략적 또는 전술적 중요성 (비즈니스 필요성)의 필요성 식별
· 기업이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해결할 수 있게합니다.
· 결과에 대한 전략을 상위 전략과 하위 전략으로 조정합니다.

요구 사항 분석 및 설계 정의

이 지식 영역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다음 사항에 대해 수행하는 작업을 설명합니다.
· 도출 활동 중에 발견 된 요구 사항을 구조화하여 구성합니다.
· 요구 사항을 구조화 및 모델화하고 디자인합니다.
· 정보 검증 및 확인합니다.
·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시키는 솔루션 옵션을 식별합니다.
· 각 솔루션 옵션에 대해 실현 될 수있는 잠재적 가치를 예측합니다.

솔루션 평가

이 지식 영역은 비즈니스 분석가가 수행하는 다음 사항에 대한 작업 설명합니다.
· 전달된 결과물이 기업에 미친 성과와 가치를 평가하고
· 가치의 완전한 실현을 방해하는 장벽이나 제약 조건의 제거를 권장합니다.

분석적 사고와 문제 해결

이러한 기술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다음을 수행하는 데 필요합니다.
· 문제와 기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 가장 큰 가치를 제공 할 수있는 변경 사항 식별
·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변경 사항의 영향을 이해합니다.

행동 특성

이러한 특성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다음을 통해 이해 관계자의 신뢰와 존중을 얻을 수있는 기술 및 행동에 중점을 둡니다.
· 지속적으로 도덕적인 매너로 행동하며,
· 일정 준수와 기대치에 준한 작업 완료,
· 효과적인 품질 결과를 제공하고
· 변화하는 필요와 상황에 적응할 수 있음을 증명.

비즈니스 지식

이 기본 역량을 통해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는 변화 또는 필요와 관련된 상황의 구조, 이점 및 가치를 통제하는 비즈니스 개념 및 모범 사례를보다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의사 소통 능력

이러한 기술은 정보를 전달하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이해와 신뢰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는 다음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의 지식 수준과 의사소통 스타일에 맞게 소통 및 기법을 적용합니다.
· 어조, 바디랭귀지 및 문맥이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 이해하고,
· 정보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계획합니다.
· 특정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필요로하는 모국어, 문화, 동기, 우선 순위, 의사 소통, 학습 및 사고 스타일과 같은 화자와 청자의 차이를 이해합니다.

교류 기술

이 기술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협력하며 의사 소통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또한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가 다음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합니다.
· 이해 관계자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고,
· 리더십을 제공하며,
· 솔루션 가치에 대한 이해를 장려하고,
· 제안 된 변경 사항에 대한 이해 관계자 지원을 촉진합니다.

도구 및 기술

이것들은 다음 사항으로 구성됩니다. :
· 의사소통 및 협업 지원,
· 요구 사항 산출물 생성 및 유지,
· 모델 개념,
· 이슈 추적
· 전반적인 생산성을 향상 기법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머신러닝(ML)의 간략한 역사 13 Jun 2017 11:37 PM (8 years ago)

머신러닝(ML)의 간략한 역사가 깔끔히 정리된 글이 있어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1946 – 2017

우리가 머신러닝(ML)에 깊이 관여하기 전에,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아보기 전에 우리가 어디에 있었는지 알아야합니다. 다른 역사와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일지라도, 흥망성쇄으 기로 앞 시점에서 현재의 인기가 과장된 선전인지 아니면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인지를 우리가 직접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위키피디아 머신러닝(ML)의 타임 라인은 베이즈의 정리의 토대를 발견 한 1763 년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나 컴퓨터가 발명된 1946년인  20 세기부터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946

컴퓨터의 발명은 인간의 역사에서 있어 불의 발명만큼 중요 할 수도 있으며, 인공지능(AI)은 같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수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ENIAC (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는 미 육군에 의해 지어지고 헝가리인 John von Neumann에 의해 프로그래밍 할 수있게 해주는 최초의 전자 범용적인 프로그래밍 가능 컴퓨터였습니다. 그는 또한 헝가리인 동료 Edward Teller가 개발 한 H-폭탄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했습니다.

ENIAC

ENIAC

1950

언론은 ENIAC을 “자이언트 브레인 (Giant Brain)”으로 예고했으며, 이는 앨런 튜링 (Alan Turing)으로 하여금 인공지능(AI)을 감지하기 위한 이른바 튜링 테스트 ( Turing-Test) 를 설계하는데 동기가 되었습니다.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컴퓨터가 아니라 다른 인간이라고 믿게해야 하는데, 아직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1952

Arthur Samuel은 체커 게임 방법을 배우는 최초의 머신러닝 격인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그의 알고리즘은 경험으로 부터 배우기 위해 발견적 탐색 메모리를 사용하였습니다. 1970 년대 중반까지 그의 프로그램은 인간과 시합하여 이기고 있었습니다.

1956

Dartmouth 워크샵에서 Marvin Minsky, John McCarthy, Claude Shannon 및 Nathan Rochester는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라는 용어를 제안했습니다.

1958

프랭크 로젠 블랏 (Frank Rosenblatt)은 해군연구소 (US Office of Naval Research)가 시각 인식 작업을 해결하도록 위임한 최초의 인공 신경망 인 퍼셉트론(Perceptron)을 설계했습니다.

뉴욕 타임스는 퍼셉트론 (Perceptron)이  “걸고, 말하고,보고, 쓰고, 스스로 번식하여 그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컴퓨터의 배아체”라고 보도하였습니다.

Mark I Perceptron
마크 I  퍼셉트론 (Perceptron)

1967

Cover and Hart는 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Nearest Neighbor algorithm) , 거대한 이정표와 컴퓨터 패턴 인식의 탄생을 기록했습니다.

KnnClassification

KNN 분류

1974  – 1980, 인공지능(AI)의 첫번째 겨울

과대 광고로 인해 기금이 고갈되어서 진전이 거의 없었습니다.

1979

스탠포드 학생들은 장애물을 피하고 움직일 수있는 최초의 모바일 자율 로봇인 스탠포드 카트를 제작합니다.

Stanford Cart 1979

스탠포드 장바구니 1979

1980 – 1987, 인공지능(AI)의 여름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의 도입으로 기업들이 신속하게 채택하기 시작했고, 머신러닝(ML)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1981

설명 기반 학습 (EBL, Explanation-Based Learning)이 도입되었습니다. 중요도가 낮은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도록 훈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반화 규칙을 만들었습니다.

1985 – 신경망 획기적 발전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로(재)발견으로 숨겨진 레이어(Hidden Layer)에 더 복잡하고 강력한 신경망를 학습 할 수있었습니다. 그 결과, 연구를 촉진하게 되었고, 뇌의 모델인 Neural Nets에 대해 모든 사람을 흥분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과대한 광고와 꿈으로 과장 되게 되었습니다.

NeuralNetworks

신경망

 

 

1987 – 1993, 인공지능(AI)의 첫번째 겨울 

신경망(Neural Network)은 좋은 이론이 부족하고 너무 과한 경향이 있어 호의적이지 않았다.

1990

머신러닝(ML)에 대한 통계적 접근 방식인 Support Vector Machine (SVM)의 신개념이 소개되었습니다.  SVM은 엄격한 수학적 분석을 위한 훌륭한 후보로써 최신의 성능을 제공하였습니다.

SVM

Support Vector Machine (SVM)

1997

IBM의 딥 블루 대 체스 그랜드 마스터 게리 카스파 로프 . 머신 승리!

IBM의 딥블루(Deep Blue) 와 체스 최우승자 Gary Kaspárov 와의 대결에서 딥블루가 승리 했습니다.

IBM vs Garry

IBM의 딥블루와 체스 그랜드 마스터 Gary Kaspárov의 대결

2006 , 현재의 날, 확산 및 상업적 채택

빅데이터, 빠른 컴퓨팅, 성숙 된 신경망 모델은 머신러닝(ML)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 일으켰습니다. 디지털 변환 , 머신러닝(ML)을 통한 빅 데이터는 경쟁우위를 위해 회사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에 통합됩니다.
Coursera 에서 머신러닝(ML)을 위한 신경망(Neural Network) 을 개발한 Geoffrey Hinton 은 딥러닝( Deep Learning)을 유행어로 확신시키며,더 나은 모델을 학습 할 수있는 심오한 신경망의 새로운 아키텍처를 설명하기 위해 신경망을 다시 브랜드화 했습니다.

Geoffrey Hinton Deep Learning

Geoffrey Hinton – 딥러닝( Deep Learning)

2011

IBM Watson 컴퓨터가 참가자들이 자연 언어로 질문에 답하는 Jeopardy TV 프로그램에서 우승했습니다.

2012

Coursera 에서 훌륭한 머신러닝(ML) 과정을 개발한 Stanford의 Jeff Dean 과 Andrew Ng 는 Google Brain Project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Google의 모든 인프라를 사용하여 이미지와 비디오의 패턴을 감지하는 심층신경망을 개발했습니다.

Google Brain Project 768x419

구글 브레인 프로젝트

제프리 힌튼 (Geoffrey Hinton) 팀은 성숙 단계에 이르렀고 관심을 끌고 있는 심층신경망 (DNN, Deep 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큰 차이로 ImageNet 대규모 시각적 인식 챌린지 2012 (ILSVRC2012) 경연 대회에서 우승합니다. 이것을 계기로 DNN을 기반의 머신러닝(ML, Machine Learning)이 현재의 폭발로 이어집니다.

AlexNet 768x239
AlexNet

Google X 연구소는 16,000 대의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DNN을 구축하여 YouTube의 1,000 만 개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고양이를 인식했습니다.

GoogleX Cat 768x492
GoogleX Cat과 Andrew Ng

2013

딥마인드(DeepMind)라는 영국의 딥러닝 스타트업은, Atari 게임에서 인간을 이길 수 있도록 Deep Reinforcement Learning 모델을 설계했습니다.

Atari Games

아타리 게임

2014

페이스북은 인간처럼 사람을 인식 할 수있는 DeepFace DNN을 개발합니다.

Google은 DeepMind를 인수합병 했습니다.

2015

Amazon은 Amazon Machine Learning을 출시했습니다.

Microsoft는 GPU 및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머신러닝(ML)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DMTK (Distributed Machine Learning Toolkit) 를 발표했습니다.

엘론 머스크 (Elon Musk)과 샘 알트만 (Sam Altman)은 비영리단체인 OpenAI 를 설립하여, 인공지능(AI)이 인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한다는 것을 목표로 10 억 달러를 제공했습니다.

2016

Microsoft는 자사의 오픈 소스 심층 학습 툴킷 인 Computational Network Toolkit (CNTK)을 출시했습니다 .

Google의 AlphaGo/알파고가 바둑 천재 이세돌과 시합하여 이겼습니다. 알파고의 알고리즘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창조적인 수의 기보를 보여주었습니다.

2017

Google은 TensorFlow를 발표 합니다.

Microsoft는 자사의 오픈 소스 심층 학습 툴킷 인 Microsoft Cognitive Toolkit (이전 CNTK)을 출시 했습니다 .

오늘날 우리는 인공지능(AI)에서 세 번째 폭발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발대한 양의 데이터와 직면한 문제들을 완전히 새로운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결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전략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증가하는 데이터 볼륨으로 인해 과학자와 연구원을 한동안 바쁘게 할 것이며, 이들은  특이점에 도달 할 때까지 획기적인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계속 떠올릴 것입니다.

제 3의 겨울이 오지 않느냐구요? 그럴 수 없습니다. 왜냐구요? 기술의 채택과 실질적인 결과가 목에 다다랐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학습 경로 13 Jun 2017 7:06 AM (8 years ago)

머신러닝(ML), 인공지능(AI), Microsoft Cognitive Toolkit (CNTK) 엔지니어인 Ivan Farkas 의 AI 학습 경로에 대한 좋은 안내 글(AI Learning Path, May 27, 2017)이 있어 공유합니다. 데이터 과학자, 머신러닝(ML), 인공지능 엔지니어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개념과 추천 과정들이 쉽게 설명되고 정리가 잘 되어있어 번역해 보았습니다.

순서

  1. 머리말
  2. 인공지능(AI)을 사용하는 이유
  3. 인공지능(AI)으로 진입해야하는 이유
  4. 지금이어야 하는 이유
  5. 학습 전략
  6. 세 가지 학습 경로 (1. AI 소비자, 2. 데이터 과학자, 3. 머신러닝(ML) 엔지니어)
  7. 배치 인공지능(AI) 교육
  8.  AI는 얼마나 빨리 혁신되고 있습니까?
  9. 결론
  10. 참고문헌

머리말

기술,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은 수평적으로나 수직적으로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세분화되고 전문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무엇을 연구하고 어떤 깊이로 결정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전체 스택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컨설턴트로서 교육 자료, 과정 및 자격증을 위한 시간, 에너지 및 돈을 투자해야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및 방법에 대해 많은 질문을 받습니다. 이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5 가지 질문에 스스로 답해보시기 바랍니다.

  1. 가장 흥미로운 소프트웨어 기술은 무엇입니까?
  2. 어떤 업체의 구현물이 경쟁에서 이기는 가장 좋은 기회입니까?
  3. 내 직업 프로필에 얼마나 중요합니까?
  4. 고객에게 어떻게 판매 할 수 있습니까?
  5. 어떻게 하면 수익을 올릴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은 패러다임의 변화이며 IT 역사상 가장 큰 혁명이 될 것이지만, 현재까지도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필자는 2015 년경에 머신러닝(ML)과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을 매우 신중하게 바라보았습니다. 제 친구 Zoltan Feher 가 크리스마스 시즌에 우리와 함께 보냈습니다. 그때 우리는 인공지능(AI)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컴퓨터 비전과 머신러닝(ML)이 적용된 가전 제품에 대해 브레인스토밍을 했었습니다. 이것이 앞서의 #1번 질문에 대한 대답일 것입니다. #2 번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힘들었 기 때문에 확실한 방법으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으로 MatLab 을 사용하여 구현해 보았습니다.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지 못했고, 그것에 대한 정답이 하나가 아니라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그 당시에는 다른 어떤 것도 보이지 않았으며 지금도 그렇게 할 것입니다. 처음 두 질문에 답하는 것은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이 저의 시간, 에너지 및 돈에 가치가 있다고 결정할만큼 충분히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때의 의사결정은 많은 산업 리더와 포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3 가지 주요 인공지능(AI)에 대한 학습 경로, 관련 내용 및 장단점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러나 그 전에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을 좀 다르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 인공지능(AI)을 사용해야하며, 왜 인공지능(AI)으로 진입해야하는지, 마지막으로 왜 지금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요.

 

인공지능(AI)을 사용하는 이유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지만 머신러닝(ML)은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과학자는 다섯 가지 간단한 질문을 통해 문제를 분류 할 수 있습니다. Brandon Rohrer는 5 개의 항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훌륭한 게시물을 가지고 있으며, 아래에 요약하였습니다.

데이터 과학자의 5 가지 질문 [00:18:19]

  1. 어떤 카테고리? – 분류 (바이너리, 멀티 클래스)
  2. 이상한가요? – 변이 (Anomaly)
  3. 얼마나 크게/많게 예측합니까? – 회귀 분석 (Regression)
  4. 이것은 어떻게 관련되어 있습니까 (데이터 구조)? – 클러스터링, 추천 시스템
  5. 무엇 향후 계획? – 강화 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이것들을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분류 / Classification
때로는 환자가 병에 걸렸는지 아닌지 분류하는 것처럼 사물을 분류해야합니다. 분류 : 출력 변수는 클래스 라벨(class label) 입니다.

 

2. 회귀 분석 / Regression
우리가 물을 수있는 또 다른 질문은 미래의 문제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택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주택 가격이 약간의 수치 (연속적 일 수 있음) 일 수 있습니다. 회귀 : 출력 변수는 연속적인 값입니다.

 

3. 변이 / Anomaly
또 다른 클래스의 알고리즘은 이상 탐지기 (outlier detection)라고도 불립니다. 예상되는 패턴이나 데이터 세트의 다른 항목을 따르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문제는 은행 사기, 스팸, 구조적 결함, 의학적 상태 또는 텍스트 오류입니다.

 

4. 클러스터링 / Clustering
유사성을 기반으로 데이터 세트를 여러 그룹 (클러스터)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5. 추천 시스템 / Recommender System
Netflix와 Amazon이 본인이 좋아할만한 영화나 제품을 추천하고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십시오.

 

6. 강화 학습 / Reinforcement Learning
바둑은 체스보다 더 복잡한 순서 구조입니다. 알파고/AlphaGo는 2016년 12월에 이어 2017년 5월에도 다시 세계 챔피언을 이겼습니다. 알파고는 이제는 알파고 끼리의 자체 대국을 통해 게임에서 더 잘 대처하면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의 예입니다.

5 Questions of a Data Scientist 768x428

데이터 과학자의 5가지 질문

데이터 과학은 어떻게 동작합니까?

알고리즘 = 요리레시피

데이터 = 재료

컴퓨터 = 믹서기

해결책 = 스무디

인공지능(AI)으로 진입해야하는 이유

앞서의 다섯 가지 질문은 머신러닝(ML)의 힘을 보여 줍니다, 이는 전통적인 컴퓨터 과학으로는이 소화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예를 들어 Excel에서 회귀 연산을 할 수 있지만 Excel은 행성 규모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 설계된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의 모든 관련 부분을 이미 걸러내어 새로운 정보를 수집할 때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것이 컴퓨팅 계산으로로도 매우 비싸고 힘든 과정의 학습 절차입니다. 이 모든 것들은 오늘날 우리가 전통적인 컴퓨터 과학으로 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없다면 이것이 인공지능(AI)으로 진입해야하는 아주 좋은 이유가 될 것입니다!

지금이어야 하는 이유

아래 이미지는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및 인공 신경망 (신경 네트워크)과의 양파구조와 같은 관계를 설명합니다.

AI layers 768x452

인공지능(AI) 레이어

인공 신경망은 과거에는 잘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고 그렇기 때문에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세가지 촉매제가 이러한 폭발을 유발하고 유지하고 있습니다.

1. 새로운 수학 조합(New Combo of Math) : 스파크

2. 빅 데이터(Big Data) : 연료

3. 방대한 계산(Massive Computation) : 마력

학습 전략

머신러닝(ML)을 이해하는 데는 두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하향식 

  1. 적용하고 있는 머신러닝(ML)의 프로세스를 배우세요.
  2.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3. 데이터셋을 가지고 가능한 많이 연습하세요.
  4. 머신러닝(ML) 알고리즘의 상세 사항 및 이론으로 한걸음 더 들어가세요.


상향식
먼저 이론부터 시작하세요. 머신러닝(ML)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1. 실용 머신러닝(ML) 데이터를 정리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쿼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고, 알고리즘과 라이브러리를 연계하는 활동입니다. 또한 까다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답을 얻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직접 프로그램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꽤나 지저분한 일이지만 이것이 현실이죠.
  2. 이론적 머신러닝(ML) 그것은 학문적 수준의 수학, 추상화 및 이상화된 시나리오와 한계, 아름다움과 가능한 정보에 관한 것입니다. 그것은 훨씬 더 깔끔하고 깨끗하며 현실의 혼란들이 제거된 것입니다.

과거의 연구, 동기 부여, 결정 및 목표에 비추어, 필자는 상향식 방법 중 이론적 머신러닝(ML) 경로를 선택했습니다. 이것은 이론, 모델 및 하이퍼 파라미터 조정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하기 때문에 하향식 실용적 머신러닝(ML) 경로보다 어렵지만 훨씬 더 보람적입니다. 이것은 또한 당신의 시간과 에너지 그리고 약간의 자금에 대한 막대한 초기 투자를 필요로합니다. 데이터 정리, 기능 인지에 대한 실용적인 통찰력을 키워 다양한 모델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최적화 과정에서 매우 유용한 직관을 개발하는 것이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입니다. 머신러닝(ML)을 공부하는 것에 대해 그것이 좋거나 훌륭하거나 우수한지에 대한 판단이 모호하거나, 학습에 필요한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에 대한 가치가 확실하지 않은 완전한 초보자는 하향식 머신러닝(ML) 경로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Andrew Ng의 아래 두 인용문은 매우 적절합니다.

머신러닝(ML) 한 클래스 과정은 실제로 유용하게 적용 할 수있는 수준으로 발전했습니다.

머신러닝(ML)은 ‘실리콘 밸리에서 가장 많이 찾는 기술 중 하나’ 입니다. 

대수와 확률에 익숙하면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코스에 대한 유일한 전제 조건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입니다. 이 과정은 엄청나게 도전적일 수 있습니다! 아주 가까운 미래에 소프트웨어를 만들 방식은 과거에 소프트웨어를 제작 해왔던 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여지껏 컴퓨터 과학을 연구 해 온것이지,이것은 새로운 경험적 과학입니다. 이것은 또다른 과학 분야이기에, 시중의 유행어와는 달리 봐야합니다. 우리는 관련된 모든 새로운 유행어를 배워야합니다.

AI Buzzwords 768x431

인공지능(AI) 유행어

좋은 소식은 여러분이 그것들을 한꺼번에 배울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들이 다가 아닙니다. 다시 목표로 돌아가 봅시다. 목표는 여러분이 소프트웨어를 지능적으로 만들고 싶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Microsoft에서 제시하는 데이터 과학에 뛰어 들지 않고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인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이제 다양한 학습 경로와 데이터 과학에 몰두하는 수준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세 가지 학습 경로

1. 인공지능(AI) 소비자

실용적인 머신러닝(ML) 경로입니다. Cognitive Services API (인지 서비스 API)를 사용하면 잘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몇 줄의 코드 만 사용하여 강력한 알고리즘으로 앱을 제작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미리 준비된 모델입니다. 본질적으로 당신은 인지 서비스 소비자가 되는 것이죠. Build 2017에서 Microsoft는 기능을 더욱 개방 한 맞춤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다음은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스냅 샷입니다.

Cognitive Services list

Cognitive Services list

Cognitive Services Documentation 에서 설명서 및 자습서를보고 시작할 수 있습니다. Azure 개발자 워크샵 (스토리지,인지, ML/머신러닝(ML), 스트림 분석, 컨테이너 및 도커) 비디오 과정을 갖춘 Microsoft Virtual Academy 도 있습니다. 새로운 맞춤형 시각 및 음성 API를 사용하여 인지(Cognitive) 서비스의 기능과 정확성을 능가하는 경우 소매를 걷어 올려 시행 착오를 거쳐 몇몇 데이터 과학을 학습하면 됩니다.

 

2.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과학자의 TopTal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과학자는 데이터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입니다. 데이터 과학자의 임무에는 일반적으로 추천 엔진이나 자동 리드 스코어링 시스템과 같이 회사 내에서 다양한 머신러닝(ML) 기반 도구 또는 프로세스를 만드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 역할 내의 사람들은 또한 통계 분석을 수행 할 수 있어야합니다.

개발자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전환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00:32:20]

과거에는 Matlab, Octave, SciKit Learn와 같은 Python 패키지 같은 다수의 데이터 과학 및 머신러닝(ML) 도구가 있었습니다. 이 과정의 일환으로, 데이터 과학자들은 분석할 데이터에 대해 상세히 알아야 했습니다. Matlab 과 Octave이 이제는 통계 분석 및 플로팅 기능이 내장되어 갖추고 있습니다. Python의 경우도 numpy, matplotlib, Panda, Seaborn, Plotly 및 Cufflinks (제가 가장 좋아하는)와 같은 수많은 데이터 시각화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과학자로서 자문해야할 할 많은 의문점들이 있습니다.

Azure Machine Learning Studio를 사용하여 이러한 모든 단계를 수행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과학에 대한 훌륭한 경험을 얻을 수 있으므로 멋지게 소화해 보세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ML Studio 768x456

ML Studio

데이터 과학자가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한 많은 설명서, 자습서 및 교육 비디오가 있습니다. 진지한 마음으로 경력을 쌓으려는 경우 데이터 과학 온라인 과정인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에서 제공하는 Microsoft 데이터 과학 전문가 프로그램을 추천합니다. MOOC 는 많은 비디오 강연으로 구성된 집중 장기 코스입니다.

데이터 과학자 학습 경로에 대한 조언

인지 서비스를 먼저 시작하세요. 거기에 좋은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것들만 활용하더라도 당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미 해결했을 수도 있겠지만, 그걸로 끝내지 마세요. 그것이 바로 앞에있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해도, 저의 조언은 더 먼 길을 바라보고 가는 것입니다. 아울러 Azure ML Studio는 훌륭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20년 전의 Visual Basic과 유사합니다. 많은 비 전문가를 끌어 들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놀라운 시각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과정을 시작하십시오. 데이터를 가지고 놀고 데이터를 시각화해보세요. 그러다 보면 새로운 어휘력이 생기면서 관련된 분야의 새로운 사람들이 당신의 삶에에서 같이 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MicrosoftML 을 확인해 보십시오. 다음 단계는 머신러닝(ML) 전문가 엔지니어가되는 것입니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전문가들 보상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AI Learning Path 768x91

인공지능(AI) 학습 경로

3. 머신러닝(ML) 엔지니어

다음이자 마지막 단계는 머신러닝(ML) 엔지니어입니다. 머신러닝(ML) 엔지니어는 데이터 과학자가 가지고 있는 기술에 더하여 모델을 설계하고, 하이퍼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데이터 과학자와 개발자가 소비 할 머신러닝(ML) 모델을 패키징 할 수 있어야합니다.

다음은 필수 기술입니다 :

  1. 컴퓨터 과학 기초 및 프로그래밍
  2. 확률 및 통계
  3. 데이터 모델링 및 평가
  4. 머신러닝(ML) 알고리즘 및 라이브러리 적용
  5. 소프트웨어 공학 및 시스템 설계

필수 기술 세트를 가르치기 위해 사용할 수있는 MOOC가 많이 있지만, 모든 것을 가르친 것을 찾지 못했습니다. 저는 전기 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 했으므로 30 년 전에 공부 한 수학 중 대부분은 공부했지만, 지금에 필요한 재교육 자습서가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Machine Learning Engineer 커리큘럼을 작성해야했습니다.

추천 코스 및 자료 :

Google의 TensorFlow처럼, 이전에 CNTK로 알려진 Microsoft Cognitive Toolkit 은 USQL 및 Python을 통해 로컬 GPU, Azure 및 Azure Data Lake, SQL Server 2017에서 각각 실행되는 정교한 신경망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다른 어떠한 솔루션 보다 대규모 병렬 설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Sayan Pathak 와 Roland Fernandez가 6 월 26 일 시작하는 edX의 새로운 인지 툴킷(Cognitive Toolkit ) 과정을 수강하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EdX CNTK course

edX Cognitive Toolkit course

배치 인공지능(AI) 교육

Cognitive Toolkit은 다중 GPU, 다중 서버 클러스터 교육일 때 빛을 발휘합니다. 이것이 금속이 길을 걷는 곳이며,이 기술적 경이로움을 이용하려면 머신러닝(ML) 엔지니어여야 합니다. 이제는 NVIDIA Tesla P40 및 P100 GPU 를 사용하여 NC 및 ND 시리즈 Azure 노드로 구성된 배치 인공지능(AI) 교육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Size CPU’s GPU Memory Networking
ND6s 6 1 P40 112 GB Azure Network
ND12s 12 2 P40 224 GB Azure Network
ND24s 24 4 P40 448 GB Azure Network
ND24rs 24 4 P40 448 GB InfiniBand
Size CPU’s GPU Memory Networking
NC6s_v2 6 1 P100 112 GB Azure Network
NC12s_v2 12 2 P100 224 GB Azure Network
NC24s_v2 24 4 P100 448 GB Azure Network
NC24rs_v2 24 4 P100 448 GB InfiniBand

인공지능(AI) 혁명 세션을 탐색하여 다른 개발자가 인공지능(AI) 소비자, 데이터 과학자 또는 머신러닝(ML) 엔지니어가되기 위해 취한 학습 경로를 확인하십시오.

AI는 얼마나 빨리 혁신되고 있습니까?

Google Brain 프로젝트는 2012년 여름 16천개 CPU와 12 명의 과학자가 이미지의 고양이를 인식했습니다. Geoffrey Hinton, Alex Krizhevsky 및 Ilya Sutskever는 그해 2012년 겨울에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라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단 3 개의 GPU만으로 동일한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다른 장점은 정확도입니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에 대해서 전통적인 머신러닝(ML)과 신경 네트워크는 동일한 정밀도로 동작합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머신러닝(ML) 관련 최고의 제품에서의 결과에 대한 제약이 있다면, 신경망은 더 많은 데이터로 인해 계속 좋아질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계속 던지고 있습니다.

Accuracy2

Deep Learning Accuracy / 딥러닝 정확도

결론

인공지능(AI)은 이제 멈출 수 없습니다. 이것은 점점 더 좋아지며 나아질 것입니다. 또한, 이것이 할 수 있고 잘하는 것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패러다임의 변화는 IT역사상 가장 큰 변혁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쓰나미처럼 모든 것을 휩쓸어 갈 것입니다. 파도의 꼭대기에서 저희와 함께 하시죠! 함께 미래를 만들어 봅시다!

참고 문헌

  1. 인공지능(AI) 혁명을 탐색하다 – Bill Barnes, Micheleen Harris
  2. 5 가지 질문 데이터 과학 답변 – Brandon Rohrer
  3. 데이터 과학 및 로봇 – Brandon Rohrer
  4. Microsoft Azure 머신러닝(ML)의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방법 – Gary Ericson, Larry Franks, Brandon Rohrer
  5. 맞는 알고리즘 찾기 – Brandon Rohrer
  6. 머신러닝(ML)을 위한 데이터 구성 방법 – Brandon Rohrer
  7. 데이터 정리 방법 – Brandon Rohrer
  8. 누락 된 값 처리 방법 – Brandon Rohrer
  9. 공학엔지니어적 기능이 작동하는 방식 – Brandon Rohrer
  10. 좋은 품질의 데이터를 얻는 방법 – Brandon Rohrer
  11. 왜 데이터를 시각화합니까 ? – Brandon Rohrer
  12. Microsoft Azure Machine Learning Studio의 치트시트 –  Gary Ericson, Larry Franks, C.J. Gronlund, Brandon Rohrer
  13.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위한 머신러닝(ML) – Nam Vu
  14. 응용 머신러닝(ML) 과정 – Jason Brownlee
  15. 머신러닝(ML)을 시작하기위한 4 단계 – Jason Brownlee
  16. Azure Machine Learning Studio는 무엇입니까? – Gary Ericson, Larry Franks, Paulette McKay
  17. 5 가지 기계 기술자가 되려면 필요한 기술 – Arpan Chakraborty
  18. 더 많은 GPU, 더 많은 전력, 더 많은 인텔리전스 – Corey Sanders
  19. MicrosoftML 소개 – Brad Severtson
  20. 통계 학습 입문 – Gareth James, Daniela Witten, Trevor Hastie 및 Robert Tibshirani
  21. Microsoft : 생산성 미래 비전 – Dr. Craig Sanderson, Andrew Phillips 박사, J Helen Fitton 박사, Pia Winberg 박사, Sita Narayan-Dinanauth 박사, Dr. Damien Stringer
  22. Google의 AlphaGo AI가 세계 챔피엔 Ke Jie 대국 승리 – Sam Byford (The Verge)
  23. 인터넷에서 최고의 데이터 과학 과정 – David Venturi
  24. 인터넷상의 모든 머신러닝(ML) 과정 – David Venturi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Data Scientist 데이터 과학자 소개 12 Jun 2017 3:57 PM (8 years ago)

LinkedIn은 2017 년 최고의 기술 목록을 발표했습니다. 데이터 프리젠테이션이 처음으로 상위 10 위 안에 들었던 지난 해 이후, 통계 분석 및 데이터 마이닝 2개가 선정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기술 범주는 2001 년 Purdue 대학교 통계학 교수 인 William S. Cleveland가 컴퓨터 과학 및 통계학의 합병을 주장했을 때 작성한 용어 인 데이터 과학의 제목 아래 기술 되어있었습니다.

data scientist

데이터 과학자들이하는 일

데이터 과학자는 통계 및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제품 개발에서 고객 유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대한 데이터를 실용적인 통찰력으로 변환합니다.

최근 트렌드

이 분야는 엄청난 성장을 경험했습니다. 2011 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러한 추세를 확인하십시오.

• 미국에서의 심층 분석 인재에 대한 수요는 2018 년까지 공급보다 50-60 %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14 만에서 19 만 명의 부족과 150 만 명의 관리자 및 분석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 데이터 과학자는 “21 세기의 가장 섹시한 직업“이라고 선언했습니다.

• 2015 년 1 사분기 동안 데이터 과학자의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57 % 증가했으며 데이터 과학자 검색은 같은 기간 동안 73.5 % 증가했습니다.

• 데이터 과학자는 높은 수입 잠재력, 풍부한 경력 기회 및 일자리 수 때문에 미국에서 최고의 직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관련 검색어는 지난 5 년 동안 6 배나 증가했습니다.

현장이 너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고용주는 이전 경험으로 재능을 습득해야하며 대학생 및 중견 직업인이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직위에 취업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합니다.

성공을 위해 필요한 기술

데이터 과학자들은 기술, 분석 및 프리젠테이션 기술의 고유 한 조합을 보유하고 있어야하기 때문에 찾기 어렵습니다.

그들은 통계와 응용 수학을 이해합니다. 그들은 설계 한 실험으로 가설을 검증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취합, 처리 및 데이터 저장 방법을 설계 할 수있는 충분한 프로그래밍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 및 스토리텔링을 통해 결과를 전달합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및 응용 프로그램 중 일부는 SQL, R, Python, SPSS, Tableau 및 Hadoop입니다.

참고

  1. How To Become A Data Scientist In 2017 (원문)
  2. 8 Skills You Need to Be a Data Scientist
  3.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21세기의 가장 섹시한 직업!
  4. Data scientist는 누구인가? – 21세기의 가장 섹시한 작업의 실체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부제: PMI 표준 목록) 12 Jun 2017 6:07 AM (8 years ago)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체계에 있어 미국에 본부가 있고, 전세계적으로 약 300여개 로컬 챕터가 활동하는 가장 큰 비영리사단법인인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의 표준 체계를 소개합니다.  PMI 표준 혹은 실무 가이드 중에 현업에 적용하면 매우 유용한 표준/지침서들이 많아, 균형적인 활용을 위해 안내 합니다.  (참고로 자격증 취득인원은 2017.4.30 기준입니다.)

 

 
 

  

PMI 표준 특집
 
1. 프로젝트 관련 글로벌 표준
2. 글로벌 표준 PM 단어집 한글 번역 v3.1
3. PMBOK 6판 주요 변경 내용
4. PMBOK 6판에서 늘어난 단어 사용빈도 분석
5. PMI Agile Practice Guide 사용 단어 빈도 분석
6. WordCloud of PMBOK 6th and Agile Practice Guide
7. Agile & Agility Transformation 전략 – PMI 표준 기반
8.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9. PMI PMBOK과 Agile Practice Guide Glossary/용어해설 통합본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PMI-PM_standards_practice.jpeg

순서

  1. PMI 개요
  2. Foundational Standards
  3. Practice Standards & Framework
  4. Practice Guides
  5. PMI Lexicon of Project Management Terms
  6. 표준 작성 절차 및 작성 중 표준

 

1. PMI 개요

글로벌로 인정 된 표준, 인증, 커뮤니티, 리소스, 도구, 학술 연구, 출판물, 전문성 개발 과정 및 네트워킹 기회를 통해 경력을 쌓고 조직의 성공을 개선하며 프로젝트 관리 업무를 성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

 

2. Foundational Standards

이 표준은 프로젝트 관리 지식을 위한 기초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및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조직적 접근 방식의 4 가지 직업 분야를 대표합니다. 이들은 실무 표준과 산업별 확장이 구축되는 토대입니다.

pmbok-guide-5th-edition.jpg PMBOK® Guide – Fifth Edition

program-management-standard-3rd-edition.jpg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Third Edition

portfolio-management-standard-3rd-edition.jpg 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Third Edition

opm3-3rd-edition.jpg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OPM3®) – Third Edition

  • 조직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OPM3) 표준
  • 관련자격증 : 없음

 

3. Practice Standards & Framework

실무 표준은  PMBOK 가이드에서 식별된 도구와 기법 혹은 프로세스별 특화된 사항이나 다른 기초가 되는 표준을 설명합니다.

project-risk-management-practice-standard.jpg Practice Standard for Project Risk Management

earned-value-practice-standard-2nd-edition.jpg Practice Standard for Earned Value Management – Second Edition

  • 획득가치관리(EVM) 실무 표준
  • 관련자격증 : PMP
project-configuration-management-practice-standard.jpg Practice Standard for Project Configuration Management

  • 프로젝트 형상 관리 실무 표준
  • 관련자격증 : PMP
work-breakdown-structures-practice-standard-2nd-edition.jpg Practice Standard for Work Breakdown Structures

  • 작업분류체계(WBS) 실무 표준
  • 관련자격증 : PMP
scheduling-practice-standard-2nd-edition.jpg Practice Standard for Scheduling – Second Edition

project-estimating-practice-standard.jpg Practice Standard for Project Estimating

project-manager-competency-development.jpg Project Manager Competency Development Framework – Third Edition

  • 프로젝트 관리자 역량 개발 프레임워크

 

4. Practice Guides

실습 안내서는 PMI 표준을 적용하는 데 도움이되는 정보와 지침을 제공합니다. 실무 가이드는 잠재적 표준이 될 수 있으며, 표준으로 선정되면 완전한 합의 표준을 개발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됩니다.

requirements-management-practice-guide.jpg Requirements Management: A Practice Guide

  • 요구사항 관리 : 실무 가이드
governance-of-portfolios-programs-and-projects.jpg Governance of Portfolios, Programs, and Projects: A Practice Guide

  •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거버넌스 : 실무 가이드
business-analysis-practitioners-a-practice-guide.jpg Business Analysis for Practitioners: A Practice Guide

implementing-organizational-project-management-a-practice-guide.jpg Implementing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A Practice Guide

  • 조직적 프로젝트 관리 이행 : 실무 가이드
navigating-complexity-a-practice-guide.jpg Navigating Complexity: A Practice Guide

  • 복잡성 탐색 : 실무 가이드
managing-change-organizations-a-practice-guide.jpg Managing Change in Organizations: A Practice Guide

  • 조직 변화 관리 : 실무 가이드

 

5. PMI Lexicon of Project Management Terms

프로젝트 관리 용어의 PMI 사전은 직업에 자주 사용되는 용어 중 약 200 가지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정의합니다. Lexicon은 프로젝트, 프로그램 및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용어의 이해와 일관된 사용을 촉진시키는 데 필수적인 리소스입니다. 표준화 된 언어를 사용하면 프로젝트 팀 간의 원활한 의사 소통이 촉진되며 모든 적문적인 작업에 있어서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Screen-Shot-2017-06-07-at-4.59.37-PM.png PMI Lexicon of Project Management Terms

 

6. 표준 작성 절차 및 작성 중 표준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인포그래픽 – 부제: The Pulse of Profession 2017 보고요약 (Elevate Success) 12 Jun 2017 3:50 AM (8 years ago)

PMI 에서는 매년 “The Pulse of Profession®” 이라는 PM트랜드 보고서를 출시합니다. 이번에는 Elevate Success (성공의 상승)이라는 제목으로 인포그래픽화 요약이 잘 되어있어서, 한글화 번역해 보았습니다. 기업의 올바른 PM/PMO 구축하는 중요한 근거/통계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elevate-success-infographic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PMI 프로젝트 관리 관련 직업 성장과 인재 격차 (2017-2027) 11 Jun 2017 5:58 PM (8 years ago)

 

 

PMI 에서 출시한 “프로젝트 관리 관련 직업 성장과 인재 격차(2017-2027)” 보고서에 의미있는 in-sight가 많아 한글로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개요전문  

프로젝트 관리자를 위한 향후 10 년간의 수요는 다른 직종의 근로자에 대한 수요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은 전문 인재 격차의 위험에 직면합니다.

Anderson Economic Group(AEG)은 PMI로 부터 위탁받은 인재 격차 분석 결과는 11 개국 내의 프로젝트 매니저를 대상으로 취업 및 경력 성장에있어 탁월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2027 년까지 7 개 분야의 프로젝트 중심 산업에서 프로젝트 관리 위주의 노동력은 33%, 또는 거의 22백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 증가가 예상됩니다. 2027 년까지 고용주는 프로젝트 관리 중심의 역할로 약 88백만 명의 개인을 필요로 할 것입니다. 중국과 인도는 전체 프로젝트 경영 지향적 고용의 75 % 이상을 차지할 것입니다.

이 보고서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생산성에 중요한 공헌자임을 직시해줍니다. 인재 부족으로 인해 조사 대상 11 개국의 10 년 동안 GDP가 거의 2 천 8 백억 달러에 달하는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DF 다운로드]

 

 

PM_JobGrowth_and_TalentGap.001PM_JobGrowth_and_TalentGap.002PM_JobGrowth_and_TalentGap.003PM_JobGrowth_and_TalentGap.004PM_JobGrowth_and_TalentGap.005PM_JobGrowth_and_TalentGap.006PM_JobGrowth_and_TalentGap.007PM_JobGrowth_and_TalentGap.008PM_JobGrowth_and_TalentGap.009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

미국 정부의 PMIAA (사업관리 개선과 책임 이행법) 제정에 대해.. 7 Jun 2017 6:57 AM (8 years ago)

PMI의 뉴스 오바마 대통령과 사업/프로젝트 거버넌스 정책 관련된  President Barack Obama Signs the Program Management Improvement and Accountability Act 기사가 있어 요약합니다. 국내에도 이러한 사업관리/프로그램 관리 제도가 올바로 입안되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제도가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Embed from Getty Images

목차

  1. 문제 : 사업관리 비효율로 세금 10% 낭비 ( 10억$ 당 1.1억$)
  2. 해법 : 사업/프로그램 관리 개선 및 책임 이행법 (PMIAA)
  3. 상세

1. 문제 : 사업관리 비효율로 인한 세금 10% 낭비

연방정부의 인프라 개발 및 병원 건설과 같은 정부 지원 프로젝트가 효과적으로 관리되면 매년 수백만 달러를 절약 할 수 있으나, 조직과 관료주의의 복잡성으로 인해 불필요한 지연과 비용 상승이 초래되어, 연방 이니셔티브 중 64 %만이 목표를 달성했으며 정부 기관은 프로젝트 및 사업관리/프로그램에 지출 한 10 억 달러에 대해 1 억 1 천만 달러를 낭비했습니다. (PMI 2016 보고서. 1조 기준으로 1천억원 낭비) 이에 대해 PMIAA를 통해 협업을 증진하고, 의사 결정을 개선하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프로젝트 관리 접근법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미국과 전세계의 모든 곳의 조직을 위한 로드맵의 필요성을 느끼게 됨

2. 해법 : 사업/프로그램 관리 개선 및 책임 이행법 (PMIAA, Program Management Improvement and Accountability Act)

PMIAA는 연방 프로그램 관리 정책을 다음 네 가지 중요한 주제를 개혁합니다.

  1. 연방 정부의 프로그램 관리자를위한 공식적인 직업 시리즈 및 경력 경로 만들기.
  2. 연방 정부에 표준 기반 사업/프로그램 관리 정책 개발.
  3. 연방 정부 기관의 고위 임원을 사업/프로그램 관리 정책 및 전략에 대한 책임자로 지명함으로써 경영진의 후원 및 참여의 본질적인 역할을 인식합니다.
  4. 사업/프로그램 관리에 관한 부처 간담회를 통해 사업/프로그램 관리에 대한 성공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지식 공유.

2016 년 12 월 14 일, 오바마 대통령은 책임을 강화하고 연방 정부에서 프로그램 관리의 모범 사례를 장려하기 위해 2015 년 프로그램 관리 개선 및 책임 이행법 (PMIAA)에 서명했습니다. PMIAA는 초당적 지지로 통과 되었습니다.  특히, 새로운 법률은 자격을 갖춘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관리자를 공식 경력 경로를 만들어 채용하고 유지하고, 프로그램 관리를위한 표준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각 기관의 고위 간부를 프로그램 관리 전략을 담당하도록 지명하고, 마지막으로 부처 간 협의회를 통해 모범 사례에 개발 및 개선 할 것입니다. 이 법안은 산업 및 정부에 프로젝트 기획, 집행 및 인도와 관련된 공통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공공 및 민간 부문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문기관인 PMI는 최근 제정안과 의도 된 혜택을 논의하기 위해 의회 정부 효율성 정책회에 2017.02.15년 가입하였음.)

3. 상세: S.1550 – 사업/프로그램 관리 개선 책임 이행법

이 법안을 요약하면 관리 예산 국 (OMB)의 관리 담당 부국장이 아래와 같은 추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규정함.

  • 집행 기관을위한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를위한 정부 차원의 표준, 정책 및 지침의 이행을 채택하고 감독한다.
  • (이 법에 의해 설립 된) 사업/프로그램 관리 정책위원회 의장;
  •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 계획 및 제공을 위해 널리 받아 들여지는 표준에 부합하는 집행 기관을위한 표준 및 정책 수립;
  • 민간 부문과 협력하여 연방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를 향상시키는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의 모범 사례를 확인합니다.
  • GAO (Accountability Office)에 의해 고위험으로 분류 된 프로그램을 해결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검토를 수행합니다.
  • 사업/프로그램 관리의 품질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적어도 매년 1 회 기관의 프로그램에 대한 포트폴리오 검토를 실시한다.
  •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를위한 5 개년 전략 계획 수립

이 법안은 국방부 (DOD)가 다음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정도까지 그러한 조항을 면제합니다 : (1) 국방 습득 인력을 통제하는 연방 규정; (2) 사업/프로그램 관리와 관련된 국방부의 방침, 지침 또는 지시.

각 연방 기관의 장은 프로그램 관리 개선 정책 담당자를 지정하여 대행사 프로그램 관리 정책을 이행하고 대행사 내 프로그램 관리자의 역할을 강화하기위한 전략을 개발해야하며, OMB는이 법안의 제정 후 1 년 이내에 그러한 전략을 포함하는 보고서를 제출해야 함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기관 관행을 개선하기위한 주요 기관 간 포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OMB 내에 프로그램 관리 정책위원회 (Program Management Policy Council)가 설립함.

인사 관리 실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은 (1) 기관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필요한 핵심 기술 및 역량을 파악하고, (2) 새로운 직무 시리즈를 수립하거나, 기존 직무 시리즈를 업데이트하여 (3) 사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관리자를위한 새로운 경력 경로를 수립해야 함.

참고문헌

1. S.1550 – Program Management Improvement Accountability Act

2. What is the Program Management Improvement and Accountability Act?

3. A new law will prevent the government from wasting millions of dollars every year

4. President Barack Obama Signs the Program Management Improvement and Accountability Act

5.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and Members of Government Efficiency Caucus Discuss New Law Aimed at Improving Federal Government Efficiency

Add post to Blinklist Add post to Blogmarks Add post to del.icio.us Digg this! Add post to My Web 2.0 Add post to Newsvine Add post to Reddit Add post to Simpy Who's linking to this post?